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06:43:47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 -8px; margin-bottom: -8px"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1986
삿포로
1990
삿포로
1996
하얼빈
1999
강원
2003
아오모리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7
창춘
2011
아스타나·알마티
2017
삿포로
2025
하얼빈
2029
네옴
* 2021 동계 아시안 게임은 개최 희망지가 없는 관계로 코로나19와 무관하게 취소됨.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로고.svg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196ab2><colcolor=#fff> 주요 정보 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 대한민국 대표팀 · 대한민국 중계 현황 · 메달 순위 · 비판 및 문제점
개별 종목
파일:하얼빈피겨스케이팅.png 피겨 스케이팅 파일:하얼빈쇼트트랙.png 쇼트트랙 파일:하얼빈컬링.png 컬링
마스코트
빈빈, 니니 ·
개·폐회식장
하얼빈 국제 컨벤션 전시 스포츠 센터 ·
개회 선언자
시진핑 ·
성화 점화자
장훙
{{{#!wiki style="margin: -5px -5px" 파일: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로고.svg冰雪同梦, 亚洲同心
Dream of Winter, Love among Asia
겨울의 꿈, 아시아의 사랑
}}} ||}}}}}}}}} ||
<colcolor=#fff>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제9회 동계 아시안 게임

第九届亚洲冬季运动会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IX Asian Winter Games
Harbin 2025
파일: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로고.svg
<colbgcolor=#196ab2> 대회기간 2025년 2월 7일[1] ~ 2025년 2월 14일
개최국
[[중국|]][[틀:국기|]][[틀:국기|]] / 하얼빈
슬로건
冰雪同梦,亚洲同心

Dream of Winter, Love among Asia
(겨울의 꿈, 아시아의 사랑)
마스코트 빈빈, 니니
주제가
尔滨的雪

Snow in Harbin
참가국 34개국[2]
참가선수 1,275명
경기종목 11개 종목, 64개 세부 종목
개회 선언 시진핑
,중국 주석,
선수 선서 닝중옌, 차이쉐퉁
심판 선서 장춘휘, 천원룽
성화 점화 장훙
개·폐회식장 하얼빈 국제 컨벤션 전시 스포츠 센터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중문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영문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일정·결과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1. 개요2. 대회 상징
2.1. 엠블럼2.2. 마스코트2.3. 슬로건
3. 참가국4.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5. 경기장 및 시설6. 경기 종목7. 대회 진행
7.1. 경기 일정7.2. 메달 집계
7.2.1. 대한민국의 메달리스트7.2.2. 대한민국 종목별 성적
8. 대한민국에서의 중계9. 스폰서
9.1. 골드 파트너9.2. 공식 파트너9.3. 공식 스폰서
10. 비판 및 문제점11. 여담

[clearfix]

1. 개요

2025년 중국 하얼빈 일대에서 개최되었던 동계 아시안 게임.

==# 개최지 결정 #==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이후에 열렸어야 할 2021 동계 아시안 게임과 함께 개최지가 결정되지 않고 있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중국이나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을 개최하는 한국이 떠맡을 가능성도 높았으나, 문제는 2021 동계 아시안 게임도 어느 나라가 떠맡을 것이라는 이야기만 나오고 정작 해당 국가가 개최에 관심이 없어서 취소되었기에 개최지 선정이 요원했다. 2022년 10월 4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아시아올림픽평의회 총회에서 2029 네옴시티 동계 아시안 게임사우디아라비아 네옴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면서 2025년에 진행되어야 하는 이 대회도 결국 취소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었다. #

그런데 2023년 2월 23일, 갑자기 대한체육회 측에서 동계 아시안 게임 개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2025년까지 2년밖에 안 남은 시점에서도 그 어떤 나라에서 유치 준비 언급조차 안 되었기 때문에 한국이 유치를 천명하면 바로 유치가 확정될 가능성이 농후해 보였다. 한국 내에서 가능성이 높았던 도시는 아래와 같다.
  • 서울특별시
    기사에서 서울도 협의 중인 지자체로 나왔다. 서울에는 스키장 자체가 없으므로 만약 한다면 빙상만 분산 개최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 뒤 2023년 6월 28일 중국 하얼빈이 유치 신청을 했다고 알려졌다. 이후 2023년 7월 8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총회에서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는 2025년 동계 아시안 게임 개최지로 중국 하얼빈이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하얼빈 단독 신청이었던 것으로 보아, 대한민국의 도시(들)은 유치 신청조차 하지 않았음이 추후 확인되었다.
<rowcolor=#fff> 2025년 동계 아시안 게임 유치 과정
<rowcolor=#fff> 국가 도시 투표 결과

[[중국|]][[틀:국기|]][[틀:국기|]]
하얼빈 단독 신청 유치 선정

하얼빈이 동계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는 것은 1996년 제3회에 이어 두 번째이며 중국은 1996년 하얼빈과 2007년 창춘에 이어 3번째로 동계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게 된다. 지역 대회가 중국 도시에서 개최되는 것은 2007년 창춘에 이어 세 번째이다. 하얼빈은 일본 삿포로에 이어, 동계 아시안 게임을 2회 개최한 2번째 도시로 등록된다. # 그리고,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개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 중 하계 올림픽을 제외하고 3개나 개최하게 되었다. 중국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간 동계올림픽을 제외한 3개 대회를 개최한 적이 있다.

2. 대회 상징

2.1. 엠블럼

<colcolor=#fff> 파일: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로고.svg
엠블럼

2.2. 마스코트

<colcolor=#fff> 파일:빈빈과 니니.jpg
마스코트 빈빈과 니니
'빈빈'(
滨滨
, 수컷)과 '니니'(
妮妮
, 암컷)로 2023년 9월 하얼빈시에 호랑이 보호 목적으로 조성된 동북호림원에서 태어난 새끼 시베리아호랑이 2마리를 모티브로 제작됐다.

2.3. 슬로건

<colcolor=#fff> 파일:The slogan of the 9th Asian Winter Games.jpg
슬로건

冰雪同梦,亚洲同心

Dream of Winter, Love among Asia
(겨울의 꿈, 아시아의 사랑)

3. 참가국

캄보디아, 사우디아라비아가 동계 아시안 게임 최초로 참가하게 되면서 동계 아시안 게임 역대 최다 '34개국 1275명'의 선수가 참가하게 되었다.#
참가국 명단 (총 34개국)가나다 순

[[네팔|]][[틀:국기|]][[틀:국기|]](4)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대만|]][A](67)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149)

[[레바논|]][[틀:국기|]][[틀:국기|]](17)

[[틀:국기|]][[마카오|]][[틀:국기|]](21)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8)

[[몽골|]][[틀:국기|]][[틀:국기|]](35)

[[바레인|]][[틀:국기|]][[틀:국기|]](18)

[[베트남|]][[틀:국기|]][[틀:국기|]](1)

[[부탄|]][[틀:국기|]][[틀:국기|]](1)

[[북한|]][[틀:국기|]][[틀:국기|]](3)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8)

[[스리랑카|]][[틀:국기|]][[틀:국기|]](4)

[[싱가포르|]][[틀:국기|]][[틀:국기|]](23)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7)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아프가니스탄|]](3)

[[요르단|]][[틀:국기|]][[틀:국기|]](1)

[[우즈베키스탄|]][[틀:국기|]][[틀:국기|]](24)

[[이란|]][[틀:국기|]][[틀:국기|]](14)

[[인도|]][[틀:국기|]][[틀:국기|]](59)

[[인도네시아|]][[틀:국기|]][[틀:국기|]](6)

[[일본|]][[틀:국기|]][[틀:국기|]](151)

[[중국|]][[틀:국기|]][[틀:국기|]](개최국)
(170)

[[카자흐스탄|]][[틀:국기|]][[틀:국기|]](138)

[[카타르|]][[틀:국기|]][[틀:국기|]](15)

[[캄보디아|]][[틀:국기|]][[틀:국기|]](4)

[[쿠웨이트|]][[틀:국기|]][[틀:국기|]](33)

[[키르기스스탄|]][[틀:국기|]][[틀:국기|]](40)

[[타지키스탄|]][[틀:국기|]][[틀:국기|]](4)

[[태국|]][[틀:국기|]][[틀:국기|]](85)

[[투르크메니스탄|]][[틀:국기|]][[틀:국기|]](25)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2)

[[필리핀|]][[틀:국기|]][[틀:국기|]](20)

[[틀:국기|]][[홍콩|]][[틀:국기|]](73)

4.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대한민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총 222명(선수 148명, 임원 74명)
<colbgcolor=#196ab2> 바이애슬론(11) 강윤재, 김성윤, 정민성, 최두진, 허선회
고은정, 아베마리야, 예카테리나 아바쿠모바[기수(폐)], 정주미, 이현주, 최윤아
아이스하키(45) 강민완, 강윤석, 공유찬, 권현수, 김건우, 김동환, 김상엽, 김상욱, 김시환, 김원준, 남희두, 안진휘, 오인교, 이무영, 이민재, 이승재, 이연승, 이총민[기수(개)], 이현승, 임동규, 전정우, 하정호
강나라, 강시현, 김도원, 김민서, 김세린, 김연주, 박예은, 박종아, 박종주, 박주연, 박미내, 박지윤, 배정연, 송희오, 엄수연, 이소정, 이은지2001년생, 이은지2005년생, 정시윤, 정예원, 최지연, 한수진, 한유안
알파인 스키(8) 박제윤, 정동현, 정민식, 홍동관
김소희, 박서윤, 이민서, 최태희
산악 스키(6) 구교정, 오영환, 정재원
김미진, 김하나, 정예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2) 김건우, 김태성, 박장혁, 박지원, 이정수, 장성우
김건희, 김길리, 노도희, 심석희, 이소연, 최민정
스노보드(10) 강동훈, 김강산, 김건희, 이동헌, 이지오, 이채운
유승은, 이나윤, 최서우, 허영현
스피드 스케이팅(20) 구경민, 김준호, 김태윤, 박상언, 양호준, 오현민, 이승훈, 정재원, 조상혁, 차민규
강수민, 김경주, 김민선, 김민지, 김윤지, 김은서, 박지우, 박채은, 이나현, 정유나
크로스컨트리 스키(9) 변지영, 이건용, 이준서, 이진복, 정종원
이의진, 이지예, 제상미, 한다솜
프리스타일 스키(11) 문희성, 신동호, 신영섭, 이서준, 이승훈, 윤종현, 최강훈
신혜린, 이소영, 임연주, 장유진
피겨 스케이팅(4) 김현겸, 차준환
김서영, 김채연
컬링(12) 김은빈, 김진훈, 김효준, 이재범, 표정민
김민지, 김수지, 김은지[기수(개)], 설예은, 설예지
김경애, 성지훈

5. 경기장 및 시설

  • 개·폐막식
  • 설상 종목
    • 야부리 스키 리조트: 바이애슬론, 산악스키, 스노보드,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프리스타일 스키
  • 빙상 종목
    • 하얼빈 아이스하키 아레나 (舊 바취 아레나): 아이스하키(남자)
    • 하얼빈체육대학 학생빙상장: 아이스하키(여자)
    • 하얼빈 핑팡 컬링 아레나: 컬링
    •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 쇼트트랙, 피겨 스케이팅
    •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스피드 스케이탕 오벌: 스피드 스케이팅

6. 경기 종목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동계 아시안 게임 종목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000> 빙상 종목 설상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컬링
피겨 스케이팅
바이애슬론
산악 스키
스노보드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프리스타일 스키
}}}}}}}}}

동계올림픽 종목과 비교하면 노르딕 복합, 스키점프, 스켈레톤, 봅슬레이, 루지가 없다.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과 달리 스키점프가 빠졌고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에 추가된 산악 스키가 이 대회에도 역시 추가되었다.

빙상 종목(5개 종목)
  • 쇼트트랙(9개)
    • 남자 500m, 1000m, 1500m, 5000m 계주
    • 여자 500m, 1000m, 1500m, 3000m 계주
    • 혼성 계주
  • 스피드 스케이팅(14개)[9]
    • 남자 100m, 500m, 1000m, 1500m, 5000m, 팀 스프린트, 팀 추월
    • 여자 100m, 500m, 1000m, 1500m, 3000m, 팀 스프린트, 팀 추월
  • 아이스하키(2개)
    • 남자부, 여자부
  • 피겨 스케이팅(4개)[10]
    •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아이스 댄스
  • 컬링(3개)
    • 남자부, 여자부, 믹스 더블

설상 종목(6개 종목)
  • 바이애슬론(4개)[11]
    • 남자 스프린트 10km, 계주
    • 여자 스프린트 7.5km, 계주
  • 산악 스키(3개)
    • 남자 스프린트, 여자 스프린트, 혼성 계주
  • 스노보드(6개)[12]
    • 남자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빅에어
    • 여자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빅에어
  • 알파인 스키(2개)[13]
    • 남자 회전, 여자 회전
  • 크로스컨트리 스키(6개)[14]
    • 남자 스프린트 클래식, 개인 10km 프리, 계주
    • 여자 스프린트 클래식, 개인 5km 프리, 계주
  • 프리스타일 스키(11개)[15]
    • 남자 에어리얼, 에어리얼 싱크로,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빅에어
    • 여자 에어리얼, 에어리얼 싱크로,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빅에어
    • 혼성 단체 에어리얼

7. 대회 진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대회 진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경기 일정

종목 2월
종목 세부 종목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메달 이벤트(64) <colcolor=#fff> 17 <colcolor=#fff> 13 <colcolor=#fff> 7 <colcolor=#fff> 10 <colcolor=#fff> 7 <colcolor=#fff> 6 <colcolor=#fff> 4
개·폐회식
스피드 스케이팅 4 3 3 4
쇼트트랙 5 4
피겨 스케이팅 2 2
아이스하키 2
컬링 1 2
알파인 스키 1 1
크로스컨트리 스키 2 1 1 2
프리스타일 스키 에어리얼 2 1 2
하프파이프 2
슬로프스타일 2
빅에어 2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2[B]
슬로프스타일 2
빅에어 2
바이애슬론 2 2
산악 스키 2 1

7.2. 메달 집계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최종 집계[17]
순위 국가 메달 합계
<rowcolor=#000000>
1
[[중국|]][[틀:국기|]][[틀:국기|]]
32 27 26 85
2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16 15 14 45
3
[[일본|]][[틀:국기|]][[틀:국기|]]
10 12 15 37
4
[[카자흐스탄|]][[틀:국기|]][[틀:국기|]]
4 9 7 20
5
[[우즈베키스탄|]][[틀:국기|]][[틀:국기|]]
1 0 0 1

[[필리핀|]][[틀:국기|]][[틀:국기|]]
1 0 0 1
7
[[북한|]][[틀:국기|]][[틀:국기|]]
0 1 0 1
8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대만|]][A]
0 0 1 1

[[태국|]][[틀:국기|]][[틀:국기|]]
0 0 1 1
합계 64 64 64 192
  • 대만의 천잉추가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면서, 대만 최초의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가 탄생하였다. 이로써 대만은 동계 아시안 게임 사상 11번째 메달 보유국이 되었다.
  • 태국의 폴 앙리 비오탕이 남자 프리스타일 스키 슬로프스타일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면서, 태국 최초의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가 탄생하였다. 이로써 태국은 동계 아시안 게임 사상 12번째 메달 보유국이 되었다.
  • 중국이 홈 이점에 힘입어 자국의 동계 아시안 게임 역사상 처음으로 30개 이상의 금메달을 획득했고 전체 금메달 64개 중 절반 이상을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 필리핀이 남자 컬링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면서[19], 필리핀 최초의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가 탄생하였다. 이로써 필리핀은 동계 아시안 게임 사상 13번째 메달 보유국이 되었다.
  • 필리핀의 메달 획득으로 이번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국가는 9개국이 되면서[20], 이번 대회는 역대 동계 아시안 게임 중 메달을 획득한 국가가 가장 많은 대회가 되었고 금메달도 6개국이 획득하며 금메달을 획득한 국가가 가장 많은 대회가 되었다.

7.2.1. 대한민국의 메달리스트

상세
<rowcolor=#fff> 일자 메달 종목 비고
메달리스트
2. 8. <colcolor=#000>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 대회 첫 금메달[21]
김길리, 최민정, 심석희, 노도희,
박지원, 김태성, 장성우, 김건우
컬링 믹스더블
김경애, 성지훈
프리스타일 스키 여자 하프파이프
장유진
쇼트트랙 여자 1,500m 2관왕
김길리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하프파이프
이승훈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하프파이프
문희성
쇼트트랙 남자 1,500m 2관왕
박지원
쇼트트랙 남자 1,500m
장성우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00m
김준호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00m
이나현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00m
김민선
알파인 스키 여자 회전
김소희
쇼트트랙 여자 500m 2관왕[22]
최민정
쇼트트랙 여자 500m
김길리
쇼트트랙 여자 500m
이소연
쇼트트랙 남자 500m
박지원
쇼트트랙 남자 500m
장성우
스노보드 남자 슬로프스타일
이채운
스노보드 남자 슬로프스타일
강동훈
2. 9. 쇼트트랙 여자 1,000m 3관왕
최민정
쇼트트랙 여자 1,000m
김길리
쇼트트랙 남자 1,000m 2관왕
장성우
쇼트트랙 남자 1,000m
박지원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500m
김민선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500m
이나현
알파인 스키 남자 회전
정동현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팀 스프린트 이나현, 김민선
2관왕
김민지, 이나현, 김민선
2. 10.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m
김준호
스노보드 남자 빅에어
강동훈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팀 스프린트
김준호, 차민규, 조상혁
2. 11. 바이애슬론 여자 7.5km 스프린트
예카테리나 아바쿠모바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1,000m
차민규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000m
이나현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팀 추월
박상언, 이승훈, 정재원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팀 추월
김윤지, 박지우, 정유나
2. 12.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빅에어
윤종현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빅에어
신영섭
2. 13. 바이애슬론 여자 4x6km 계주
고은정, 아베마리야, 예카테리나 아바쿠모바, 정주미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B]
김건희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B]
이지오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김채연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차준환
2. 14. 컬링 남자부
김은빈, 김진훈, 김효준, 이재범, 표정민
아이스하키 남자부
강민완, 강윤석, 공유찬, 권현수, 김건우, 김동환, 김상엽, 김상욱, 김시환, 김원준, 남희두,
안진휘, 오인교, 이무영, 이민재, 이승재, 이연승, 이총민, 이현승, 임동규, 전정우, 하정호
컬링 여자부
김민지, 김수지, 김은지, 설예은, 설예지

7.2.2. 대한민국 종목별 성적

한국 대표팀 종목별 성적
종목 합계
쇼트트랙 6 4 3 13
스피드 스케이팅 3 5 4 12
스노보드 2 0 3 5
피겨 스케이팅 2 0 0 2
컬링 1 2 0 3
프리스타일 스키 1 1 3 5
바이애슬론 1 1 0 2
알파인 스키 0 2 0 2
아이스 하키 0 0 1 1
합계 16 15 14 45

8. 대한민국에서의 중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중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내 중계권은 SPOTV의 모기업 에이클라미디어그룹에서 보유하고 있다. 재작년 하계대회인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당시에는 에이클라가 KBS, MBC, SBSTV CHOSUN에게 중계권 재판매를 했던 바 있다.

2025년 1월 24일, KBS 김진웅 아나운서가 인스타를 통해 모태범과 중계 리허설을 하고 있다고 올려 KBS에서 중계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같은 날 MBC 스포츠국 유튜브 채널인 'MBC스포츠탐험대'에 김아랑이 쇼트트랙 해설위원으로 합류했다는 내용이 올라왔다. 1월 26일, 김명정 캐스터가 프리미어 리그(울버햄튼 대 아스날) 중계 시작 전 SPOTV에서도 이번 아시안 게임을 중계한다고 언급했다.

이후 TV 중계는 SBS를 제외한 KBS, MBC, SPOTV에서 진행되었고, 인터넷 중계는 SPOTV NOW와 네이버 스포츠, 치지직을 통해 송출되었다.

9. 스폰서

9.1. 골드 파트너

9.2. 공식 파트너

파일:중국동방항공 로고.svg 파일:361˚ 로고.svg 파일:지리자동차 로고.svg 파일:차이나유니콤 로고.svg
파일:중국은행 로고.svg 파일:하얼빈은행 로고.jpg 보난 스포츠
Bornan Sports
중국페이허

中国飞鹤

9.3. 공식 스폰서

안헝정보[25]

安恒信息
헤이룽장싼터방직

三特北派
파일: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 로고.svg 하얼빈교통집단

哈尔滨交通集团
중국 핑안

中国平安

10. 비판 및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비판 및 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여담


[1] 2월 3일부터 사전 진행[2] 이번회차 메달 1개이상 국가 9개국. 전회차 1개이상 보유국 13개국.[3]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02년, 2010년에 개최했다.[4] 당시 리조트명은 '무주리조트'.[A] 대만 대표팀은 국제대회에 출전할 때 '중화 타이베이'(中華台北, Chinese Taipei)를 쓴다.[기수(폐)] 폐회식 기수[기수(개)] 개회식 기수[기수(개)] 개회식 기수[9] 동계올림픽 대비 남자 10000m, 여자 5000m, 매스스타트가 제외되었고 100m, 팀 스프린트가 포함되었다.[10] 동계올림픽 대비 단체전이 제외되었다.[11] 동계올림픽 대비 개인(20km, 15km), 추발(12.5km, 10km), 매스스타트, 혼성계주가 제외되었다.[12] 동계올림픽 대비 평행대회전, 스노보드크로스가 제외되었다.[13] 동계올림픽 대비 대회전, 슈퍼대회전, 활강, 복합경기가 제외되었다.[14] 동계올림픽 대비 스키애슬론, 팀 스프린트, 매스스타트(50km) 종목이 제외되었다.[15] 동계올림픽 대비 모굴, 스키크로스가 제외되었고 에어리얼 싱크로가 포함되었다.[B] 결선 경기가 기상 악화로 인해 취소되면서 2월 12일에 진행된 예선 성적으로 최종 순위가 확정됐다.[17] 공식 홈페이지[A] [19] 대한민국을 상대로는 예선전에서 패배했지만, 결승전에서 승리를 거둬 금메달을 획득했다.[20] 이전 최고 기록은 2011 아스타나·알마티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나온 8개국이었다.[21]
준준결승: 노도희-심석희-김건우-김태성
준결승: 최민정-김길리-장성우-박지원
결승: 최민정-김길리-김태성-박지원
[22] 동계 아시안게임 통틀어서 첫 쇼트트랙 여자 500m 금메달을 획득한 한국 선수다.[B] [B] [25] 네트워크 보안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