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6:32:58

춘권

작춘권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1c25><colcolor=#fff> 면류 기스면 · 도삭면 · 딴딴면 · 마장면 · 뱡뱡면 · 쏸라펀 · 우육면 · 작장면 · 장수면 · 초마면 · 탕육사면
밥류 황금 볶음밥 · 차오판
죽류 납팔죽 · 화생호
탕류 누룽지탕 · 마라탕 · 불도장 · 훠궈
만두류 딤섬 · 만터우 · 물만두 · 소롱포 · 춘권 · 훈툰
두부류 건두부 · 마파두부 · 모두부 · 취두부
육류 거지닭 · 경장육사 · 구수계 · 궁보계정 · 난자완스 · 남경 오리 요리 · 동파육 · 홍소육 · 라조기 · 백운저수 · 북경 오리 구이 · 삼투압 · 저표육 · 양꼬치 · 어향육사 · 오향장육 · 차사오(미즈차사오) · 탕수육 · 궈바오러우 · 해삼주스 · 화퇴 · 회과육
수산물 멘보샤 · 샤오룽샤 · 샥스핀 · 세수해 · 쏸차이위 · 처우구이위 · 취하 · 칭둔귀 · 카오위
반찬
채소류
소채(자차이 · 청경채볶음) · 청초육사 · 파오차이(쏸차이)
음료 량샤
주류 틀:중국의 술 · 틀:대만의 술
간식
후식
내유작고 · 라탸오 · 뤼다군 · 사치마 · 삼부점 · 시미로 · 월병 · 주량원자 · 중화과자 · 탕후루 · 행인두부 · 바쓰
파일:대만 국기.svg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
파일:마카오 국기.svg 마카오
계열
누가 크래커 · 대만 샌드위치 · 대만식 카스텔라 · 루로우판 · 빤켁 · 좌종당계 · 지파이 · 쩐주나이차(버블티) · 쭈빠빠오 · 타로볼 · 펑리수 · 할포
기타 귀령고 · 꽃빵 · 루어보가오 · 부용단 · (젠빙) · 서홍시초계단 · 석자갱 · 유탸오 · 전가복 · 쭝쯔 · 차예단 · 팔보채 · 피단
중국 요리 · 중화 요리의 계통별 분류 · 한국식 중화 요리 · 일본식 중화 요리 · 미국식 중화 요리
}}}}}}}}} ||
파일:egg-roll-or-fried-spring-rolls-on-the-white-plate-thai-food_1150-21490.jpg
언어별 명칭
<colbgcolor=#ddd,#333> 한국어 춘권
한자
영어 Spring roll
일본어 はるまき
1. 개요2. 역사3. 식문화4. 대중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밀가루로 만든 껍질(춘권피)에 채소, 고기, 해산물 등 다양한 재료를 싸서 먹는 요리. 껍질 속에 다양한 음식을 넣어 만든다는 점에서 만두와 일맥상통하는 음식이다.

가장 흔한 것은 그대로 튀겨서 먹는 춘권이지만, 다양하게 변주할 수 있다.

2. 역사

전통적으로 중국명절춘절에 먹었기 때문에, 봄 춘() 자에 말 권() 자를 써서 춘권()이라고 불렀다. 즉, '봄에 먹는 말이음식.' 춘권의 영어명인 "Spring roll"과 일본어명인 "はるまき(하루마키)" 역시 이 의미를 직역한 표현이다. 중국 표준 발음으로는 "춘쥐안(chunjuan)"이라고 한다.

본디 과거에 입춘에 봄야채를 먹으며 을 축하하던 풍습에서 발전해 밀전병에 말아먹은 데서 춘권이 유래하였다. 지역과 국가별로 내용물이나 껍질 등에서 차이가 많다.

영어권에서는 egg roll이라는 음식이 있는데, 한국어로 직역하면 달걀 춘권이 되지만, 정작 서양에서 말하는 egg roll은 춘권피가 달걀이 아니라 일반 밀가루피다.[1]

한국에도 강원도제주도 지역에서 메밀 전병고기, 감자, 등을 넣고 먹는 춘권과 비슷한 향토음식이 있다.[2]

베트남의 춘권과 유사한 요리는 "하권(Summer Roll)"이라고 불린다.

3. 식문화

뷔페 등지에서는 간간이 보이는 음식이지만, 식은 춘권은 식은 튀김류가 그러하듯이 은근 느끼해서 호불호를 탄다.

한편 중국 여행 갈 때 있는 중국 쪽 딤섬집에서도 당연히 보이는데, 완전 중국식 딤섬류는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겐 어느 정도 보험이 될 수 있는 요리.[3]

한국의 급식(학교, 군대, 회사 등)에서도 종종 나오는 편이다. 가끔 속을 카레 같은 것으로 채워넣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겉모양만 길쭉할 뿐이지 맛이나 재료 면에서는 사모사에 가까워진다.

미국의 중국식당에서 절찬리에 판매되는 음식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주문 시 거의 90% 정도로 추가되는 요리이고, 그런만큼 인기도 좋다.

4. 대중 매체에서

  • 신 중화일미에서도 등장. 주인공 류마오신이 작은 구슬 모양으로 다진 도미살을 주재료로 한 속을 넣어 만들었으며 밀가루피 대신 같은 도미에서 나온 생선껍질을 썼다. 다질 때 쓴 칼을 불에 달궈 다지는 순간 익히는 방법을 사용해 시간이 지나도 맛이 빨리 떨어지지 않게 했다는 설정으로, 가장 맛있을 때가 지났는데도 되살아난 듯 맛이 살아있다는 의미로 '전생춘권'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후속작에선 먹기 힘들 정도로 자란 죽순을 뿌리, 끄트머리, 몸통을 각각 분리 및 조리하여 만든 '시간차 죽순 춘권'을 선보인다. 한입 먹으면 처음엔 별다른 감흥을 느끼지 못하지만 춘권 전체를 먹다보면 3가지로 변하는 맛의 깊이를 느낄 수 있었다.
  • 철냄비짱에선 고반초 반점 신메뉴 품평회에서 고반초 무츠쥬가 만든 오향춘권(, 한국정발판명'우씨앙츈쥐엔')을 뛰어넘기 위해 주인공들이 고생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엑스트라들도 대량 참여해 베트남의 라이스 페이퍼부터 시작해 다양한 겉과 속재료로 만드는 춘권이 등장한다. 덤으로 위의 오향춘권은 중국에 실존하는 요리로, 위 한자어를 긁어다 검색해보면 바로 알 수 있다.

[1] 짜춘권은 춘권의 바리에이션으로, 밀가루 전병이 아닌 달걀 부침 위에 속재료를 넣은 음식으로 한국에서는 파는 곳도 많지 않을뿐더러 값이 비싸서 쉽게 접할 수 없다. 중식조리기능사 시험 과제에도 있었으나 빠졌다.[2] 다만, 식감은 한국의 메밀전병 쪽이 훨씬 더 부드럽다. 이쪽은 부치듯 부쳐서 만들기에 외피를 춘권 수준으로 바삭바삭하게 익히지 않기 때문. 시판하는 만두모양 메밀전병을 튀긴다면 바삭바삭해진다는 부분이 좀 비슷해지긴 한다.[3] 다른 것은 수정새우만두, 슈마이, 샤오롱바오, 챠슈빠오, 돼지고기부추 등이 들어간 만두 등. 모두 한국인에게 호불호를 덜 타거나 크게 낯설지 않은 맛들이다. 딤섬은 집마다 퀄리티가 다를 수 있어서 정 불안하면 한국인이 중국 딤섬집을 방문한 리뷰를 잘 보는 것이 좋다.[4] 국내판에서는 에그롤로 번역되었지만 카드에서는 정확히 춘권이라고 적혀있다.[5] 한국어판에서는 튀김만두로 번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