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12:58:21

페르시아력

이란력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5px-Standard_of_Cyrus_the_Great_%28Achaemenid_Empire%29.svg.png
아케메네스 왕조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ED6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AC0D0A><colcolor=#FED600> 역사 역사
정치 왕중왕 | 틀:역대 아케메네스 제국 샤한샤
행정구역 페르세폴리스 | 수사 | 파사르가다에 | 엑바타나
사법 · 치안 불사 부대 | 사트라프
교통 페르시아 왕도
문화 낙쉐 로스탐 | 페르시아력
종교 · 신화 페르시아 신화 | 조로아스터교 }}}}}}}}}}}}}}}
파일:이란달력.jpg
페르시아력 1400년 파르바르딘(제1월) 달력[1]

1. 개요2. 방식
2.1. 기년법2.2. 일자2.3. 요일
3. 윤년4. 여담

[clearfix]

1. 개요

태양력의 일종. 이란아프가니스탄에서는 법정 역법이다.

기원전 500년경에 아케메네스 왕조다리우스 1세가 이집트로부터 들여온 태양력이다. 기본 구조는 이집트력에서처럼 30일로 된 12달과 추가의 5일이 붙는 것이며, 계절과의 어긋남을 막기 위해서 점차 윤일을 두게 되었다.

페르시아가 이슬람화되면서 이후 페르시아력도 헤지라를 원년으로 변경하여 이슬람력과 원년이 같아졌다. 1925년 3월 31일 페르시아 마즐리스(국회)에 의해 현재와 같은 체계로 확정되었으며, 아울러 그레고리력과 호환되도록 개정되었다.[2] 아프가니스탄에서는 1957년에 본격적으로 이 달력을 도입했다. 지금도 이란아프가니스탄의 공용 달력이다.

2024년(춘분 이후)~2025년(춘분 이전)은 페르시아력 1403년이다.

2. 방식

2.1. 기년법

원년은 이슬람력과 같지만 1년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기년은 이슬람력과 차이가 난다.[3] 순수태음력인 이슬람력과 달리 춘분을 기준으로 하는 태양력이라서 일상에서는 이란 역법을 쓰고 종교적 기일에는 이슬람력을 쓴다.[4] 서력기원을 페르시아력 연도로 변환하고자 할 경우 춘분 이후 날짜는 서력기원에서 621년을, 춘분 이전 날짜일 경우 622년을 빼주면 된다.

1976년 팔레비 2세는 페르시아 민족주의 고양을 위해 헤지라 기원 1355년을 키루스 대제의 즉위를 기원으로 하여 2535년으로 바꾸었다.[5] 성직자들의 반발은 물론 이란 혁명 전야의 타협책으로 키루스 기원은 1978년 8월에 사용이 중단되었으나, 해외 이란계 망명 사회에서 지금도 간혹 쓰이기도 한다.

2.2. 일자

현재는 이란 표준시로 춘분 절입시각을 포함한 날을 1월 1일(노루즈)로 정하는데, 이를 '테헤란의 정오'라고 부른다. 1-6월은 한 달이 31일, 7-11월은 30일까지 있다. 12월은 이듬해 1월 1일에 의해 결정된다. 즉 페르시아력 12월 29일 이튿날이 1월 1일일 수도 있고, 다음다음날이 1월 1일일 수도 있다(그러면 그 사이의 하루가 12월 30일이 되는 것). 그래서 윤년은 대체로 4년에 한 번이나 5년인 때도 있다[6].

페르시아력 열두 달은 다음과 같다. 쿠르드어, 아제르바이잔어 사용 지역이나 다리어·파슈토어를 사용하는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달의 이름이 다르게 불린다. 페르시아어 이름은 조로아스터교에서 유래한 명칭이고, 다리어, 파슈토어 이름은 황도 12궁에서 따온 명칭이다. 타지키스탄에서는 공식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으나, 타지크어 이름은 다리어 이름과 사실상 동일하되 발음만 타지크어식으로 변형된 형태이다.
날수 페르시아어 이름 다리어 이름 쿠르드어 이름 그레고리력
1 31일 파르바르딘(فروردین, Farvardin) 하말(حمل, Hamal) 하켈레웨(خاکەلێوە, Xakelêwe) 3월~4월
2 31일 오르디베헤쉬트(اردیبهشت, Ordibehesht) 사우르(ثور, Sawr) 굴란(گوڵان, Gullan) 4월~5월
3 31일 호르더드(خرداد, Khordâd) 자우자(جوزا, Jawzā) 코제르단(جۆزەردان, Cozerdan) 5월~6월
4 31일 티르(تیر, Tir) 사라탄(سرطان, Saratan) 푸쉬페르(پووشپەڕ, Pûşper) 6월~7월
5 31일 모르더드(مرداد, Mordâd) 아사드(اسد, Asad) 겔라웨지(گەلاوێژ, Gelawêj) 7월~8월
6 31일 샤흐리바르(شهریور, Shahrivar) 손볼라(سنبله, Sonbola) 헤르마난(خەرمانان, Xermanan) 8월~9월
7 30일 메흐르(مهر, Mehr) 미잔(میزان , Mizān) 레즈베르(ڕەزبەر, Rezber) 9월~10월
8 30일 어번(آبان, Âbân) 아크라브(عقرب, ʿAqrab) 헤젤웨르(گەڵاڕێزان, Xezellwer) 10월~11월
9 30일 어자르(آذر, Âzar) 카우스(قوس, Qaws ) 세르마웨즈(سەرماوەز, Sermawez) 11월~12월
10 30일 대이(دی, Day) 자디(جدی, Jadi) 베프란바르(بەفرانبار, Befranbar) 12월~1월
11 30일 바흐만(بهمن, Bahman) 달배(دلو, Dalvæ) 레벤단(ڕێبەندان, Rêbendan) 1월~2월
12 29/30일 에스판드(اسفند, Esfand) 훗(حوت, Hūt) 레셰메(ڕەشەمە, Reşeme) 2월~3월
날수 아제르바이잔어 이름 파슈토어 이름 타지크어 이름 그레고리력
1 31일 아글라르귈래르(آغلار-گۆلر, Ağlar-gülər) 우라이(وری, Wray) 하말(Ҳамал, Hamal) 3월~4월
2 31일 귈랜(گۆلن, Gülən) 과이야이(غويی, Ǧwayáy) 사브르(Савр, Savr) 4월~5월
3 31일 그자란(قؽزاران, Qızaran) 그바르골라이(غبرګولی, Ǧbargoláy) 자브조(Ҷавзо, Javzo) 5월~6월
4 31일 고라 비시랜(قوْرا بیشیرن, Qora bişirən 춘가흐(چنګاښ, Čungā́x̌) 사라톤(Саратон, Saraton) 6월~7월
5 31일 구이루그 도간(قۇیرۇق دوْغان, Quyruq doğan) 즈마라이(زمری, Zmaráy) 아사드(Асад, Asad) 7월~8월
6 31일 주마르(زۇمار, Zumar) 와자이(وږی, Wáǵay) 순불라(Сунбула, Sunbula) 8월~9월
7 30일 해잴(خزل, Xəzəl) 털라(تله, Tә́la) 미존(Мизон, Mizon) 9월~10월
8 30일 그로브(قؽروْو, Qırov) 라람(لړم, Laṛám) 아크라브(Ақраб, Aqrab) 10월~11월
9 30일 아재르(آذر, Azər) 린더이(ليندۍ, Lindә́i) 카브스(Қавс, Qavs) 11월~12월
10 30일 칠래(چیلله, Çillə) 마르구마이(مرغومی, Marǧúmay) 자디(Ҷадӣ, Jadī) 12월~1월
11 30일 돈두란(دوْندۇران, Donduran) 살와가(سلواغه, Salwāǧá) 달브(Далв, Dalv) 1월~2월
12 29/30일 바이람(بایرام, Bayram) 카브(كب, Kab) 훗(Ҳут, Hut) 2월~3월

날짜 수를 상반기 31일, 하반기 30일로 고정한 것은 북반구에서 황도(黃道)를 따라 움직이는 태양의 속도가 봄~여름에 약간 늦기 때문이라고 한다.[7] 이란력 관련 스크랩 도입부에서 얘기했듯이 마지막 달, 즉 에스판드는 29일(30일)이다.

그레고리력의 1~12월을 가리키는 이름은 따로 있다. 1월은 전비예(ژانویه), 2월은 페브리예(فوریه) 등등.

2.3. 요일

페르시아력의 일주일은 위 사진에서와 같이 토요일에 시작해 금요일에 끝난다. 요일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토요일 شنبه 샨베
일요일 یکشنبه 옉샨베
월요일 دوشنبه 도샨베[8]
화요일 سهشنبه 세샨베
수요일 چهارشنبه 차허르샨베
목요일 پنجشنبه 판즈샨베
금요일 جمعه 좀에

토요일부터 시작해서 0, 1, 2, 3, 4, 5순으로 가서 금요일은 이슬람교의 정오예배인 '주마'를 요일명으로 사용한다.

이란은 금요일을 제외한 주 6일 전일 근무제(...) 국가지만 일부 사업장은 목요일 오후는 반공휴일 취급하기도 한다.

3. 윤년

이란 달력은 2820년을 주기로 나누어지며 1년이 366일로 구성된다. 2820년 동안 88번의 순환으로 나누어지며 29, 33, 33, 33, 29, 33, 33, 33, 29, 33, 33, 33 … 의 4년 주기의 패턴으로 가진다. 이런 주기로 순환하면 2816년이 되지만 4년의 윤년으로 2820년이 맞춰진다. 2820 주기는 서기 1096년에 시작되어 2820년에 683번의 윤년이 있으며 총 365.24220이 된다. 이는 실제 1년 365.24219와 매우 유사한 것이다. 다만 현대 이란 달력은 무조건 천문 현상(춘분)으로 결정되므로 이러한 패턴은 크게 의미가 없어진다.

1079년에는 33년마다 8일의 윤일을 두는 방식이 고안되었는데, 이렇게 하면 1년의 길이가 365.242424...일이 되므로 실제 태양회귀년과의 차이는 365.242424 - 365.242190 = 0.000234일, 즉 약 20초가 된다. 이는 그레고리력보다 1년의 길이를 더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이다.

즉 보통은 4년마다 윤년이 있되 33년마다 5년 간격의 윤년이 드는 것으로, 따라서 페르시아력에서 윤년이 드는 해를 그레고리력처럼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를 윤년으로 하되,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제외한다"고 정의하기 어렵다. 가령 페르시아력에서 윤년이 드는 해는 페르시아력 1370년, 1375년, 1379년, 1383년, 1387년, 1391년, 1395년, 1399년, 1403년, 1408년, 1412년, 1416년, ....이다.

4. 여담

  • 특이하게 모든 달의 1일이 황도12궁과 일치한다. 이를테면 페르시아력 제1월인 파르바르딘은 양자리, 제12월인 에스판드는 물고기자리와 일치한다. 이것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시절부터 발달해온 점성술과도 관련이 있다.
  • 춘분을 1월 1일로 하기 때문에 서방교회의 부활절 날짜를 찾는 데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페르시아력 파르바르딘(첫 번째 달, 그레고리력 기준 3~4월)에서 이슬람력으로 15일이 되는 날짜를 찾은 다음에, 그 다음 일요일을 찾으면 그 날이 서방교회의 부활절 날짜가 된다. 이 문서 상단의 달력 이미지에서 이 방법으로 부활절 날짜를 찾으면 2021년 부활절은 4월 4일이 되는데, 이 날은 실제로 서방교회의 2021년 부활절 날짜와 일치한다.
  • 삼성 갤럭시 휴대폰의 캘린더 앱에서도 음력, 이슬람력 등과 함께 보조 역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어 설정에서는 뜬금없이 '태양력'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이게 바로 페르시아력이다.[9] 영어로 설정하면 Shamsi라고 나오는데 페르시아력의 이칭이다.


[1] 그레고리력(칸 오른쪽 위에 작게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됨)으로 치면 2021년 3월 21일부터 4월 20일까지다. 칸 오른쪽 아래에 작게 동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된 건 이슬람력이다. 맨 윗줄이 토요일, 맨 아랫줄이 금요일이다.[2] 이를 Solar Hijri calendar라고 한다.[3] 가령 그레고리력 2021년 5월 1일은 이슬람력으로는 1442년 라마잔 18일이지만 페르시아력으로는 1400년 오르디베헤쉬트 11일이다.[4] 다만 오랜 경제 제재 때문에 그레고리력은 외부와 교류하는 사람들이 아닌 한 쓸 일이 없어서 잘 안 쓴다고 한다. 그레고리력을 안 쓰는 나라가 세계에서 딱 넷인데, 이란, 아프가니스탄, 에티오피아 그리고 네팔이다. # 경제제재가 아니어도 에티오피아의 예를 보면 페르시아력의 전통이 워낙 강고하기에 페르시아력 역시 경제 제제나 대외교류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쓰였을 여지는 충분하다.[5] 이를 키루스 기원, 이란 황기(Iranian Imperial calendar)라고도 한다. 헤지라 기원에 1180년을 더하면 된다. 2024년(춘분 이후)~2025년(춘분 이전)은 키루스 기원 2583년이다.[6] 태양력에서는 약 4.13년에 1번꼴로 윤년을 넣으면 된다. 이걸 맞추기 위해 그레고리력은 4년 간격으로 넣다가 예외로 8년 간격으로 넣는 때가 있으며, 페르시아력은 4년 간격으로 넣다가 예외로 5년 간격으로 넣는 때가 있다.[7] 이는 지구가 공전하면서 1월 초에 근일점을, 7월 초에 원일점을 통과하기 때문에, 케플러 제 2법칙에 의해 지구의 공전 각속도가 겨울에는 커지고 여름에는 작아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8] 타지키스탄의 수도 두샨베의 어원이다.[9] 다만 월은 음력마냥 숫자로 표기되어 가령 파르바르딘 1일은 1/1로 표기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