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5:59:00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화랑대기에서 넘어옴
고교야구 토너먼트 대회
황금사자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체전 파일: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로고(영문).svg
{{{#!folding [ 폐지한 대회 ]



1. 개요2. 역대 우승, 준우승 구단3. 역대 우승교별 우승 횟수 및 연도4. 이모저모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청룡기, 황금사자기와 더불어 고교야구 초창기 3대 메이저 대회.

1949년부터 대한야구협회부산일보 공동주최로 쌍룡기 명칭으로 개최했으며 주로 7월에 부산 구덕 야구장에서 경기가 진행했다. 1974년 대회부터 화랑대기로 명명했다.

원래는 국제신문이 주최했으나 1980년 11월 언론통폐합으로 국제신문이 잠정 폐간되어 부산일보가 후원했으며 2011년 고교야구 주말리그가 생기면서 폐지되었다.[1]

고교야구 초창기인 40~60년대에는 전국대회가 청룡기, 황금사자기, 쌍룡기, 전국체전, 도시대항전밖에 없어 메이저 전국대회의 위상을 지니고 있던 지방대회였으나 1967년 대통령배, 1971년 봉황대기가 신설되어 서울에서 열리게 되면서 부산 쌍룡기의 위상이 낮아졌다.

하지만 2차 신인지명 직전에 치러지는 대회라 관심도는 높은 편이였다.

그러나 청룡기/ 황금사자기에 이은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던 대회였기 때문에 고교야구 주말리그 출범으로 인한 대회 폐지 때 반발이 심하였다. 지방대회의 공통적인 특징인 개최지 소재 고교의 역대 우승/준우승 횟수가 많다.

2. 역대 우승, 준우승 구단

<rowcolor=#ffffff> 회수 개최 연도 우승 준우승
1회 1949년 경남중 부산상중
2회 한국전쟁으로 대회 중단
3회
4회
5회 1953년 인천고 경남고
6회 1954년 경남고 경남상고
7회 1955년 인천고 부산상고
8회 1956년 동산고 인천고
9회 1957년 경북고 경기공고
10회 1958년 경남고 경기공고
12회 1960년 경동고 경남고
13회 1961년 동산고 부산상고
14회 1962년 부산고 경남고
15회 1963년 부산고 대구상고
16회 1964년 동대문상고 배문고
17회 1965년 부산고 장충고
18회 1966년 부산고 부산상고
19회 1967년 대구상고 부산상고
20회 1968년 경남고 선린상고
21회 1969년 선린상고 대구상고
22회 1970년 경북고 부산고
23회 1971년 경북고 부산상고
24회 1972년 경북고 대광고
26회 1974년 부산상고 대광고
27회 1975년 경남상고 경남고
28회 1976년 부산상고 신일고
29회 1977년 세광고 부산상고
30회 1978년 부산고 경기고
31회 1979년 부산고 군산상고
32회 1980년 천안북일고 선린상고
33회 1981년 신일고 선린상고
34회 1982년 천안북일고 경남고
35회 1983년 천안북일고 부산상고
36회 1984년 부산고 군산상고
37회 1985년 선린상고 광주일고
38회 1986년 천안북일고 세광고
39회 1987년 경남상고 충암고
40회 1988년 신일고 부산상고
41회 1989년 경남고 동대문상고
42회 1990년 동산고 경남고
43회 1991년 부산고 공주고[2]
44회 1992년 동산고 경남고
45회 1993년 경남상고 경남고
46회 1994년 마산고 경남상고
47회 1995년 경남상고 경남고
48회 1996년 마산고 신일고
49회 1997년 경남고 부산상고
50회 1998년 경남상고 부산고
51회 1999년 제물포고[3] 광주진흥고
52회 2000년[4] 부산상고 경남고
53회 2001년[5] 경남고 부산고
54회 2002년 천안북일고[6] 경남상고
55회 2003년 부산고 마산용마고
56회 2004년 덕수정보고 부산고
57회 2005년 덕수정보고 광주진흥고
58회 2006년 덕수정보고 광주동성고
59회 2007년 부산고 경남고
60회 2008년 광주진흥고 부산고
61회 2009년 개성고[7] 화순고
62회 2010년 부산고 천안북일고

3. 역대 우승교별 우승 횟수 및 연도

학교 횟수 연도
부산고등학교 11회 62, 63, 65, 66, 78, 79, 84, 91, 03, 07, 10
경남고등학교[8] 7회 54, 58, 68, 89, 97, 01
경남상업고등학교[9] 5회 75, 87, 93, 95, 98
북일고등학교 5회 80, 82, 83, 86, 02
경북고등학교 4회 57, 70, 71, 72
동산고등학교 4회 56, 61, 90, 92
개성고등학교[10] 4회 74, 76, 00, 09
덕수고등학교[11] 3회 04, 05, 06
인천고등학교 2회 53, 55
선린인터넷고등학교[12] 2회 69, 85
신일고등학교 2회 81, 88
마산고등학교 2회 94, 96
경동고등학교 1회 60
청원고등학교[13] 1회 64
대구상원고등학교[14] 1회 67
세광고등학교 1회 77
제물포고등학교 1회 99
광주진흥고등학교 1회 08

4. 이모저모

  • 2~4회 대회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으며, 11회와 25회 대회는 운동장 사정으로 개최되지 못하였다.
  • 6월의 대구 대붕기와 8월 봉황대기 중간에 개최되는 관계로, 이 기간은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이라 우천 순연이 있을 시, 한 팀을 두 개로 쪼개서 출전시킨다거나, 화랑대기 토너먼트에서 쭉쭉 올라갈 때 봉황대기 1회전은 버린다는 각오로 게임을 뛰기도 하였다.[15]
  • 두 번의 대회 3연속 제패가 있었다. 22~24회의 경북고, 56~58회의 덕수정보고. 덕수정보고는 4연패를 목표로 59회 대회에 참가했지만 8강전에서 경남고에게 9회말 끝내기 1실점으로 2-3으로 패배하며[16] 4연패의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 광주일고와 광주동성고(광주상고 포함)가 이 대회와는 인연이 없다.
  • 대회장소(부산)과 대회시기(여름 휴가철)탓에 대회보다 부산에서 휴가를 즐기는 게 주목적이라 카더라
  • 1경기가 08:30분에 시작한 적이 있었으며, 선수들은 연신 하품을 참으며 게임을 뛰기도 하였다.
  • 영화 '굿바이 홈런'의 시대 배경이 되었던 대회가 해당 회차 61회차다.
  • 경남상고가 화랑대기 때 유독 강한 편이였다. 4개 대회에서 3회밖에 우승 못했지만 화랑대기에서만 5차례나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가 치러지는 구덕야구장과 학교가 횡단보도 하나면 건너면 될 정도로 가까워 학생들이 단체 응원에 많이 동원됐다.

5. 관련 문서



[1] 만약 주말리그가 출범하지 않았다면 대회가 계속 유지되었을것이다.[2] 이 당시, 박찬호가 3학년[3] 창단 이후 첫 전국대회 우승[4] 결승전은 사직 야구장에서 개최되었으며, 평일 낮이었음에도 불구하고 KBS가 전국으로 생중계하였다.[5] 7월 21일에 있었던 결승전에서 5시간 동안 연장 12회까지 가는 접전을 펼쳤으나 9-9 무승부를 기록해 대회 최초 결승전 재경기가 다음날에 벌어졌다. 재경기에서 경남고 류재원이 결승 투런 홈런을 쏘아올리며 6-4로 승리해 힘겹게 화랑대기를 품에 안았다. 부산고 1학년 투수였던 장원준은 우수투수상을 받았고, 황성용은 타격상을 수상했다.[6] 황금사자기, 화랑대기, 봉황대기,전국체전 등 4관왕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7] 김응룡 당시 삼성라이온즈 사장의 전국대상 무차별적 스카우트에 힘입어 화려한 스쿼드를 자랑했으나, 서울대회 2관왕은 차지할 거라는 예상과 달리, 광주광역시 무등기와 부산 화랑대기 2관왕에 그친다.[8] 경남중 포함.[9] 부경고로 이름을 바꾼 뒤에는 우승한 적 없음.[10] 부산상고 포함.[11] 덕수정보고 포함.[12] 선린상고 포함.[13] 동대문상고 포함.[14] 대구상고 포함.[15] '09년 화순고개성고와의 화랑대기 결승전 바로 다음날에 수원에서 봉황대기 1회전을 뛰어야 했다. 화랑대기 우승도 못하고, 봉황대기 1회전에서도 패배했다.[16] 성영훈하준호가 맞대결하여 하준호가 완투승을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