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10:59:21

세계력

📅 역법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fff,#000> 태양력 국제고정력 · 그레고리력 · 다리우스력 · 루미력 · 마야력 · 베르베르력 · 벵골력 · 사카력 · 세계력 · 소비에트력 · 에티오피아력 · 율리우스력 · 이집트력 · 인류력 · 전례력 · 자바력 · 콥트력 · 페르시아력 · 프랑스 공화력
태음태양력 견행력 · 대연력 · 대통력 · 대한융희사년력 · 둔갑력 · 만세력 · 명시력 · 무인력 · 바빌로니아력 · 백중력 · 사분력 · 선명력 · 수시력 · 숭정력 · 시헌력 · 십정력 · 아시리아력 · 오기력 · 움마력 · 원가력 · 은력 · 인덕력 · 천세력 · 칠요력 · 칠정산 · 태일력 · 태초력 · 회회력 · 히브리력
태음력 이슬람력
관련 개념: 공전 · 메톤 주기 · 아벨 범주 }}}}}}}}}

1. 개요2. 상세3. 각종 행사의 요일
3.1. 공휴일3.2. 기타 기념일3.3. 특정 요일 기념일
4. 장점5. 단점
5.1. 여전히 복잡하다5.2. 사회적 혼란5.3. 종교적 반발
6. 결론7. 도입 실패 및 현황8. 관련 문서

1. 개요

세계력(, The World Calendar)은 그레고리력에서 각 달의 날짜수를 규칙적으로 조정했으며 7요일을 수정한 형식의 달력이다. 1930년에 미국인 엘리자베스 아켈리스(Elisabeth Achelis)[1]가 제안했다.

2. 상세

1, 4, 7, 10월 2, 5, 8, 11월 3, 6, 9, 12월
1 2 3 4 5 6 7 1 2 3 4 1 2
8 9 10 11 12 13 14 5 6 7 8 9 10 11 3 4 5 6 7 8 9
15 16 17 18 19 20 21 12 13 14 15 16 17 18 10 11 12 13 14 15 16
22 23 24 25 26 27 28 19 20 21 22 23 24 25 17 18 19 20 21 22 23
29 30 31 26 27 28 29 30 24 25 26 27 28 29 30 31
  • : 세계요일.

달력의 형식은 1년을 3개월씩 4분기로 나눈 다음 각 분기의 첫 달은 31일, 나머지 달은 모두 30일로 하고 각 분기의 첫날은 언제나 일요일로 시작하는 식으로 설정하면 달력이 매년 똑같다. 즉, 달력 하나로 평생 쓸 수 있다.[2]

이 방식을 택하면 7요일x52주=364가 되어 365번째 하루가 남는데, 이건 1년의 마지막인 12월 30일 이후를 'World's Day'이라고 부르는 세계요일(무요일(無曜日), 주외일(週外日)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로 정하며 이 날을 세계 공통 휴일로 제정했다.

또한 윤년일 경우 6월 30일 다음 날에도 세계요일인 6월 31일을 두게 된다. 즉, 세계력으로 6월 31일에 태어난 사람들은 그레고리력으로 2월 29일에 태어난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생일이 4년마다 한 번씩 돌아오게 된다. 이건 윤년이 있는 이상 어쩔 수 없는 문제이다.

1, 4, 7, 10월은 2022년 5월, 2, 5, 8, 11월은 2022년 6월, 3, 6, 9, 12월은 2023년 9월과 달력이 같다.

3. 각종 행사의 요일

특정 기념일공휴일은 해당 요일과 날짜로 고정되지만, 설날이나 추석, 부처님 오신 날, 단오처럼 음력이 기준인 기념일은 매년 바뀔 수 있다.

대한민국의 기념일과 공휴일은 아래와 같다.

3.1. 공휴일

일자 기념일 고정 요일
1월 1일 신정 일요일[3]
3월 1일 삼일절 금요일
5월 5일[4] 어린이날 일요일
6월 6일[5] 현충일 수요일
8월 15일 광복절 수요일
10월 3일 개천절 화요일
10월 9일[6] 한글날 월요일
12월 25일 성탄절 월요일

3.2. 기타 기념일

※ 근로자의 날, 국군의 날 등 일부 직업군에서 공휴일로 취급하는 기념일은 여기에 서술한다.
일자 기념일 고정 요일
2월 14일 발렌타인 데이 화요일
3월 3일 납세자의 날 / 삼겹살 데이 일요일
3월 14일 파이의 날 / 화이트 데이 목요일
4월 1일 만우절 일요일
4월 5일 식목일 목요일
4월 14일 블랙 데이 토요일
5월 1일 근로자의 날(노동절) 수요일
5월 8일 어버이날 수요일
5월 10일 유권자의 날 화요일
5월 15일 스승의 날 수요일
5월 21일 부부의 날 화요일
5월 31일 바다의 날 목요일 or 금요일[7]
7월 17일 제헌절[8] 화요일
8월 23일 야구의 날 목요일
9월 22일 승용차 없는 날 금요일
10월 1일 국군의 날 일요일
10월 2일 노인의 날 월요일
10월 5일 세계 한인의 날 목요일
10월 15일 체육의 날 일요일
10월 31일 할로윈 화요일
11월 3일 학생독립운동기념일 금요일
11월 11일 농업인의 날 토요일
12월 3일 소비자의 날 일요일

3.3. 특정 요일 기념일

특정 요일 기념일 고정 날짜
3월 셋째 수요일 상공의 날 3월 20일
4월 첫째 금요일 예비군의 날 4월 6일
5월 셋째 월요일 성년의 날 5월 20일
10월 셋째 토요일 문화의 날 10월 21일
10월 마지막 화요일 저축의 날 10월 31일
11월 세 번째 목요일 대학수학능력시험 11월 16일

4. 장점

상술했듯 매년 똑같은 달력을 쓰기 때문에 율리우스력이나 그레고리력 등의 일반적인 역법 체계에서 나올 수 있는 오차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외에도 매년 요일이 동일하여 새로 달력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새해마다 전세계적으로 달력을 찍어내는 인쇄비와 그 달력을 전달하는 운송비 등 달력을 제작하는 데 드는 각종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국제고정력과 비슷한 장점.

또한 일요일이 31일인 달은 5주, 30일인 달은 4주이므로 주 6일제의 경우 각 달의 근무일수가 26일로 일정해 통계에도 유리하다. 단, 주 5일제의 경우 3/6/9/12월은 21일, 나머지 달은 22일로 갈린다.

5. 단점

위의 내용만 보면 그레고리력에 비해 장점이 많은 달력 체계라 그레고리력 대신 채용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단점 또한 존재했다.

5.1. 여전히 복잡하다

하술될 그레고리력과의 호환을 비롯한 문제는 대다수의 새로운 달력 체계에도 해당하는 문제이지만, 새로운 달력 체계들 중에서도 세계력은 30일과 31이 번갈아 존재한다는 점 때문에 오히려 복잡하기까지 하다. 국제고정력처럼 13개월 28일을 기준으로 윤년엔 마지막달에 하루를 추가한다든지, 프랑스 공화력이나 에티오피아력처럼 한 달에 30일씩 12개월을 가지고, 마지막 달에만 5~6일인 달력 등 어차피 그레고리력과의 호환이 불가능하다면 더 단순한 달력도 있다.[9]

5.2. 사회적 혼란

우선 세계력에는 그레고리력에 없는 2월 30일, 4월 31일, 6월 31일[10]이 생기고, 기존의 그레고리력에 존재했던 5월 31일, 8월 31일은 사라지는 등 오랫동안 써 왔던 달력 체계가 바뀌면서 이로 인한 사회, 행정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가령 세계력 체계에서 사라지는 날짜인 5월 31일, 8월 31일이 생일인 사람은 졸지에 생일이 사라지게 되고, 출생 신고서 등 각종 서류에 적힌 자기 생일을 세계력 체계에 맞춰서 수정해야 하는데 이에 뒤따르는 사회적 비용은 어마어마할 것이다.[11] 또한 기존 7요일 이외 세계요일이라는 새로운 요일 개념도 혼란을 줄 수 있다.

5.3. 종교적 반발

또한 세계요일의 존재는 안식일을 거룩히 여기는 유대교기독교측의 반대를 불러일으켰다. 유대교와 기독교 같은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에서는 십계명에 나오는 7일마다 하루씩 돌아오는 '안식일을 거룩히 여기라'는 구절을 지키는데, 세계요일의 존재로 일주일이 8일이 되면 7일마다 돌아오는 안식일이라는 개념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톨릭에서 1962년에 개최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도 종교적인 이유로 이 문제를 일부 논의했다. 그 결과 가톨릭은 종교적인 이유로 7일 1주일 체계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지지하지만, 만약의 경우에는 교황청이 판단한다는 결론을 내려 세계력을 도입하면 교황청의 결정으로 전례력을 그에 맞추어 수정할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날짜 변경으로 인한 혼란 외에도 서양에서 불길한 요일로 여겨지는 13일의 금요일이 1년에 4번이나 나오기도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 경우도 있었다. 세계력에서 1, 4, 7, 10월은 일요일로 시작하는데, 일요일로 한 달이 시작되면 13일은 언제나 금요일이다. 1년의 시작을 일요일이 아닌 월요일로 시작하는 식으로 달력을 만들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일요일을 일주일의 시작으로 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또한 국제적인 합의가 필요하다. 일요일 문서 참조. 이 단점 역시 국제고정력과 동일하다.

6. 결론

결과적으로 세계력은 편리하지만 막상 도입하기에는 여러가지 면에서 난관이 많은 달력이다.

이런 점을 감안해 보면 세계력이 어필하는 데 실패한 이유는 이미 전세계가 오랫동안 그레고리력에 익숙해져 있고, 대체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레고리력은 율리우스력 이전의 막나가는 다른 고대 달력들에 비하면 잘 정비되어 있고 정확한 역법이며, 현재 사회에 필요한 달력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다. 대체할 경쟁자도 딱히 없을 뿐더러 전세계 모든 국가들이 동일하게 쓰는 몇 안 되는 시스템 중 하나다.

세계력을 도입하는 원인이 되었던 오차 문제 또한 천문학이 발전한 오늘날에는 오차가 생길 때마다 그 때 그 때 윤일을 추가하는 식으로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율리우스력에서 그레고리력으로 바뀔 때는 달력과 실제 날짜가 10일이나 차이가 나는 상황이라 혼란을 감안하고라도 바꿨지만, 그레고리력과 세계력의 차이는 그렇게 크지 않다. 즉, 현재 상황에서는 그레고리력의 오차로 인한 손해보다 이미 뿌리내린 달력 체계를 바꾸는 데 드는 사회적 비용이 더 큰 셈.

사실 어떤 분야든지 새로운 대체재가 합리적이고 장점이 많다고 해도 무조건 기존 제품보다 인기를 끈다는 보장은 없다. 일단 익숙해지고 나면 정말 치명적인 오류가 있는 경우가 아니면 굳이 바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비슷한 예로 비디오에서 VHS가 품질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베타맥스를 압도했고, 프랑스 혁명 당시 12진법 시간 체계을 뒤바꾸기 위해 하루를 10진법으로 나누는 방법이 등장했지만 얼마 가지도 못해 사장당했고, QWERTY 자판이 드보락 자판 및 다른 배열들보다 널리 쓰이는 사례 등이 있다.

7. 도입 실패 및 현황

아켈리스는 세계력 협회를 설립하여 달력 체계를 세계력으로 바꾸기 위해 노력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등으로 공론화가 늦어져서 2차대전 종전 및 한국전쟁 휴전 후인 1954년에서야 UN에서 세계력 제정 여부를 물을 수 있었다.

하지만 위의 단점으로 인한 반대 의견이 속출해서 세계력 제정에 대한 결정은 흐지부지되었고, 결국 1956년 4월에 UN 상임이사회에서 세계력에 대한 언급을 더 이상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투표 결과 반대: 미국, 영국, 캐나다, 프랑스, 서독 등 20개국, 조건부 찬성: 일본, 이탈리아 등 10개국, 무조건 찬성: 소련, 인도, 태국 등 10개국, 무응답: 20개국으로 부결했다. 당시 UN 회원이 아니었던 대한민국은 찬성의 뜻을 보였다고.

UN 부결 이후 아켈레스는 세계력 협회를 해산시켰다. 해산 이후 2000년부터 몰리 컬크스타인(Molly E. Kalkstein) 등의 세계력을 지지하는 사람들에 의해 새로운 세계력 협회가 설립되었으며, 이 단체는 현재까지도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홈페이지 업데이트가 2013년 이후로 끊긴 상태였다가 어느 순간 사이트가 폐쇄되었다.

또 이러한 실패 이후에도 그레고리력의 오차 문제나 매년 달력이 바뀌어서 달력을 새로 제작할 때 드는 비용 등의 이유로 세계력을 표준 달력으로 제정하자는 의견이 종종 나온다. #

8. 관련 문서



[1] 1880년 뉴욕에서 태어났으며, 1973년에 9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위키백과 링크아켈리스의 생애에 대해 간략하게 서술한 웹페이지[2] 엄밀히 말해 이는 틀린 말인데, 이유는 하술할 윤년이 있기 때문[3] 1월 1일은 원래 공휴일이기 때문에 대체휴일을 만들어야 하나, 사실상 1월 1일 전날에 있는 세계요일이(12월 31일) 공휴일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4] 5월 첫째 주 월요일로 바뀌면 5월 6일.[5] 6월 첫째 주 월요일로 바뀌면 6월 4일.[6] 10월 둘째 주 월요일로 바뀌어도 동일.[7] 세계력 체계에는 아예 없는 날짜이므로 날짜 변경이 필요하다. 5월 30일로 바뀐다면 목요일로, 6월 1일로 바뀐다면 금요일로 고정된다.[8] 공휴일 재지정론이 있었으며 실제로 황주홍, 전병헌 등에 의해 법안이 발의된 적이 있다.[9] 하지만 이 때문에 위 달력들은 분기별 계산에 불리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국제고정력은 1년을 13개월로 나누기 때문에 4분기로 나눌 수 없고, 프랑스 공화력이나 에티오피아 달력은 4분기로 나누면 90일-90일-90일-95일로 날짜 차이가 커 통계내기 불리하다.[10] 윤년 한정. 그 외에도 윤년에만 있던 2월 29일이 매년 있게 된다.[11] 율리우스력에서 그레고리력으로 바뀔 때에는 기존의 날짜를 없애지는 않아 그런 문제가 없었다. 단, 그레고리력으로 넘어가면서 춘분의 날짜를 3월 말로 맞추기 위해 1582년 10월 5일부터 14일까지 열흘을 삭제한 적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