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2em; min-width: 30%;" {{{#!folding [ 메인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0;" | I | II | III | IV | V | VI | |
VII | VIII | IX | X | XI | XII | ||
XIII | XIV | XV | XVI | ||||
IV 시리즈 | IV · 달의 귀환 | ||||||
VII 컴필레이션 | VII · ADVENT CHILDREN · BEFORE CRISIS · CRISIS CORE (REUNION) · DIRGE of CERBERUS · EVER CRISIS | ||||||
VII 리메이크 프로젝트 | VII 리메이크 · VII 리버스 | ||||||
X 시리즈 | X · X-2 | ||||||
XII: 이발리스 얼라이언스 | XII · 레버넌트 윙 | ||||||
XIII: 파불라 노바 크리스탈리스 | XIII · XIII-2 · 라이트닝 리턴즈 | ||||||
XV 유니버스 | XV 유니버스 작품 목록 |
}}}
}}}
- [ 외전 시리즈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white,#191919><colcolor=#000><bgcolor=#BBBBBB> 택틱스 ||FFT · FFTA · FFTA2 봉혈의 그리모어 · FFT: 사자전쟁 ||
디시디아 디시디아 · 유니버설 튜닝 · 듀오데심 · 디시디아 NT · 오페라 옴니아 CC 크리스탈 크로니클 · 링 오브 페이트 · 작은 임금님과 약속의 나라 · 에코즈 오브 타임 · 빛과 어둠의 희군과 세계정복의 탑 · 크리스탈 베어러 외전 성검전설 · 미스틱 퀘스트 · 빛의 4전사 · TYPE-0 · 시아트리듬 · 월드 오브 FF · 스트레인저 오브 파라다이스 모바일 디멘션즈 · 에어본 브리게이드 · ATB · 픽트로지카 · 레코드 키퍼 · 뫼비우스 · 그랜드마스터즈 · FFBE · FFBE 환영전쟁 오프라인 TCG · MTG 오리지널 영상 언리미티드 · 더 스피릿 위딘 · 빛의 아버지
ワールド オブ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 WORLD OF FINAL FANTASY | |
제작 | 스퀘어 에닉스 / 토세 |
유통 | 스퀘어 에닉스 |
| |
장르 | RPG |
플랫폼 | PS4 · PS Vita PC · NS · XB1 |
발매일 | |
| |
PC 2017년 11월 22일 | |
등급 | |
CERO | B (12세 이용가) |
ESRB | E10+ (10세 이상) |
PEGI | 12 (12세 이상 대상) |
GRAC | 12세 이용가 |
공식 사이트 | |
[clearfix]
1. 개요
오프닝 무비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외전 작품.
E3 2015에서 공개된 작품 중 유일하게[1] PS4 뿐만이 아닌 PS Vita로도 발매.
'그리모와르'라는 세계를 배경으로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 여행을 떠나는 렌과 란 남매의 모험을 주제로 하고 있다.
'미라쥬'라고 하는 몬스터 및 소환수들을 동료로 삼고 성장시켜 싸우며,[2] 지금까지의 파이널 판타지에 등장했던 몬스터 및 소환수들이 등장한다. 빛의 전사, 라이트닝, 클라우드, 스퀄, 유우나 등의 기존 시리즈 캐릭터들도 등장한다.
2016년 10월 16일 PS4, PS Vita용 체험판이 배포되었다. 한글판도 17일 배포됐다.
여담으로 이 게임에 사용된 캐릭터들의 SD 디자인은 픽트로지카 파이널 판타지에서 사용된 디자인이다.
2. PV
발매일 발표 트레일러 | MAXIMA TGS 2018 트레일러 |
3. 테마곡
Innocent2 |
- 작곡: 야마자키 료 (山崎良)
- 작사 및 노래: 瑞葵(mizuki)[3]
4. 시스템
4.1. ATB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의 전투 시스템은 다른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와 같이 ATB를 따르고 있다. 다만 다른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는 인물의 이름별로 우측에 ATB 바가 있어 그 바가 다 차면 전투 순서가 오는 것과 다르게, 화면 좌측에 세로로 적과 아군의 순서가 있어 민첩 수치에 따라 다른 속도로 올라오며 바의 꼭대기에 올라오면 아군이든 적이든 공격 기회를 갖는 것으로 한다.4.2. 미라쥬 시스템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는 미라쥬를 포획해 동료로 삼고, 미라쥬를 육성하고 올려올려 편성에 넣어 전투에서 함께 한다. 미라쥬를 포획하기 위해서는 미라쥬마다의 고유의 '가든 젬\'이 필요한데, 젬은 해당 미라쥬와 전투에서 승리하기만 해도 얻을 수 있다. 기계의 경우에는 젬 대신 '알트박스\'가 필요하며, 피가로성 스토리 이후 나인우즈 힐의 노스 워크에 있는 초코라떼에게서 구매할 수 있다.
또 가든 젬 또는 알트 박스가 있는 상태에서 전투에서 '젬젬 찬스\'를 만들어야 포획할 수 있다. 젬젬 찬스를 만드는 방법은 라이브라를 시전하면 알 수 있으며, 한 번 알게 되면 영구적으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젬젬 찬스는 복수회 중첩이 가능하며 중첩이 될수록 포획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포획에 실패하면 반격하기도 하고, 도주하는 적들도 있는데 이럴 때는 도주 불가 어빌리티가 있는 미라쥬를 올려올려 편성에 넣고 포획을 시도하면 된다.
미라쥬는 미라쥬 보드를 통해 어빌리티를 배우거나 스테이터스 수치를 육성할 수 있다. 미라쥬 보드는 마치 파이널 판타지 X의 스피어 반 시스템과 비슷한데, 다른 점은 미라쥬마다 각각의 미라쥬 보드가 있다는 점이다. 미라쥬의 레벨이 상승하면 SP(스킬 포인트)를 획득하며, 획득한 SP를 소비해 어빌리티를 배우거나 스테이터스 수치를 올릴 수 있다. 어빌리티나 스테이터스 수치를 획득할수록 싱크로율이 올라가는데, 각 25%, 50%, 75%를 달성할 때마다 보너스 스테이터스 수치를 얻는다.
미라쥬 보드는 미라쥬에 따라 어빌리티, 스테이터스 수치 뿐만 아니라 미라스톤이나 젬을 얻을 수도 있다. 미라쥬 보드에는 빈 상자도 있는데 그곳에 다양한 씨앗을 넣어 개성적인 미라쥬를 육성할 수 있다. 씨앗이 들어간 빈 상자는 또 다른 씨앗을 넣어서 바꿀 수도 있다.
또한 미라쥬의 기억을 구해 놓은 상태에서 레벨 조건을 만족한 경우 진화시킬 수도 있으며, 또 아종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미라쥬의 기억은 보통 영혼 퀘스트를 완료하거나, 투기장, 또는 던전의 은신처에 있는 적을 격파하면 얻을 수 있다.
경험치 획득량은 올려올려 편성에 있는지 단순히 소지하고 있는 상태인지에 따라 다르다. 전투 종료 후 획득한 경험치는 올려올려 편성에 있는 네 미라쥬와 렌, 란에게 공평하게 분배되며(100%÷6=16.67%), 그렇지 않고 소지한 상태의 미라쥬에게는 8%만, 소지하지 않고 젬 케이스에 보관되어 있는 미라쥬에게는 분배되지 않는다.
미라쥬 보드를 전부 배우게 되면 별 표시를 얻으면서 마스터 상태가 되며, '마스터 보너스\'를 선택해 얻을 수 있다. 다만 마스터 보너스는 한 번 선택하면 영구적으로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아종까지 있는데 한쪽 종의 미라쥬 보드만 전부 배우는 경우 은색 별 표시가 되며, 아종의 미라쥬 보드까지 전부 배우면 금색 별 표시로 바뀌면서 마스터 보너스를 또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아종 간 마스터 보너스는 서로 공유되지 않는다.
4.3. 올려올려 편성
모든 미라쥬는 크기에 따라 S(Small), M(Middle), L(Large), XL(Extra Large) 4개의 범주로 구분된다. 그리고 미라쥬는 아래에서 위부터 L, M, S 순으로 탑처럼 쌓아 함께 전투할 수 있다. 이를 '올려올려 편성\'이라고 부른다. 렌과 란은 '거인\' 형태와 '프리멜로\'(2등신) 형태, 두 형태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는데 거인 형태는 L, 프리멜로 형태는 M 크기 판정을 받는다.
올려올려 편성 상태가 되면 각 구성원의 모든 스테이터스 수치, 내성 수치, 이상 상태 수치가 합산된다. 게다가 같은 속성의 어빌리티를 갖고 있는 미라쥬끼리 올려올려 편성을 하고 란이나 렌이 같은 속성의 미라스톤을 장착한 경우 강력한 상위 속성의 어빌리티가 생성되는데 이를 '합체 어빌리티\'라 부른다. 또 검이나 이빨처럼 무기를 들고 있는 미라쥬끼리 올려올려 편성을 하면 '협력 어빌리티\'도 생성된다. 이런 어빌리티들은 어빌리티 메뉴에서 어빌리티명 옆에 마름모꼴 3개가 붙어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올려올려 상태가 전투에 유리할 수밖에 없다. 다만 예를 들어 같은 속성의 약점을 갖고 있는 미라쥬를 올려올려 편성에 넣는 경우 약점이 중첩되면서 해당 속성의 공격을 받는 경우 피해량이 더 커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올려올려 편성을 구성할 때 이 점을 감안해 전략적으로 편성해야 한다.
올려올려 편성은 아군뿐만 아니라 적도 할 수 있고, 이를 방해할 수 있는 어빌리티도 있다. 어빌리티 설명에 '올려올려 붕괴\'라고 적혀 있는 것들이다. 올려올려 붕괴 효과가 있는 어빌리티를 시전하면 대상의 머리 위에 노란색 또는 빨간색 바가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면서 좌우로 흔들거리는 형태가 나오는데 이를 '비틀비틀\' 상태라고 부른다. 비틀비틀 상태가 심해질수록 머리위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바가 없이도 겉으로 흔들거리는 모습이 나타날 정도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공격을 받거나 올려올려 붕괴 기술을 맞으면 올려올려 상태가 무너진다. 이를 '따로따로\' 상태라고 부른다.
따로따로 상태는 올려올려 붕괴 상태가 아닌 전투에서 따로따로 버튼으로도 따로따로 상태가 될 수도 있지만, 가장 큰 문제는 각개격파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게다가 올려올려 상태에서 붕괴하면 한동안 스턴 상태가 되면서 위험이 더 커진다. 이는 적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올려올려 상태의 적이 어려운 경우 붕괴시킨 후 각개격파 전략으로 격파할 수도 있다.
비틀비틀 상태는 비틀비틀 안정제나 밸런스, 밸런가 어빌리티로 회복할 수 있다. 비틀비틀 안정제는 나인우즈 힐의 노스 워크에 있는 초코라떼에게서 구매할 수 있다.
4.4. 거대 미라쥬
XL형 미라쥬를 '거대 미라쥬\'라고 부른다. 거대 미라쥬는 올려올려 편성에 넣지 못하고,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렌과 란 올려올려 편성의 합산 AP가 만족하는 경우 소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한 전투 당 소지한 거대 미라쥬 하나 당 한 번만 소환할 수 있다. 즉 거대 미라쥬를 복수개 소지하고 있으면 갖고 있는 거대 미라쥬마다 한 번씩 복수회 소환할 수 있다는 뜻이다. 아래 버튼을 눌러 소환할 거대 미라쥬를 선택할 수 있으며, 클래식 메뉴 모드로 전환해서 거대 미라쥬를 선택해서 할 수도 있다. 소환한 거대 미라쥬의 체력 또는 AP 어느 한 쪽을 다 소비하면 사라지면서 보통 전투 모드로 바뀌며, 렌과 란 올려올려 편성의 AP가 0에서 시작한다.거대 미라쥬 중 바하무트가 가장 강력해 어느 정도 육성되고 나면 즐겨 사용하게 된다. 바하무트의 메가 플레어는 그 어떤 미라쥬의 어빌리티보다도 강력한데, 바하무트의 남은 HP, AP가 적을수록 위력이 증폭된다. 그렇기 때문에 통상 공격이나 플레어로 공격해 AP를 소비하고, 남은 HP와 턴 상태를 관찰해 적절한 때에 메가 플레어를 시전하면 적 전체에 절륜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4.5. 미라스톤과 세이버 스톤
어빌리티나 스테이터스 수치 등이 있는 스톤으로 렌과 란이 장착해 사용할 수 있다. 렌과 란의 레벨이 올라갈수록 장착할 수 있는 미라스톤 수가 증가하며, 투기장에서 도거의 마도기, 우네의 몽환경, 쥐의 꼬리, 그리폰 하트를 구해도 장착할 수 있는 미라스톤 갯수가 증가한다. 미라스톤은 주로 보물상자에서나 미라쥬 육성을 통해 구할 수 있다.세이버 스톤은 MAXIMA DLC에 추가된 것으로, 렌과 란이 세이버 스톤을 장착하면 해당 세이버로 변신해 그 세이버 고유의 어빌리티들을 무작위로 시전할 수 있다. 다만 세이버 메달은 성별을 맞춰서만 장착할 수 있다는 것과 세이버 메달을 장착하는 경우 거대 미라쥬와 세이버 메달 소환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세이버 스톤은 이름을 잊은 소녀에게서 '알마 젬\'으로 구매할 수 있다. 알마 젬은 스토리를 진행하기만 해도 보스전을 통해 구할 수 있지만, 결국 알마 젬을 얻으러 투기장에 가게 된다. 세이버 메달과 스톤, 영혼 퀘스트까지 진행하다 보면 스토리에서 얻는 알마 젬으로는 부족한 편이기 때문.
4.6. 세이버 메달
전투에 세이버를 강제로 소환하는 기술. 스토리를 진행하면 특정 세이버 메달을 구매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름을 잊은 소녀에게서 알마 젬으로 구매할 수 있다. 메달은 최대 3개 장착할 수 있으며, 위 버튼으로 소환할 세이버를 선택하거나 클래식 메뉴로 전환해 세이버 메뉴를 통해 소환할 세이버를 선택할 수 있다. 좌측 하단에 구슬 모양의 세이버 게이지가 있으며 이름을 잊은 소녀의 말에 따르면 미라쥬를 처치하거나 렌과 란이 피해를 입는 경우 게이지가 상승한다고 한다. 게이지가 꽉 차면 별 1개가 표시되면서 1 포인트가 되며, 3 포인트까지 누적시킬 수 있다.세이버에 따라 능력도 게이지 소비량도 천차만별인데 세이버로 주로 샨토토를 사용하게 된다. 그 이유는 샨토토의 매직 버스트는 강력한 흑마법사로 6개의 속성으로 공격한다는 설정인데, 적의 속성 중 하나라도 약점이 있으면 약점 판정이 나면서 공격력이 증폭되기 때문이다. 소비량도 별 하나 뿐이라 발동하기도 쉽다.
5. 등장인물
5.1. 주요 인물
- 렌 & 란 - 주인공 (CV : 렌 - 아마미야 소라 / 아만다 레이튼, 란 - 사이토 소마 / 조시 키턴)
- 타마 (CV : 타케타츠 아야나 / 리사 케이 제닝스)
- 에나 크로 (CV : 하나자와 카나[4] / 커샌드라 리 모리스)
- 세라피 (CV : 키타무라 에리 / 낸시 설리번(Nancy Sullivan))
- 이름을 잊은 소녀[5] (CV : 히라노 아야 / 제이드 페티존(Jade Pettyjohn))
- 어윈 (CV : 스포일러 / 스포일러)
- 루스 (CV : 스포일러 / 스포일러)
- 로크 (CV : 스포일러 / 스포일러)
5.2. 바하무트군
- 바하무트왕 브렌딜리스 (CV : 시바타 히데카츠 / 토니 애먼돌라)
- 황금 가면의 기사 세그리와데스 (CV : 타나카 히데유키 / 데이비드 보트)
- 날개의 기사 펠리노어 (CV : 한 케이코 / 제니퍼 헤일)
- 가면을 쓴 여성 우웨인 (CV : 우치다 마아야 / 에덴 리겔)
5.3. 세이버
파이널 판타지의 유명 캐릭터들이 등장하긴 하지만 본편과 성격이 대체적으로 동일할 뿐 완전 별개의 캐릭터다. 기본적으로 캐릭터의 큰 틀은 유지했으나, 클라우드나 스퀄, 라이트닝 같이 원작에서 한 성격 하던 캐릭터들은 다소 성격들이 부드러워진 편.[6]티다와 처음 만나서 대화를 해보면, 유우나를 모르는 상태다.[7] 클라우드의 경우도 소중한 사람을 빼앗은 세피로스를 쫓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캐릭터 사전에서는 추측해 달라고 적혀있다. 니블헤임의 전신이 미스트의 마을이라 미스트의 대화재로 리디아는 어머니를 잃고, 티파는 큰 상처를 입은 채 스승에게 구조되어 그 인연으로 스승을 사사하고 수행하고 있다는 배경이다. 다만 길가메시가 이 세계에서 만난 적도 없는 바츠의 이름을 알고 있는 건 차원 여행자다 보니 바츠의 기억이 혼에 어느 정도 각인된 수준이라 그렇다고 한다.
게임에서 세라 공주의 말에 따르면 세이버는 기적의 힘에 눈 뜨는 구세주이며, 그 빛을 간직한 자를 어플리컨트라고 부른다. 0번 마광로에서 눈을 뜬 비비 역시 에드가가 세이버라 부르고 있는 것을 보면 세이버 메달이나 스톤에 없는 사람도 세이버라 부르고 있다.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이름 | 성우 (일본어 / 영어) |
파이널 판타지 | 빛의 전사 | 세키 토시히코 / 그랜트 조지 |
가란드[M] | 이시이 코지 / 크리스토퍼 사바트 | |
세라 공주 | 이치류사이 하루미 / 브룩 라이온스 | |
파이널 판타지 II | 프리오닐[M] | 미도리카와 히카루 / 조니 용 보시 |
파이널 판타지 III | 레피아 | 히카사 요코 / 에리카 멘데즈 |
파이널 판타지 IV | 세실 하비[M] | 호도시마 시즈마 / 유리 로웬탈 |
파이널 판타지 V | 바츠 클라우저 | 호시 소이치로 / 제이슨 스피색 |
파리스 셰르비츠 | 타나카 리에 / 에밀리 오브라이언 | |
길가메시 | 나카이 카즈야 / 키스 사라바이카 | |
파이널 판타지 VI | 에드거 로니 피가로 | 미키 신이치로 / 레이 체이스 |
셀리스 셰르 | 쿠와시마 호우코 / 크리스티나 로즈 | |
티나 브랜포드 | 후쿠이 유카리 / 내털리 랜더 | |
파이널 판타지 VII | 티파 록하트 | 이토 아유미 / 레이철 리 쿡 |
세피로스[11] | - | |
크라이시스 코어 | 잭스 페어[M] | 스즈무라 켄이치 / 릭 고메즈 |
파이널 판타지 IX | 비비 오르니티어 | 오오타니 이쿠에 / 캐스 수시 |
파이널 판타지 X-2 | 류크 | 마츠모토 마리카 / 타라 스트롱 |
파이널 판타지 XI | 샨토토 | 하야시바라 메구미 / 캔디 마일로 |
파이널 판타지 XII | 발프레아[13] | 히라타 히로아키 / 기디온 에머리 |
파이널 판타지 XIII | 스노우 빌리어스 | 오노 다이스케 / 트로이 베이커 |
파이널 판타지 XIII-2 | 세라 파론[M] | 코토부키 미나코 / 로라 베일리 |
초코라떼 | 우에다 세이코 / 줄리 네이선슨 | |
파이널 판타지 XIV | 야슈톨라[M] | 카야노 아이 / 로빈 애디슨 |
파이널 판타지 XV | 녹티스 루시스 카일룸[M] | 스즈키 타츠히사 / 레이 체이스 |
에코즈 오브 타임 | 셸로타 | 이노우에 마리나 / 스테파니 셰이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시드 | 모리쿠보 쇼타로[17] /윌리엄 샐이어스 |
킹덤 하츠 시리즈 | 소라[18] | 이리노 미유 |
5.3.1. 트윈 에스
반바하무트 연방 왕국 단체로 구성원은 아래와 같다.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이름 | 성우 (일본어 / 영어) |
파이널 판타지 VII | 클라우드 스트라이프 | 사쿠라이 타카히로 / 스티브 버튼 |
더지 오브 케르베로스 | 셸크 루이 | 오리카사 후미코 / 카리 월그런 |
파이널 판타지 VIII | 스퀄 레온하트 | 이시카와 히데오 / 더그 어홀츠 |
키스티스 트리프 | 사와시로 미유키 / 크리스티나 페식 | |
파이널 판타지 X | 티다 | 모리타 마사카즈 / 제임스 아놀드 테일러 |
라이트닝 리턴즈 | 라이트닝 | 사카모토 마아야 / 알리 힐리스 |
5.3.2. 소환사
미라쥬를 사역할 수 있는 세이버. 캐릭터 사전에 따르면 거인 여왕, 루스의 기술이 이어진 것이라고 한다.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이름 | 성우 (일본어 / 영어) |
파이널 판타지 IV | 리디아 | 시타야 노리코 / 캐롤라인 메이시 |
파이널 판타지 IX | 에코 캐롤 | 카네모토 히사코 / 미케일라 질 머피 |
파이널 판타지 X | 유우나 | 아유키 마유코 / 헤디 버레스 |
5.4. 일곱 기둥
그리모와르에서 가장 강력한 일곱 미라쥬로 일곱 기둥으로 알려져 있다.- 이프리트 (CV : 후지와라 케이지 / 매튜 워터슨)
- 시바 (CV : 혼다 타카코 / 에이드리언 윌킨슨(Adrienne Wilkinson))
- 라무 (CV : 오오키 타미오 / 윌리엄 H. 바셋 (William H. Bassett))
- 리바이어던 (CV : 이케다 마사코 / 클로디아 블랙 (Claudia Black))
- 오딘 (CV : 코바야시 키요시 / 밥 졸스 (Bob Joles))
- 디아볼로스 (CV : 야마지 카즈히로 / 로빈 앳킨 다운스)
- 바하무트 (CV : 코바야시 마사히로 / 프레드 태터쇼어)
5.5. 그 외
- 사보텐 차장 (CV : 치바 시게루 / 앤드류 모리스(Andrew Morris))
- 모그리 (CV : 모로호시 스미레 / 베일리 갬버톨리오)
- 마스터 톤베리 (CV : 나카타 죠지 / 스티븐 바(Steven Barr))
- 고블린 프린세스 (CV : 코바야시 유우 / 자넬 콕스(Janell Cox))
- 언데드 셀럽 (CV : 나바타메 히토미 / 데보라 세일 버틀러(Deborah Sale Butler))
- 아다만 (CV: 이와사키 히로시 / 윌리엄 프레드릭 나이트)
- 퀸 아쵸 (CV : 미모리 스즈코 / 애슐리 버치)
- 오르트로스 (CV : 오노사카 마사야 / 샘 리겔)
- 이프리타 (CV : 타무라 유카리 / 타니아 구나디)
- 시-바 (CV : 미야노 마모루 / JP 칼리악)
- 라뮤 (CV : 스도 후카 / 알렉산드라 마이어(Alexandra Meyer))
6. 평가
- 원판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기준일:
2017-01-17
2017-01-17
'''[[https://www.metacritic.com/game/world-of-final-fantasy/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https://www.metacritic.com/game/world-of-final-fantasy/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상세 내용 |
기준일: 2016-10-26 | |||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 | 평론가 평점 78 / 100 | 평론가 추천도 60% | 유저 평점 XX / 100 |
- MAXIMA DLC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기준일:
2018-11-22
2018-11-22
'''[[https://www.metacritic.com/game/world-of-final-fantasy-maxima/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https://www.metacritic.com/game/world-of-final-fantasy-maxima/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상세 내용 |
기준일: 2018-11-19 | |||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 | 평론가 평점 76 / 100 | 평론가 추천도 46% | 유저 평점 XX / 100 |
6.1. 긍정적 평가
- 아기자기하고 예쁜 디자인
게임 그래픽은 아기자기하고 예쁘다는 평가가 많다. 환경은 전체적으로 동화스럽게 표현되어 있고, 미라쥬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에 있는 몬스터들을 귀엽게 만들었으며, 인물들을 전부 2등신으로 만들었다. 란과 렌은 '언덕에서 온 거인'으로도 '프리멜로'(2등신)로도 변신할 수 있다. 그러나 좋은 L급 미라쥬는 게임 초반부터 얻기 쉬운 반면, 좋은 M급 미라쥬는 게임 최후반에서 얻을 수 있는 바람에, 전투 효율 때문에 렌과 란을 주로 프리멜로 형태로 다니게 된다. 문제는 이런 프리멜로 같은 2등신 디자인은 서구권에서 좋아하는 사람이 적은 호불호가 갈리는 디자인이라는 점이다.
- 개성 있는 미라쥬와 전략적인 올려올려 편성 시스템
100개도 넘는 미라쥬가 있으며, 제각기 외모나 성능면에서 개성이 있고, 마치 포켓몬처럼 육성해 진화시킬 수도 있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렇다 보니 다양한 올려올려 편성 조합을 취할 수 있는데, 적의 올려올려 편성을 빠르게 붕괴시키는 조합이나, 이상 상태 공격 조합, 속성별로 가장 강력한 마법(~쟈 시리즈, 플레어, 알테마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조합, 속성 면역 내지는 흡수 조합 등 다양한 조합을 짤 수 있다. 다만 전투가 ATB 시스템으로 유사 턴제 전투 방식인데 턴제 전투는 호불호가 갈린다는 점이 있다.
- 파이널 판타지 팬들을 위한 오마주
원작을 적극적으로 오마주해 파이널 판타지 팬들이라면 쉽게 알아채 2차 창작물을 즐기는 느낌을 받거나 과거의 향수에 젖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
6.2. 부정적 평가
- 일반 장면, 3D 컷신과 애니메이션의 부조화
특히 애니메이션 부분이 악평을 들었다.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 전문 제작 회사가 만들지 않고 위탁 게임 개발 회사였던 TOSE에서 직접 만들었는데, 이것이 문제로 보인다. 스퀘어 에닉스가 개발 비용을 절감하려다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서사 문제
- 유치한 초반 서사
게임 스토리의 초반에는 란과 타마의 보케와 렌의 츳코미 개그로 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보기 부끄러울 정도로 유치하다는 평이 많다. 특히 란은 말장난 개그가 아닌 백치 개그를 하는데, 단어를 잘못 알아듣거나 조금 어려운 단어가 나와도 이해 못 하고 딴소리를 하는데 일본인들도 도저히 못 견뎌서 건너뛴다고 한다. 게다가 란은 백치 개그도 문제지만 스토리 상에서도 경솔하게 구는데 후반에 스토리의 분위기가 바뀔 때 이 란의 백치 개그 표현이 상당히 거슬린다. - 논란의 후반 서사
후반의 서사는 전반의 쌍둥이 남매의 여행이 악당들에게 조종 당한 것이고 이전에도 쌍둥이 남매가 악마라 불렸을 정도로 이와 같은 큰 실수를 저지른 이력이 있다는 내용과 결국 쌍둥이 남매는 그리모와르의 문제를 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세계를 떠나야 한다는 서사 전개는 상당한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에나 크로 덕분에 세이버로 만들어져 가든 젬에 들어간 방식으로 그리모와르 세계에 있을 수 있었지만, 그것은 렌과 란 본인들이 완전히 그리모와르 세계에 돌아온 것이 아니었다. MAXIMA에 추가된 쿠기 영상에 따르면 렌은 행방불명 상태이며 란은 그리모와르가 아닌 디아볼로스왕의 세계에서 렌을 찾으러 방랑하고 있는 것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그리고 란의 왼팔에만 있던 신의 낙인이 어쩐 일인지 양손 다 갖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사실상 미회수 복선인 셈.
- 어중간한 구성
윗 문단처럼 초반에 밝고 유치한 분위기와 포켓몬과 비슷한 요소로 젊은이들을 노리고, 파이널 판타지의 오마주 요소들과 후반의 어둡고 허탈한 서사는 기성팬들과 성인들을 노려 일거양득을 노린 것으로 보이는데, 문제는 어중간해지면서 두 계층 모두 만족시키는데 실패했다는 평이다.
- 불합리한 미니 게임
특히 렌의 사보텐 차장 때리기와 모래바다 전투가 악명 높다. 영혼 퀘스트 '5대 마진 도서가' 1편에서 사보텐 차장을 때리는 것은 사실상 운에 가깝다. 너무 빨리 사라져 보고 맞추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스토리 진행을 위해서 싫어도 해야 한다. 다만 이 영혼 퀘스트를 끝내고 남매의 방에서 하는 사보텐 때리기는 보고 때릴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두 번째로 모래바다 전투는 악명이 더 높았다. 유사 보드 게임으로서 체력 3인 마도아머를 탄 티나와, 체력 2인 셸크, 체력 1인 비비를 배치해 마진이 공격한 위치를 보고 숨어 있는 마진을 추측으로 찾아낸 다음 공격해 쓰러뜨리는 것이다. 문제는 무작위로 마진이 배치 되는 바람에 재수없이 비비를 공격한다면 비비의 체력이 1이라 사라지면서 불리하게 시작할 수 있다. 또 모든 마진이 배치된 사람의 사정거리 밖으로 배치되면 적의 위치를 찾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이동해야 한다. 이동 역시 턴 하나가 소비되기 때문이다.
다행히도 MAXIMA판에서는 모래바다 전투의 난이도를 낮추면서 문제를 해결했다.
- 번역 품질 문제 (한국판 한정)
일부 고유 용어들의 오역이 치명적이다. 인명의 번역은 논란이 있었기 때문에 차치하더라도, 0번 마광로라는 지명은 잘못된 번역이며 0번 마황로가 맞다. 왜냐하면 일본명은 零番魔晄炉, 영명은 Mako Reactor 0로 어디서든 마광로로 번역할 이유가 없다. 또 파이널 판타지 XI의 인물 샨토토를 샹토트로 잘못 번역했다. 일본명은 シャントット, 영명은 Shantotto로 한국에서는 디시디아 시리즈에서 샨톳토, 파이널 판타지 14에서는 샨토토로 나름 타당하게 번역됐으나,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는 엉뚱하게 샹토트로 번역했다. ト와 -tto를 트로 번역할 이유가 없다.
가장 심각한 번역 상태는 MAXIMA DLC에 추가된 잭스의 영혼 퀘스트인데, 일본어 'ソルジャーの誇り', 영어 'SOLDIER Honor'를 병사의 명예로 번역했다. 파이널 판타지 7의 솔저를 직역하는 오류를 저지른 것이며, '솔저의 명예'가 적당한 번역이다. 또한 에드가의 대화에서 'ファーストクラス'라고 말하는 걸 1등급으로 번역했는데, '퍼스트 클래스'라 직역하는 것이 옳다. 이런 번역 오류들은 스퀘어 에닉스의 감수가 없거나 부실했던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7. 반응
발매 전에 체험판을 배포하는 등, 스퀘어 에닉스가 나름 신경 쓴 게임이었으나, 일본에서 발매 첫 주는 소드 아트 온라인: 할로우 리얼라이제이션에 밀려 플레이스테이션 4판, PS Vita판 각각 주간 판매량 3, 4위에 머물렀다. PS4판은 일본에서 덤핑까지 되었다. 서구권에서도 NPD가 조사한 2016년 10월 판매량은 순위권에도 없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2018년 치바 히로키(千葉広樹) 메인 스토리 작가 겸 디렉터는 전격 온라인과의 인터뷰에서 MAXIMA가 아닌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판매량이 90만장을 돌파해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고 말했다.#
게임에 밝혀지지 않은 설정들이 잔뜩 있어 후속작을 위해 일부러 각 원작 캐릭터들의 스토리를 남겨놓은게 아닌가 싶은 면이 있다. 실제로 캐릭터 사전을 읽다 보면 노골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것들에 대해선 다음 기회에 밝히겠다는 식으로 말하는 장면이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관련 영혼 퀘스트를 진행하면 은발의 검사(=세피로스) 이야기가 나오는데, 타마나 세라피의 말로는 세피로스는 안티 세이버로 혼돈을 가져온다고 하지만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건 추가...(컨텐츠?)"란 말을 하려다가 멈춘다. 그 외에도 후속작을 위한 복선이 곳곳에 깔려있다. 그러나 2024년에 치바 히로키가 스퀘어 에닉스를 떠나면서 후속작 여부는 불투명해졌다.
8. 업데이트
2017년 3월 23일 버전 1.03 패치로 유저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했다.- 전투에서 소환하는 세이버 및 메가 미라쥬의 소환 영상을 배속으로 진행하거나 건너뛸 수 있게 되었다. 배속으로 진행하려면 R1(듀얼쇼크나 듀얼센스)이나 RB(엑스박스), R버튼(프로컨)을 길게 누르면 되고, 건너뛰려면 게임 패드에 따라 ○버튼(듀얼쇼크나 듀얼센스)이나 B(엑스박스), A버튼(프로컨)을 길게 누르면 된다.
- 전투에서 시작됐을 때 적과 아군의 ATB가 처음이 아닌 중간부터 시작하도록 변경됐다. 그래서 좀 더 빨리 전투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
- 게임 저장 크리스털에서 체력과 AP가 전부 회복되도록 변경됐다.
9. 유료 DLC
2018년 11월 6일에 확장판인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MAXIMA"가 발매되었다. DLC는 다음의 요소가 추가됐다.- 새 게임+ 추가. 다회차 게임 시 이전 게임의 기록을 이어받아 게임을 할 수 있게 됐다. 다만 ★ 표시가 있는 미라쥬는 레벨만 전승된다. 즉, 새 게임+로 게임을 시작했을 때 ★ 표시가 있는 미라쥬 없이 시작하지만, 다시 미라쥬를 얻을 경우 레벨 1이 아닌 이전에 육성된 레벨부터 시작된다는 뜻이다. 또 마스터 모그리, 마스터 톤베리, 마스터 사보텐더와 네 카오스, 가란드도 레벨만 전승된다. 또 소녀의 일기, 사도 기록 등 기록 아이템류들도 전승되지 않는다. 새 게임+를 시작하면 보상으로 미즈하나 숲에서 회피 미라스톤을 얻는다.
- WOFF 외전 추가. 이를 통해 스토리가 보강됐다. 획득 후 바로 읽을 수 있지만 이해가 어려운 경우 남매의 방의 캐릭터 사전에서 내용이 추가되면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WOFF 외전은 새 게임+에서만 얻을 수 있다.
- 나이트메어 난이도 추가. 새 게임+를 할 때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어려워진 대신 보상 경험치, 아이템, 돈도 많아진다.
- 플레이어가 소지할 수 있는 미라쥬가 10개에서 12개로 증가했으며, 미라스톤도 99개에서 120개로 증가했다.
- 새로운 캐릭터 추가. 특히 세실과 잭스, 세라는 영혼 퀘스트를 통해 소소한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
- 세이버 스톤 시스템 추가. 알마 젬으로 세이버 스톤을 구매하면 미라스톤처럼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하면 전투 시 렌과 란이 해당 주인공으로 겉모습이 바뀌고 캐릭터별 특수한 지속 기술들이 무작위로 발동된다. 그러나 세이버 스톤은 같은 성별끼리만 장착할 수 있으며(여성이면 렌, 남성이면 란만 장착 가능.) 세이버 메달 소환 기술 및 거대 미라쥬 소환 기술을 사용할 수 없어 그다지 유용하지 않다.
- 숨겨진 던전 추가. 이름을 잊은 소녀의 방의 4개의 마경 던전을 완료한 후 크리스털 타워 입구 부근의 붉은색 크리스털을 통해 꼭대기로 올라가면 게이트가 생성되어 있으며 그곳으로 들어갈 수 있다. 불, 물, 바람, 땅의 크리스털을 통해 각 카오스들과 전투할 수 있으며 네 카오스들을 전부 쓰러뜨리면 크리스털 하나가 생성되면서 그 던전의 최심부에서 가란드가 네 카오스와 함께 전투하게 된다.
-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멜리-멜로 콜라보 컨텐츠 추가. 비공정을 타고 전 세계에 숨겨져 있는 6개의 ???? 지역에 들어가 신기한 스위치를 작동 시켜 봉인을 푼 후 크리스털 타워에 생성되어 있는 검은 차원문에 들어가면 불멸의 어둠용과 전투할 수 있다. 전투에서 승리하면 보상으로 시작부터 헤이스트 미라스톤을 얻을 수 있다.
- 스토리를 끝내고 비사이드 항구 마을에 가면 녹티스가 있으며 말을 걸면 낚시 미니 게임을 할 수 있다. 비사이드 항구 마을에서 낚시 미니 게임을 한 번 한 이후에는 남매의 방에서도 할 수 있다.
- 에나 크로와 전투 컨텐츠 추가. 나인우드 힐 노스워크의 나인우드 커피에서 에나 크로에게 말을 걸면 약간의 투지가 느껴진다는 대화 창이 뜨면서 도전을 선택하면 세라피, 타마와 함께 전투에 돌입한다. 참고로 타마는 9개의 목숨을 갖고 있다는 설정 때문에 9번 쓰러뜨려야 한다. 전투에서 승리하면 보상으로 시작부터 리제네 미라스톤을 얻을 수 있다.
- 무지개색 게이트 추가. 에나 크로, 불멸의 어둠용, 가란드와의 전투까지 모두 승리하면 99플라자에서 무지개색 게이트 추가되면서 브렌딜리스, 바하무트 EX9와 다시 전투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나오는 브렌딜리스, 바하무트 EX9는 스토리에서 겪은 전투 패턴과 달리 확실히 까다롭게 나온다. 쓰러뜨리면 엔딩이 나오는데 쿠키 영상이 바뀌어 나오며 알테마 게이트로 넘어간 렌과 란의 향방이 잠깐 나오게 된다. 게임에 다시 접속하면 보상으로 무지개색 게이트 주위에 AP 소모 감소 미라스톤을 얻을 수 있다.
PS4와 PS Vita에서 기존판을 구매했던 사람은 업그레이드판을 구매할 수 있으며, 엑스박스 원과 닌텐도 스위치, PC판은 MAXIMA판으로만 발매한다.
10. PC 판
2017년 11월 1일에 PC판 발매 소식과 함께 스팀에 공식 사이트가 개설되었다. 발매일은 2017년 11월 22일이고 한국어를 공식 지원한다.PC판의 가장 큰 문제는 프레임률이 초당 30프레임 고정이라는 점이다. 그외엔 최적화 문제는 없는 편.
PC판만의 특전이 있는데, 랜덤 인카운터 삭제 기능, 모든 아이템 획득 기능, 소지금 MAX 기능이 있다.
10.1.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colbgcolor=#87ceeb><colcolor=#000> 운영체제 | Windows 7 64-bit | Windows 8 / 8.1 / 10 64-bit |
프로세서 | Intel Core i3 2.0GHz 또는 그 이상 | Intel Core i3 2.4GHz 또는 그 이상 |
메모리 | 4 GB RAM | 8 GB RAM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S 450 AMD Radeon HD 5770 1 GB of VRAM | NVIDIA GeForce GTX 660 AMD Radeon HD 7850 2 GB of VRAM |
API | DirectX 11 | |
저장 공간 | 15 GB |
11.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멜리-멜로
멜리-멜로 PV | 멜리-멜로 오프닝 무비 | Innocent3 |
2017년 12월 12일에 모바일 게임인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멜리-멜로"가 발매되었다. 하지만 1년만인 2018년 12월 13일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1] 동영상만 공개된 작품은 제외.[2] 몬스터를 약체화 시켜서 사냥 도구로 잡고 나중에 레벨을 올려서 진화를 하는 등 상당 부분 포켓몬스터 느낌이 잔뜩 난다.[3] 알드노아. 제로의 엔딩을 부른 가수.[4] 리노아 허틸리, 듀스의 성우이기도 하다.[5] 모티브는 시그마 하모닉스라는 게임의 등장 인물이며 해당 작품에서의 이름은 쿠로사키 네네. 시간을 넘나들며 사람을 습격하여 역사에서 사라지게 만드는 '오우마' 라는 마물을 퇴치하는 쿠로사키 일족의 한명이며 가장 어린인물. 이름없는 소녀의 방에 있는 대시계도 해당 작품에서 등장하며 시간을 조정하는 도구로 사용된다.[6] 캐릭터 사전을 읽어보면 같은 혼을 가졌다는 설정인 듯 하다.[7] 덧붙여 티다는 블리츠 볼을 할 줄 아는데 블리츠 경기장이 없는 듯...[M]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MAXIMA 추가 캐릭터.[M]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MAXIMA 추가 캐릭터.[M]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MAXIMA 추가 캐릭터.[11] PS4, PS Vita판 예약 구매자 한정판[M]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MAXIMA 추가 캐릭터.[13] 2017년에 3월 23일에 무료 DLC로 추가됐다. 스토리에 관여는 하지 않는다.[M]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MAXIMA 추가 캐릭터.[M]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MAXIMA 추가 캐릭터.[M]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MAXIMA 추가 캐릭터.[17] 카다쥬의 성우이기도 하다.[18] 2017년 1월 12일부터 2017년 3월 31까지 PS4, PS Vita 사용자들에게만 무료 DLC로 배포됐다. 현재는 배포가 종료됐다. 역시 스토리에 관여는 하지 않는다. 세이버 스킬은 라그나로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