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8:19:38

정렬 원리

정수론
Number Theor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공리
페아노 공리계 · 정렬 원리 · 수학적 귀납법 · 아르키메데스 성질
산술
나눗셈 약수·배수 배수 · 약수(소인수) · 소인수분해(목록 · 알고리즘) · 공배수 · 공약수 · 최소공배수 · 최대공약수
약수들의 합에 따른 수의 분류 완전수 · 부족수 · 과잉수 · 친화수 · 사교수 · 혼약수 · 반완전수 · 불가촉 수 · 괴짜수
정리 베주 항등식 · 산술의 기본정리 · 나눗셈 정리
기타 유클리드 호제법 · 서로소
디오판토스 방정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피타고라스 세 쌍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미해결)
모듈러 연산
잉여역수 · 2차 잉여 · 기약잉여계 · 완전잉여계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 합동식 · 페르마의 소정리 · 오일러 정리 · 윌슨의 정리
소수론
수의 분류 소수 · 합성수 · 메르센 소수 · 쌍둥이 소수(사촌 소수 · 섹시 소수) · 페르마 소수 · 레퓨닛 수
분야 대수적 정수론(국소체) · 해석적 정수론
산술함수 뫼비우스 함수 ·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파이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소수생성다항식
정리 그린 타오 정리 · 페르마의 두 제곱수 정리 · 디리클레 정리 · 소피 제르맹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골드바흐 추측(미해결)(천의 정리) · 폴리냑 추측(미해결) · 소수 정리
기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윌런스의 공식
}}}}}}}}} ||

수학기초론
Foundations of Mathematic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수리논리학 논리 · 논증{귀납논증 · 연역논증 · 귀추 · 유추} · 공리 및 공준 · 증명{증명보조기 · 자동정리증명 · 귀류법 · 수학적 귀납법 · 반증 · 더블 카운팅 · PWW} · 논리함수 · 논리 연산 · 잘 정의됨 · 조건문(조각적 정의) · 명제 논리(명제 · 아이버슨 괄호 · · · 대우) · 양상논리 · 술어 논리(존재성과 유일성) · 형식문법 · 유형 이론 · 모형 이론
집합론 집합(원소 · 공집합 · 집합족 · 곱집합 · 멱집합) · 관계(동치관계 · 순서 관계) · 순서쌍(튜플) · 서수(하세 다이어그램 · 큰 가산서수) · 수 체계 · ZFC(선택공리) · 기수(초한기수) · 절대적 무한 · 모임
범주론 범주 ·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계산가능성 이론 계산 · 오토마타 · 튜링 기계 · 바쁜 비버 · 정지 문제 · 재귀함수
정리
드모르간 법칙 · 대각선 논법 · 러셀의 역설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 · 집합-부분합 정리 · 퍼스의 항진명제 · 굿스타인 정리 · 완전성 정리 · 불완전성 정리(괴델 부호화) · 힐베르트의 호텔 · 연속체 가설 · 퍼지 논리
기타
예비사항(약어 및 기호) · 추상화 · 벤 다이어그램 · 수학철학
틀:논리학 · 틀:이산수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1. 개요2. 증명3. 기타4. 관련 문서

1. 개요

Well-ordering Principle
정수론에서 공집합이 아닌 자연수의 임의의 부분집합 [math(X\subseteq \mathbb N)]의 최소원 [math(\min X)]가 존재한다는 원리이다. 초등정수론에서, 여러 증명의 기초적인 도구로 사용되므로 정수론을 공부한다면 정렬 원리를 잘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2. 증명

강한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해서 증명한다.
집합 [math(S\subseteq \mathbb N)]이 최소원을 갖지 않는다고 하자.
1. [math(1\notin S)]의 증명
귀류법을 이용한다. [math(1\in S)]이면 [math(\forall x\in \mathbb N, x\ge 1)]에서 [math(\forall x\in S, x\ge 1)]이고 [math(S)]는 최소원을 가지므로 모순. 따라서 [math(1\notin S)]
2. [math(\forall x<k)]에 대해 [math(k\notin S)]이면 [math(k+1\notin S)]의 증명
귀류법을 이용한다. [math(k\notin S)]이고 [math(k+1\in S)]라고 하면 [math(\{n\in\mathbb N|n < k+1\} \cap S =\emptyset)]으로부터 [math(\forall x\in S, x\ge k+1)]이 되어 [math(k+1)]이 최소원이어야 하므로 모순. 따라서 [math(k\notin S)]이면 [math(k+1\notin S)]
결국, 강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math(\forall x\in\mathbb N, x\notin S)], 즉 [math(S=\emptyset)]
최소원이 없는 자연수의 부분집합은 공집합이다. [math(\blacksquare)]

3. 기타

정수론에서 가장 기초적인 정리 중 하나인 베주 항등식[1]을 증명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 정렬 원리이다.

집합론에서도 깊이 있게 다뤄지는데, 여기서는 자연수의 정렬 원리를 넘어서 보다 일반적인 집합의 경우에 대해 다룬다. 예컨대 실수 집합과 같은 농도를 가지는 집합에서의 순서 관계 중 정렬 원리를 만족하는 것이 있느냐 하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가 잘 아는 보통의 실수 순서 관계는 정렬 원리를 만족하지 못한다.[2] 그래도 어떤 특이한 방식을 쓰면 실수 집합 혹은 더 큰 집합에도 정렬 원리를 만족하는 순서 관계를 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할 수 있는데, 놀랍게도 이게 모든 집합에 대해서 참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선택 공리와 논리적으로 동치라는 것이 밝혀져 있다. 선택공리[math(\Rightarrow)]하우스도르프의 극대원리[math(\Rightarrow)]조른의 보조정리[math(\Rightarrow)]정렬 원리[math(\Rightarrow)]선택공리를 순환 증명하는 과정은 매우 아름답지만 논리적으로 따라가기 매우 어려워 많은 저학년 수학과생들을 괴롭히는 난관 중 하나이기도 하다. 논리적 증명의 순서를 뒤죽박죽으로 섞는 숙제와 시험문제는 덤이다. 더군다나 존재한다는 것만 알지, 그 존재한다는 순서 관계가 자연수 집합에서의 잘 알려진 순서 관계를 제외하면, 심지어 실수 집합에서도, 어떻게 생겨먹었는지 알지 못한다는 것도 골칫거리이다. 특히 실수 집합에서 잘 알려진 실수 순서 관계와는 아예 관련이 없을 것이기 때문에 그 아리송함이 배가된다.

4. 관련 문서


[1] 주로 베주 항등식 [math(\Rightarrow)] 유클리드 보조 정리 [math(\Rightarrow)] 산술의 기본정리 순서로 정리를 증명해나간다.[2] 그리고 자연수 집합에도 얼마든지 정렬 원리를 만족하지 않는 순서 관계를 줄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정수 집합에서의 대소 관계와 유리수 집합에서의 대소 관계를 생각할 수 있다. (저 두 집합이 자연수 집합과 크기가 같다는 사실을 상기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