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16:45:17

샘 리겔

Dean Panaro Talents의 성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남성
오리온 아카바 잭 아귈라 데이먼 밀스 브라이스 패픈브룩 샘 리겔
클리퍼드 체이핀 DC 더글라스 믹 라우어 유리 로웬탈 브랜든 맥기니스
여성
애슐리 버치 앰버 리 코너스 모니카 리얼 멜리사 허치슨 잰시 후인
대니 체임버스 데바 마리 그레고리 브리아나 니커바커 크리스틴 맥과이어 크리스티 로스록 }}}}}}}}}

샘 리겔
Sam Riegel
<nopad>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m_Riegel.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이름 새뮤얼 브렌트 오스카 리겔
(Samuel Brent Oscar Riegel)
출생 1976년 10월 9일 ([age(1976-10-09)]세)
미국 워싱턴 D.C.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3cm[1]
가족 아버지 커트 리겔[2]
어머니 레노어 리겔
이복누나 타티아나 리겔[3]
여동생 에덴 리겔
배우자 퀴옌 트란,[4] 아들, 딸
학력 버지니아 대학교 (졸업)
활동 시기 1997년 ~ 현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출연 목록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위키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출연작
2.1. 애니메이션
2.1.1. 일본 애니메이션
2.2. 게임2.3. 성우 감독직
3. 기타4. 관련 문서

1. 개요

미국성우.

뉴욕에서 4Kids와 Headline Stuido에서 활동하다 캘리포니아로 넘어왔으며, 현재는 일본 애니메이션보다는 미국 애니메이션을 더 많이 맡고 있지만 《Critical Role》에 집중하게 된 이후로는 예전에 비하면 성우일이 줄어들었다.[5]

성우로서는 주로 경박하거나 또는 능청스러운 캐릭터를 맡았으며 타고난 음색 자체가 이런 캐릭터에 특화되어있다. 다만 이 음색때문에 '경박하거나 능청스러운 캐릭터'가 아닌 다른 유형의 캐릭터를 맡으면, 연기력이 준수함에도 음색때문에 싱크로율이 다소 애매해진다. 개성넘치는 음색을 지녔지만, 도리어 이 개성넘치는 음색이 발목을 잡고 있는 케이스라 할 수 있으며 베테랑 성우치고는 미스캐스팅도 좀 있는 편이기도 하다. 반대로 생각하면 특화형 성우라는 핸디캡을 안고도 꽤나 성공적인 커리어라고 볼 수 있다.

벤 프론스키와 계약하여 만화 더빙 관련 클리닉 강의를 진행하게 되었다.

또한 미국 애니메이션의 성우 감독을 꽤 담당하기도 했다 DC 슈퍼히어로 걸즈덕테일즈등이 예

2. 출연작

※ 가나다순 정렬.

2.1. 애니메이션

2.1.1. 일본 애니메이션

2.2. 게임

2.3. 성우 감독직

3. 기타

  • 백인이지만 언뜻 보면 백인이 맞나 싶을 정도로 독특한 외모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그가 유대인이라서 그럴 가능성이 높다.[7] 여동생 에덴도 오빠만큼은 독특하지는 않지만, 백인치고는 약간 이국적인 외모를 가지고 있다.
  • 2024년 7월 9일 두경부암 진단을 받으면서 휴양을 선언했다.

4. 관련 문서



[1] 출처[2] 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3] 영화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4] 베트남계 미국인이며 영화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5] 이건 《Critical Role》의 다른 멤버들도 마찬가지다. 그나마 매튜 머서가 신작 캐스팅은 급감했을지언정 기존에 출연했던 작품의 후속작에는 변경없이 꾸준히 출연하는 어느 정도 본업인 성우업을 이어가고 있는 편.[6] 솔 배드가이 역의 데이빗 포세스와 같이 혹평을 들었지만 그나마 이쪽은 스토리 모드에서는 목소리 톤이 좀 달라지긴 했다. 결국 카이 키스크 역은 《길티기어 STRIVE》에서는 성우가 숀 칩록으로 바뀌었다. 다만 데이빗 포세스는 성우 교체 없이 STRIVE에서도 캐스팅이 유지 되었다.[7] 유대인들은 백인으로 분류된 것 치고는 백인이 맞나 싶을 정도로 백인처럼 생기지 않은 사람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