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09:45:46

둔갑력

📅 역법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fff,#000> 태양력 국제고정력 · 그레고리력 · 다리우스력 · 루미력 · 마야력 · 베르베르력 · 벵골력 · 사카력 · 세계력 · 소비에트력 · 에티오피아력 · 율리우스력 · 이집트력 · 인류력 · 전례력 · 자바력 · 콥트력 · 페르시아력 · 프랑스 공화력
태음태양력 견행력 · 대연력 · 대통력 · 대한융희사년력 · 둔갑력 · 만세력 · 명시력 · 무인력 · 바빌로니아력 · 백중력 · 사분력 · 선명력 · 수시력 · 숭정력 · 시헌력 · 십정력 · 아시리아력 · 오기력 · 움마력 · 원가력 · 은력 · 인덕력 · 천세력 · 칠요력 · 칠정산 · 태일력 · 태초력 · 회회력 · 히브리력
태음력 이슬람력
관련 개념: 공전 · 메톤 주기 · 아벨 범주 }}}}}}}}}

1. 개요2. 참고 문헌

1. 개요

둔갑력(遁甲曆)은 고려 시대에 양원호(梁元虎)가 편찬한 역법서이다. 당시 고려는 당나라 시절에 만든 선명력을 채용하여 사용하였는데, 고려가 건국된 지 100년이 지나자 오차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에 역법의 오차를 줄이고자 고려 문종 6년(1052)에 만든 고유의 역법이다.

하지만 고려 문종시기에는 선명력을 계속 사용했기 때문에 둔갑력이 공식적으로 시행했다는 기록은 없다. 칠요력(七曜曆)·십정력(十精曆)·견행력(見行曆)·태일력(太一曆) 과 함께 편찬되었다.

2. 참고 문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