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 썬더의 등장 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6px; letter-spacing: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공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gray> 미국 | 요격기 | 육군 항공대 · 공군 | 해군 항공대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
독일 | 메서슈미트 · 서독 계열 | 포케불프 · 동독 계열 | 중전투기 | 공격기 · 요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
소련 | 야크 계열 | 미그 계열 | 라보츠킨 · 수호이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
영국 | 호커 계열 | 슈퍼마린 · 글로스터 계열 | 해군 항공기 | 중전투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
일본 | 해군 전투기 | 육군 전투기 | 중전투기 · 요격기 | 경폭격기 | 중형 · 중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
중국 | 국민당 | 공산당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
이탈리아 | 레지아네 계열 | 피아트 · 마키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헝가리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
프랑스 | 자국산 | 공여 전투기 · 공격기 | 공격기 | 폭격기 | 베네룩스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
스웨덴 | 전투기 | 전투기 · 폭격기 혼합 | 폭격기 | 핀란드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
이스라엘 | 전투기 | 전투기 · 공격기 혼합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 |||
* 항공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항공 병기를 참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육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gray> 미국 |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자주포 | 프리미엄 | |
독일 | 자주포 · 경전차 | 중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 |||
소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경전차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 |||
영국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남아프리카 | 프리미엄 | |||
일본 |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구축전차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 |||
중국 | 경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 |||
이탈리아 |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헝가리 | 프리미엄 | |||
프랑스 |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대공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 |||
스웨덴 | 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핀란드 | 프리미엄 | |||
이스라엘 | 미국제 | 유럽제 · 자국산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 |||
* 지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지상 병기를 참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해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gray> 미국 |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 |
독일 |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 |||
소련 |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 |||
영국 |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 |||
일본 |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 |||
이탈리아 |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 |||
프랑스 | 연안해군 | 대양해군 | 프리미엄 | |||
* 해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해상 병기를 참고. | }}}}}}}}}}}} |
중국의 지상 병기
- [ 연구 가능 장비 ]
- ## -↓- 1랭 -↓- ##I 랭크## ↓ 2행 ↓ #### ↓ 4행 ↓ #### -↓- 2랭 -↓- ##II 랭크## ↓ 2행 ↓ #### ↓ 4행 ↓ #### ↓ 6행 ↓ #### -↓- 3랭 -↓- ##III 랭크## ↓ 2행 ↓ #### ↓ 4행 ↓ #### -↓- 4랭 -↓- ##IV 랭크## ↓ 2행 ↓ #### ↓ 4행 ↓ #### ↓ 6행 ↓ #### -↓- 5랭 -↓- ##V 랭크## ↓ 2행 ↓ #### ↓ 4행 ↓ #### ↓ 6행 ↓ #### -↓- 6랭 -↓- ##VI 랭크## ↓ 2행 ↓ #### ↓ 4행 ↓ #### ↓ 6행 ↓ #### ↓ 8행 ↓ #### -↓- 7랭 -↓- ##VII 랭크## ↓ 2행 ↓ #### ↓ 4행 ↓ #### ↓ 6행 ↓ #### ↓ 8행 ↓ #### -↓- 구분선 -↓- ##
- [ 프리미엄 장비 ]
- ## -↓- 장 비 -↓- #### -↓- 1랭 -↓- ##I 랭크## ↓ 2행 ↓ #### -↓- 2랭 -↓- ##II 랭크## ↓ 2행 ↓ #### ↓ 4행 ↓ #### -↓- 3랭 -↓- ##III 랭크## ↓ 2행 ↓ #### -↓- 4랭 -↓- ##IV 랭크## ↓ 2행 ↓ #### -↓- 5랭 -↓- ##V 랭크## ↓ 2행 ↓ #### ↓ 4행 ↓ #### -↓- 6랭 -↓- ##VI 랭크## ↓ 2행 ↓ #### ↓ 4행 ↓ #### ↓ 6행 ↓ #### ↓ 8행 ↓ #### -↓- 7랭 -↓- ##VII 랭크
1. 개요
대체로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인민해방군(중국군) 소속 차량이 집중적으로 등장하는 트리다.1랭크인 T-26 경전차부터 3랭크인 M4 셔먼 전차까지 중공군의 T-34 1943년형을 제외한다면 모두 중화민국 국민혁명군(국부군) 차량이지만 4랭크의 T-34/85부터 7랭크 ZTZ99A까지 중국인민해방군의 차량이 주를 이룬다.
2. 1랭크
2.1. ☆T-26
☆T-26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시작) | ☆T-26 | ☆치하 | |||||||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는 1랭크 ☆T-26부터 6랭크 ZTZ96A까지 트리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1랭크 ☆T-26 이후부터 연구를 건너 뛸 수 있는 차량이 없다. | }}} |
중화민국 국민혁명군이 운용한 소련제 T-26 경전차이다, 주행 속도와 기동성은 평균 이하이지만 45mm 20-K 전차포의 주요 철갑탄인 BR-240 저저항모부철갑탄은 꽤 강력한 장갑 관통력과 훌륭한 살상력을 지니고 있어서 관통한다면 적 전차를 일격에 파괴할 수 있고 일격에 파괴하지 못하더라도 일부 부품 파손 혹은 승무원 살상으로 인해 적 전차는 일시적인 전투 불능 상황이 된다
M8 그레이하운드 장갑차와 M3 스튜어트 경전차와 비교하였을 때 T-26 경전차는 상대적으로 포신 안정도가 떨어지지만 포탄의 우수한 관통력과 살상력은 앞선다.
본디 실제 T-26RT형과 다른 T-26S의 모델링을 사용하고 있어 고증오류가 있었으나, “Storm Warning” 업데이트 이후로 고증에 맞게 T-26RT로 모델링이 변경되었다.
2.2. ☆치하
☆Chi-Ha ☆Type 97 Chi-Ha ☆97식 중형전차 치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T-26 | ☆치하 | ☆치하 개량형 | }}} |
중일전쟁에서 국민혁명군이 노획한 97식 전차 치하이다.
57mm 97식 강선포는 포구초속이 느려서 장거리 명중률이 좋지 않지만 장전 속도는 꽤 빠른 편에 속하고 1축 스테빌라이저를 장착하여 급정차 시 포신 정렬이 매우 빨라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90식 철갑유탄은 관통력이 터무니없이 낮아서 쓰기 어렵지만 또 다른 기본지급 탄약인 3식 대전차고폭탄의 관통력은 거리 상관 없이 무조건 0도 착탄각 55mm 관통으로 1랭크 전차전에서 충분한 장갑 관통력을 제공하며 엄연히 화학탄이기 때문에 장갑이 매우 얇은 장갑차를 상대로 상당히 효과적이다.
현실과 다르게(...) 상당히 좋은 전차로 평가받고 있다.
T-26 경전차와 비교하면 97식 중형전차 치하의 장갑 방호력이 조금 더 우위이지만 근거리 교전에서 20mm 대전차 소총 혹은 12.7mm 철갑탄에 장갑이 관통될 수 있기 때문에 근거리 교전이 발생하면 연사 속도가 빠른 적을 우선 파괴하는 것이 좋다.
사용하기 상당히 까다롭지만, 고폭탄으로 방갈로나 특정 건축물, 수풀, 나무 등의 잡다한 시야방해나 진로방해 장애물들을 파괴할 수 있기에 전투공병전차(...) 대용으로도 쓸만하다.
3. 2랭크
3.1. ☆치하 개량형
☆Chi-Ha Kai ☆Type 97 Chi-Ha Kai ☆97식 치하 개량형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치하 | ☆치하 개량형 | ☆T-34 (1943) | }}} |
치하의 개량형으로, 역시 마찬가지로 국민혁명군이 일본군으로부터 노획한 사양이다.
드디어 타국의 전차들과의 전투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된 것에 의의를 둔다. 치하보다 진보된 형상의 포탑과 47mm 1식 전차포가 장착된 것이 특징이다.
재장전 속도는 57mm 유탄포와 같은 풀업 4.3초라는 그럭저럭 빠른 재장전 속도에, 주포의 탄속도 822m/s로 57mm 유탄포보다 확실히 훨씬 더 빨라졌으며, 관통력도 100m 거리 75mm 관통력으로 주포는 제법 괜찮은 성능을 보여준다.
주포 안정기가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데다[1] 부각이 -15°에 달해서[2] 헐다운이나 기동전에 매우 강하다. 소구경 포라서 장전속도도 빠른건 덤이다.
포탑 장갑은 확실히 강화되어 포방패 30mm 두께에 포탑 장갑도 경사도 보정을 어느 정도 받는 형태로 바뀌었다. 이전처럼 20mm 기관포를 맞고 죽는 일은 확실히 덜해진 편. 각을 조금 줘서 티타임을 만들면 차체 측면 장갑으로 튕기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조종석이 돌출되어 있어서 기관포 이상의 무장에는 이 부분을 맞아 뚫릴 수 있기에 주의.
차체 장갑도 정면에 무한궤도를 배치하여 약 50mm 정도의 방호력을 갖추게 되었다.
패치로 경전차에서 중형전차로 바뀌었는데, 사용국의 취급보단 생산국의 분류를 따라 패치했다.[3]
추가적으로, 일본 전차 특성상 조종수가 우측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적이 조종수가 있는 것으로 착각해서 좌측을 가격해도 동축사수를 고기방패(...) 삼아 조종수가 살아남는 일이 자주 있다.
현실과 다르게 기본 스펙이 출중한 편이지만, 좌우 선회력과 포탑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시가전에서는 단독행동은 삼가고 아군들과 상시 사주경계하며 이동하는 것이 좋다.
업데이트 이후로 중국 7랭크 전차가 추가되며 1랭크에서 2랭크로 이동했다. 덕분에 매칭 시[4] 오랫동안 기다리지 않아도 되었다.
게임 내에서는 국민당군이 노획한 차량으로 분류가 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중국 공산당군이 더 많은 차량을 소련에게 공여받아 사용했다.
그 때문인지 일부 유저들은 사용국의 국기를 중국 오성홍기로 바꿔야 한다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술했듯 국민당군이나 공산당군이나 모두 평등하게 사용했기 때문에 문제는 없는 편.
추가로, 중국 "공신호" 그래피티가 추가되었기에 중국인민해방군 식별 마크와 함께 부착해서 고증대로 "공신호" 전차를 재현 가능해졌다.
3.2. ☆M4A4
☆M4A4 ☆Medium Tank M4A4 Sherman ☆중형전차 M4A4 셔먼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경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M5A1 | ☆M4A4 | ☆M4A1 (75)W | }}} |
국부군이 랜드리스로 수령한 75mm 셔먼이다. 프리미엄 버전과는 달리 대공기관총이 없다.
또 특징 중 하나가, 정면장갑이 상당히 튼튼하다. 그냥 당당하게 정면을 내주면 약점인 관측창이 뚫릴 수 있지만 티타임을 잡아버리면 동랭크대에서 꿰뚫을 수 있는 전차는 상당히 드물다. 또 점보셔먼 다음으로 크기가 큰 M4A4[5]라 차체 내부도 넓직해서 직격탄을 맞아도 약점사격을 당한것이 아닌 이상 운전자나 포수는 살아남는 경우가 많다.
특기할 점으로, 다른 셔먼들과 달리 부앙속도가 무려 초당 8.5°라는 어마어마한 속도를 자랑한다.
단점으로는 다른 m4들이 다 달려있는 M2 중기관총이 없다. 이 때문에 이탈리아 R3 T20 같은 경형 장갑차를 마주치면 엄청 고생한다.
4. 3랭크
4.1. T-34/M4A1 계열
4.1.1. ☆T-34 (1943)
☆T-34 (1943)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치하 개량형 | ☆T-34 (1943) | ☆T-34-85 (S-53) | }}} |
육각형 주조 포탑을 장착한 T-34로 흔히 미키 마우스로 불린다.[6]
일단 방호력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전방향 경사장갑이라 동랭크에서 정면 격파를 할 수 있는 차량은 별로 없으며,[7] 부품 연구를 통하여 포탑에 증가 장갑을 부착시에 약 106mm 정도의 방호력을 얻을 수 있다. 다만 무게 증가로 인한 필연적인 기동성 악화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워낙 빠른터라 크게 부각이 안 되면서, 무엇보다 이렇게 증가장갑 장착시 측면에서 격파당할 확률을 상당히 줄여준다.
기동성도 소련 탱크답게 매우 경쾌하고 포탑의 선회속도도 높기 때문에 고랭크 전차를 상대로 코앞에서 우회하면서 농락하는 전략도 가능한 실로 만족스러운 기동성을 자랑한다.
또한 화력 부문에서는, 최종탄인 MD-8 신관탄이 APHEBC탄의 관통력도 상당히 높지만, 기본으로 지급되는 포탄인 MD-5 신관 사용 APHEBC탄의 TNT 당량은 무려 150g이라는 무게대비 어마무시한 작약량을 자랑한다.
게다가 특유의 경사장갑 무시 판정으로 50도 정도로 각을 튼 판터도 격파 가능한 수준으로 티거 H형같은 전차도 큐폴라를 때리면 바로 그로그에 빠질정도이다. APCR도 있기 때문에 업티어 중전차도 격파 가능하다.
하지만 낮은 부각이 발목을 잡기 때문에 산악전에서는 되도록 고지를 점거한 상태에서 싸우도록 하자.
요약하자면 화력, 기동성, 방호력 모두 빠질 것 없이 완벽한 탱크라고 볼 수 있다.
글로벌 서버로 넘어오면서 1942년형에서 1943년형으로 바뀌었는데[8], 이름만 바꿔서 고증오류가 있다. 우선 첫번째로 전차장 큐폴라의 형식이 42년식 그대로이며, 보기륜의 형상이 패드가 부착되어 있거나 접시형 보기륜이 장착되는 게 아니라 통짜 철제 보기륜이다.
여담으로, M4A1 (75) W와 더불어 중국 트리에서 유이한 4점대 3랭크 중형전차라 연대기 기간에 중국 전차를 주로 타는 유저들이 많이 타는 편이다.
4.1.2. ☆M4A1 (75) W
☆M4A1 (75) W ☆Medium Tank M4A1 (75) W Sherman ☆중형전차 M4A1 (75) W 셔먼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경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M4A4 | ☆M4A1 (75) W | ☆T-34-85(S-53) | }}} |
국부천대 이후 전차가 부족했던 중화민국 국군이 M4A1 76mm 폐차를 구매해 75mm M3 전차포를 얹은 개조형이다.
포방패가 상당히 단단한데다 습식 탄약고라 웬만해선 유폭이 잘 안나는 장점이 있지만... 차체가 셔먼중에서도 쓰레기로 평가받는 M4A1 셔먼인데다 BR도 4.0으로 애매하게 높아서 기피된다.
하지만 정면 장갑이 63mm로 증가한데다, 상술했듯 포방패가 매우 단단하기에 차체를 숨기고 포만 내밀고 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직사 관측창이 없는 후기형 셔먼이라 동Br대에서 안정적으로 파괴가능한 차량은 적기에 상황 봐서 유사 점보셔먼처럼 운용해도 어느 정도 탱킹이 된다.
추가로, 후기 76셔먼의 고배율 조준경을 사용하기 때문에 저격에 특화되어 있다.
적으로 만나는 독일 트리의 웬만한 차량들은 선제공격시 격파가능하지만, 구축전차들이나 KV-1B, KV-1C, 독일 T-34 등의 노획장비들은 정면격파가 어렵기 때문에 약점을 외우고 다니도록 하자.
여담으로, 43년식 T-34와 더불어 중국 트리에서 유이한 4점대 3랭크 중형전차라 연대기 기간에 중국 전차를 주로 타는 유저들이 많이 타는 편이다.
5. 4랭크
5.1. T-34-85 계열
5.1.1. ☆T-34-85 (S-53)
☆T-34-85 (S-53)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M4A1 (75) W | ☆T-34-85 (S-53) | T-34-85 개량형 | }}} |
T-34-85 양산형. 중국 서버에서 글로벌 서버로 넘어오면서 주포가 D-5T에서 S-53으로 변경됐다. B.R이 5.7이라 주로 6.0대 전차를 만난다.
소련 테크트리의 원본처럼 기본탄인 BR-365K탄부터 탄약의 작약이 빵빵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업탄인 BR-365A는 수직관통력이 낮아진 대신 경사장갑 관통력이 매우 뛰어나서 티타임 준 티거1 차체의 경사도 낮은 부위를 쏘면 관통이 가능하다.
중전차 격파용인 APCR탄의 관통력이 타국 전차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하므로, 페르디난트 같이 수직장갑이면서 전면 방호력이 200mm가 넘어가는 차량이나 경사장갑 발린 야크트판터, 4호 구축전차 상대론 그냥 우회해서 작약탄 날리자.
주포 변경 이후 사진을 변경하는 것을 까먹었는지, 이전의 D-5T 포 장착형의 프로필 사진을 쓰고 있었다가 최근 "Wind of Change" 업데이트 이후로 제대로 된 사진으로 교체되었다.
5.1.2. T-34-85 개량형
T-34-85 Gai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T-34-85 (S-53) | T-34-85 개량형 | ☆IS-2 | }}} |
중국군이 T-34-85CZ을 공여받아 포탑을 개조하여 대공기총을 장착한 개량형이다. 워썬더에 존재하는 모든 T-34 시리즈 중 유일한 체코제 T-34이기도 하다.
같은br의 떼삼사가 대공 기관총이 없는 거에 비하면 나름 쓸만하다. 대공 기관총은 어줍잖은 장갑을 가진 전차나 오픈탑 구축전차들의 장갑을 뚫을 수 있으니 참고하자.
사실상 양산형 T-34의 최종형이라고 칭해도 좋을 만큼 출중하다. 무장과 화력은 동일하지만 상술하였듯 기동성 및 중국제 두쉬카와의 콜라보는 물론이요 화력면에서 탑방이 아닌 이상 부족할 것은 없다고 보면 된다.
여담으로 파일을 뜯어보면 type 58로 되어 있는데, 처음 추가되었을 때 중국 서버에서 58식이란 이름으로 냈기 때문에 그렇다.
5.2. IS-2 계열
5.2.1. ☆IS-2
☆IS-2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T-34-85 개량형 | ☆IS-2 | ☆IS-2 1944년형 | }}} |
중국 트리에 단 두대밖에 없는 중전차 중 하나. 나머지 하나는 IS-2 1944년 개량형이다.
이 전차를 기점으로 중국 중형전차 포구경에 의한 화력 차이가 벌어지기 시작한다.
122mm A-19 평사포의 개량형인 D-25T 전차포를 탑재했다. 이녀석보다 큰 구경을 갖고 있는 전차는 자주포 라인의 ISU-152밖에 없기때문에 살상력도 상당히 강력하여 일격필살이 가능하고 수월한 전차 격파가 가능하다. 85mm 전차포와 비교하면 장갑 관통력이 매우 크게 증가하였고, 작약이 무지막지하게 들어가서 살상력은 동 BR 최강이라고 보아도 좋을 정도로 강력하다.
반대급부로 장전속도가 기본 27초로 크게 느려졌으나 게임의 흐름이 신중하고 느린 리얼리스틱에선 큰 문제가 없는 편.
맞추기만 한다면 한놈은 확실하게 보내버리는 위력을 지녔으며 장갑 방호력도 배틀레이팅 대비 적절한 수준이다. 다만 그렇게 믿을만한 정도는 아니고 눈먼 탄에서 어느 정도 보호해줄 만한 수준이다. 후진 속도가 시속 17km로 빨라서 치고 빠지는 전술을 구사하기 쉬우며 라인을 형성해 포격전을 벌이기보다는 한놈 노리고 위치 바꿔 또 잡고 도망가는 중형전차의 역할이 더 어울린다.
이 전차의 약점은 차체보다는 포탑 정면(100mm) 이기 때문이다. kv 계열을 타고온 사람들은 방호력을 늘리기 위해 티타임을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is 계열 장갑의 특성상 차체에 티타임을 주면 오히려 방호력을 깎아 먹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기 바란다. 아예 메르카바처럼 포를 후방으로 두고 싸우는 일명 숙르카바라는 방법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피격당해도 엔진이나 변속기만 파손되거나, 웬만한 탄은 도탄내는 감탄할만한 성능을 자랑한다.
위 전차를 타게 된다면 티거2를 자주 보게 될것이다. 티거2의 정면 차체 장갑은 122mm 포를 우습게 튕겨내니 이를 정면으로 상대하게 된다면 신중하게 포탑 전면을 노리자.
아케이드에선 수리비가 무지막지하게 비싸지만 리얼리스틱에선 스톡 4700원 정도의 적절한 책정가를 유지하고 있다. T-34-85, M18 헬캣, M36 잭슨과 더불어서 중국, 나아가 연합국 매칭에서 든든한 존재 중 하나.
여담으로, 50년대 중반의 중국군은 43년식 차량에도 DShK를 장착한 기록이 존재하는데 워썬더 내에는 없는 것을 보아하니 50년대 초반 한국 전쟁 당시 사양으로 추정된다.
5.2.2. ☆IS-2 1944년형
☆IS-2 1944년형 ☆IS-2 mod.1944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IS-2 | ☆IS-2 1944년형 | 59식 전차 | }}} |
소련 트리의 것과 똑같다. 다만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추가장갑(포탑측면 철망형 추가장갑, 무한궤도 등) 의 부재가 있다.
120mm 수직장갑에서 경사장갑으로 변경되며 장포신 88mm도 튕기는 중장갑을 자랑한다.
B.R이 높은 편이라 운이 안 좋으면 7.3에 갈 수 있지만 122mm 포의 화력은 탑방에서도 충분하니 사리면서 운용하는 편이 좋다.
대공 기관총은 어줍잖은 장갑을 가진 전차나 대공 차량을 격파할 수 있다.
참고로 사진은 과거 소련의 IS-2 1944년형 사진이며, 이후 바뀌어서 사라지고, 중국 트리가 생기면서 과거 소련사진이 현재 중국사진의 IS-2 사진이 된것이다
6. 5랭크
6.1. ☆M48A1
☆M48A1 ☆90 mm Gun Tank M48A1 Patton III ☆90 mm 주포 탑재 전차 M48A1 Patton III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경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ZTS63 | ☆M48A1 | M41D | }}} |
냉전 초기 대만군의 MBT로 성능은 미국 트리에 있는 M48A1을 그대로 가져왔다고 보면 된다. 여담으로 이 전차만 미국트리에 있는 작명대로 표기되어 있다.
기본탄인 APCR의 절망적인 성능과 정나미가 뚝 떨어지는 스톡 성능, 그리고 낮은 포탑 방호력 탓에 꺼려지지만 풀업을 하면 어느 정도 타고 다닐 만한 수준으로 올라간다.
스테빌라이저가 없으므로 무작정 기동하면서 싸우기 보다는 위치 선점 후 접근하는 적들을 섬멸하면서 싸우는 것이 좋다.
6.2. 59식/69식 계열
6.2.1. 59식 전차
Type 59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IS-2 1944년형 | 59식 전차 | 69식 전차 | }}} |
소련제 T-54A 전차의 라이센스 생산형으로 중국 최초의 MBT로 구별되기도 한다.
전체적인 특징은 러시아제 T-54와 딱히 차이가 없지만, 현재 워 썬더에서 존재하는 러시아제 T-54 1951년형과 비교했을 때 59식 전차는 1축 스테빌라이저를 장착한 것이 특징이다. 덕분에 저속 기동간 사격이 가능하며 T-54 1951년형에 비해서 정차 후 포신 정렬 속도가 꽤 빠르다.
T-54 1951년형은 포신에 배연기가 없지만 59식 전차는 포구 부분에 배연기가 존재하는 것이 외관상 차이점이며 교전 시 기동간 사격을 하거나 정차 후 빠르게 대응 사격을 하면 그건 T-54 1951년형이 아니라 59식 전차일 확률이 매우 높다. T-54 1951년형은 스테빌라이저 자체가 존재하지 않아서 정차 시 포신이 출렁거려서 정렬 및 조준하기까지 꽤 시간이 걸린다
59식 전차의 스테빌라이저는 시속 40km 이하의 속도에서 작동한다. 겨우 1축식이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꽤 한계 속도가 넉넉한데 험지에서 59식 전차의 일반적인 주행 속도가 시속 40km 미만이기 때문이다
포탄은 T-54 1951년형과 똑같다. 100mm 강선포를 장착했고 가장 관통력이 강력한 포탄은 1973식 대전차고폭탄이다. 1959식 분리철갑탄과 BR-412 계열 철갑탄도 존재하는데 일반적인 상황 및 중장갑을 공격할 때에는 1973식 대전차고폭탄이 효과적이고 적 전차의 측면을 공격할 때에는 폭약이 충전되어 살상력이 강력한 BR-412 계열 철갑탄이 효과적이다.
장갑 방호력은 평범한 편이고 주행 속도와 험지 기동성도 평범하다. 대신 기존의 T-54 1951년형에 비해 1축 스테빌라이저가 장착되었기에 대응력은 매우 우수한 편.
6.2.2. 69식 전차
Type 69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59식 전차 | 69식 전차 | ZTZ59D1 | }}} |
중국군 최초의 활강포 탑재 전차, 디자인은 기존의 59식 전차와 크게 다를 바 없지만 세부적인 부분에서 큰 차이점이 존재한다.
중국-소련 국경분쟁을 통해서 중국은 현대적인 전차포 개발에 관심을 기울였고 100mm 활강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문화대혁명의 여파와 당시 중국의 화포 공학 , 금속가공기술의 한계로 인해 중국 당국의 기대에 부흥하지 못하는 성능을 보였고 이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을 통해서 영국제 105mm 로열 오드넌스 L7 강선포를 라이센스 생산하여 장착하였다.
게임에서 69식 전차의 100mm 날탄은 관통력이 그다지 강력하지 않다. 물론 날탄이기 때문에 포구초속은 기존의 철갑탄이나 서방권의 분리철갑탄에 비하면 상당히 빠르고 레오파르트 1, OF-40 등 장갑이 얇은 2세대 주력전차의 전면 장갑은 문제 없이 관통하지만 마음 놓고 사용하기에는 살짝 아쉬운 관통력이다. 문제는 영점 조절을 달아줘도 명중률이 낮아 원거리 사격 정확도가 별로 좋지 못하다.
하지만 이 탱크의 진가는 바로 매우 빠른 포구초속과, 무려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장착되어 있다는 것으로, 교전 거리값을 정확히 산출하고 자동적으로 영점을 조절할 수 있다. 덕분에 대응속도는 상당히 빠른 편이고 100mm 대전차고폭탄은 관통력이 상당히 강력한지라 먼 거리의 중장갑을 뚫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대전차고폭탄의 조합으로 꽤 재미를 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59식 전차가 1축 스테빌라이저를 탑재했다면 69식 전차는 2축 스테빌라이저를 장착하여 완전한 기동간 사격이 가능하다. 그리고 야간투시경과 그리 쓸데는 없지만 어쨌든 IR 서치라이트가 장착되었기 때문에 야간전 능력도 기존의 59식 전차에 비해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엔진은 기존의 520마력에서 580마력으로 출력이 보강되었는데 배꼽에 털 난 수준의 차이이긴 하지만 막상 59식 전차를 타다가 69식 전차를 타면 미묘하게 가속력이 나은 것을 볼 수 있다.
포탑 선회 속도도 기존의 59식 전차에 비해서 빨라졌다. 59식 전차와 69식 전차를 비교했을 때 전문가 승무원+전차장 지휘력 MAX+모든 부품 업그레이드를 기준으로 했을 때 59식 전차의 포탑 선회 속도는 초당 9.2도이지만 69식 전차는 13.4초이다. 서방권 전차에 비교하면 그래도 느린 편이지만 59식 전차와 러시아제 T-54를 운용한 유저라면 이 정도 속도도 꽤 괜찮게 느껴진다.
이 외 장갑 방호력은 59식 전차와 동일하다. 그리고 동일한 BR에 비슷한 퍼포먼스를 갖춘 러시아제 T-55A와 비교하면 날탄의 관통력은 분명히 T-55A가 우수하지만 초탄 정확도는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장착한 69식 전차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이외 나머지 분야는 서로 대등하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69식 전차는 날탄이 조금 아쉽지만 그래도 기존의 59식 전차에 비하면 꽤 발전했고 나름 장점도 있는 전차이다. 날탄의 관통력이 부족한 관계로 대전차고폭탄도 넉넉하게 챙겨서 상황에 따라서 날탄을 갈길지, 대탄을 갈길지 구별하며 적절히 사용하도록 하자.
7. 6랭크
7.1. ZTZ59D1
ZTZ59D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69식 전차 | ZTZ59D1 | ZTZ96 | }}}}}}}}} |
차량 성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중국 | 차종 | 중형전차 | 랭크 | VI | BR | 8.3 (AB) 8.3 (RB) 8.3 (SB) |
승무원 인원 | 4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 중량 | 36.5 톤 | 시인성 | 83 % | 포탑 회전 속도 | 9.5°/초 (AB) 5.9°/초 (RB)(SB) | |
엔진 | 변속기 | 전진 기어: 5단 | 후진 기어: 1단 | ||||||
엔진 출력 | 806 마력 | 2000 rpm (AB) 460 마력 | 2000 rpm (RB)(SB) | 최대속도 | 전진: 56 km/h | 후진: 8.3 km/h (AB) 전진: 50 km/h | 후진: 7.5 km/h (RB)(SB) | |||||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 100 mm | 80 mm | 45 mm | 남은 무료 수리 횟수 | 10 | 최대 수리비 | 2,720 (AB) 4,500 (RB) 5,070 (SB) | |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 220 mm | 155 mm | 65 mm | 무료 수리 시간 | 4일 21시간 (AB) 10일 (RB) 10일 (SB) | 최대 장비 연구 효율 | V - VII 랭크 | |
필요 RP | 180,000 | 가격 | 490,000 | 전환 훈련 비용 | 140,000 | 보상 214% (AB)(SB)(RB) | 2.14×(100%) (AB)(SB)(RB) | |
보상 100% (AB) 보상 150% (RB) 보상 170% (SB) | 1.0×(100%) (AB) 1.5×(100%) (RB) 1.7×(100%) (SB) | }}}}}}}}} |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학장비 | 야간장비 | ||||||
확대 | 3.5x-7.0x | NVD 종류 | 포수 | 야시경 | ||||
전차장 | 야시경 | |||||||
조종수 | 야시경 | |||||||
거리 측정기 종류 | 레이저 거리 측정기 (LR) | 적외선 탐조등 종류 | - | |||||
시야 FOV | 9 | NVD 성능 | 포수 | 1세대, 500x300 해상도 | ||||
전차장 | 야시경 | |||||||
조종수 | 야시경 | }}}}}}}}} |
주무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재장전 시간 | 발사 속도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105 mm 83식 전차포 | 11.2 초 (기본) | 5.35 발/분 (기본) | 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HEATFS (날개안정식 대전차고폭탄) HESH (점착유탄) | 37 발 | ||||
고저각 | 회전각 | 조준 속도 | 수직 조준 속도 | 주포 안정기 | 장전 방식 | 준비탄 적재소 | ||
-4° / +18° | ±180° | 9.5°/초 (AB) 5.9°/초 (RB)(SB) | 7.1°/초 (AB) 2.5°/초 (RB)(SB) | 2축 | 수동 장전 | 37 발 | ||
탄종 | 명칭 | 가격 | 구경 | 탄체중량 | 포구초속 | 폭약 종류 | 폭약 질량 | |
HEATFS | 83식 대전차고폭탄 | 무료 | 105 mm | 11 kg | 1173 m/s | 콤포지션 B | 970 g | |
HESH | 83식 점착유탄 | 110 | 105 mm | 15 kg | 730 m/s | 콤포지션 A | 2.99 kg | |
APFSDS | 83식 분리철갑탄 | 180 | 105 mm | 3.79 kg | 1455 m/s | - | - | |
탄종 | 명칭 | TNT 당량 | 신관 지연거리 | 신관 민감도 | 유도체계 유형 | 사거리 | 최소 발사 거리 격발 범위 | |
HEATFS | 83식 대전차고폭탄 | 1.27 kg | 0.05 m | 0.1 mm | - | - | - | |
HESH | 83식 점착유탄 | 4.31 kg | 0.05 m | 0.1 mm | - | - | - | |
APFSDS | 83식 분리철갑탄 | - | - | - | - | - | - | |
탄종 | 명칭 | 착탄각도별 도탄확률 | ||||||
0% | 50% | 100% | ||||||
HEATFS | 83식 대전차고폭탄 | 65° | 72° | 77° | ||||
HESH | 83식 점착유탄 | 73° | 77° | 80° | ||||
APFSDS | 83식 분리철갑탄 | 78° | 80° | 81°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83식 대전차고폭탄 | 400mm | 400mm | 400mm | 400mm | 400mm | 400mm | |
HESH | 83식 점착유탄 | 127mm | 127mm | 127mm | ㅍmm | 127mm | 127mm | |
APFSDS | 83식 분리철갑탄 | 337mm | 335mm | 330mm | 322mm | 314mm | 306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83식 대전차고폭탄 | 346mm | 346mm | 346mm | 346mm | 346mm | 346mm | |
HESH | 83식 점착유탄 | 127mm | 127mm | 127mm | ㅍmm | 127mm | 127mm | |
APFSDS | 83식 분리철갑탄 | 284mm | 283mm | 278mm | 272mm | 265mm | 258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83식 대전차고폭탄 | 200mm | 200mm | 200mm | 200mm | 200mm | 200mm | |
HESH | 83식 점착유탄 | 127mm | 127mm | 127mm | ㅍmm | 127mm | 127mm | |
APFSDS | 83식 분리철갑탄 | 195mm | 194mm | 191mm | 186mm | 182mm | 177mm | }}}}}}}}} |
부무장 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12.7 mm DShK 기관총 | AP-I(c) (철갑소이탄 (서멧 탄심)) API-T (철갑소이예광탄) IAI (즉각발화소이탄) | 250 발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29mm | 27mm | 25mm | 20mm | 11mm | 8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25mm | 23mm | 21mm | 17mm | 9mm | 7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11mm | 10mm | 10mm | 8mm | 4mm | 3mm | }}}}}}}}} |
부무장 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7.62 mm SGMT 기관총 | AP-I (철갑소이탄) API-T (철갑소이예광탄) | 3500 발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10mm | 9mm | 7mm | 4mm | 0mm | 0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9mm | 8mm | 6mm | 3mm | 0mm | 0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4mm | 3mm | 3mm | 2mm | 0mm | 0mm | }}}}}}}}} |
연막 차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재장전 시간 | 차장 범위 | 차장 시간 | 차장 지속시간 | |||
76 mm 연막탄 발사기 ×8 | 8 초 | 13 m | 2 초 | 20 초 | ||||
엔진 연막발생 시스템 (ESS) | - | }}}}}}}}} |
1.91 "Night Vision" 업데이트(2019년 9월 11일)를 통해서 등장하였다.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으로 중국은 서방 세계의 문화와 기술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105mm 로얄 오드넌스 L7 강선포 라이센스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렇게 현대화 개량된 59식 전차는 현재까지 중국인민해방군에서 2선급 무기로 운용 중이다. 천안문 항쟁 때 탱크맨이 막은 전차와 가장 비슷한 형식이다.
기존의 59식 전차를 상기하면 확실히 개선된 점이 많다. 일단 105mm 83식 강선포를 장착하여 기존의 100mm 강선포와 69식 전차의 100mm 활강포에 비교하면 월등한 성능을 보이는데 이스라엘제 M111 날탄을 라이센스 생산형인 83식 철갑탄을 사용할 수 있어서 BR 8.3에서 수준급 화력을 달성했다.
이외에도 L35 점착유탄을 라이센스 생산한 83식 점착유탄과 M456 날개안정 대전차고폭탄의 라이센스 생산형인 83식 대전차고폭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장착하여 먼 거리의 목표물이라도 정확한 거리 값을 파악할 수 있고 자동적으로 영점을 조절할 수 있다. 기존의 59식 전차가 예감으로 목표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에 비하면 확실한 발전이다.
반응장갑이 장착되었는데 특이하게 포탑 반응장갑은 순수한 화학에너지탄 방어용이지만 차체 반응장갑은 FY-4 반응장갑처럼 운동에너지탄에 대한 방어력이 어느 정도 있다. 때문에 차체전면 방어력은 꽤 좋은 편이다.
기존의 59식/69식 전차가 연막탄 발사기를 장착하지 않았으나 ZTZ-59D1 전차는 8연발 66mm 연막탄 발사기를 장착하여 즉발적인 연막탄 분사가 가능하다.
큰 단점으로 59식 전차와 마찬가지로 2축이 아니라 수직 방향만 안정되는 1축 안정기를 장착하여 차체를 움직이거나 제동을 할 때마다 수평 방향으로 조준경이 휙휙 흔들리는 걸 볼 수 있다. 신속한 사격이 중요해지는 BR대인걸 생각하면 반응 속도에 영향을 끼치는 치명적인 단점이다.
기존의 59식 전차에 비해서 꽤 발전한 건 맞지만 거의 항상 차체를 돌려서 조준해야 할 정도로 심각하게 느린 포탑 선회 속도[9]는 여전하고 추중비는 기존의 59식 전차에 비해서 좀 더 떨어졌다는 점이 단점이다. 느린 포탑 선회 속도로 인해 기습을 당할 경우 포탑을 돌리는데 꽤 시간이 걸리고 기존의 59식 전차의 무게가 35.5톤이지만 ZTZ-59D1 전차의 무게는 1톤이 증가한 36.5톤이다. 그러나 엔진이나 변속기는 여전히 동일한 것을 사용했기에 가속력과 기동성은 오히려 낮아졌다.
105mm L7 계열 전차포를 장착한 전차 중에서 장전 속도가 느린 편이다. 보통 서구권 전차의 경우 탄약수의 장전 속도와 전차장의 지휘력 및 전차 승무원 전문가를 기준으로 7.1초이지만 ZTZ-59D1 같은 경우에는 동일한 조건에서 장전할 경우 9.1초이다. 러시아제 T-54, T-62 전차를 운용한 유저에게는 딱히 문제될 거 없는 장전속도지만 서구권 전차를 탄 유저에게는 확실히 느린 게 체감이 된다.
전체적으로 유사한 전차들인 T-55AM-1/T-55AMD-1이나 T-55M과 비교해서 내세울 게 없는 전차. 원래는 포수 열상이라는 확실한 장점이 있었으나 고증화 이후에는 그것조차 없게 되면서 위 전차들이 8.7로 올라갈 때 홀로 T-55A와 같은 8.3에 남게 되면서 성능 대신 매칭의 덕을 보게 되었다.
7.2. 88식 계열
7.2.1. ZTZ88B
'La Royale' 업데이트로 등장한 중형전차. B형인데 트리에서 A형보다 앞에 있다. 그 이유는 B형이 A형보다 포신이 짧아서 날탄의 관통력이 감소했기 때문이다.7.2.2. ZTZ88A
ZTZ88A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ZTZ59D1 | ZTZ88A | ZTZ96 | }}}}}}}}} |
차량 성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중국 | 차종 | 중형전차 | 랭크 | VI | BR | 8.7 (AB) 8.7 (RB) 8.7 (SB) |
승무원 인원 | 4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 중량 | 38.5 톤 | 시인성 | 75 % | 포탑 회전 속도 | 26.35°/초 (AB) 14°/초 (RB)(SB) | |
엔진 | 변속기 | 전진 기어: 5단 | 후진 기어: 1단 | ||||||
엔진 출력 | 1393 마력 | 2000 rpm (AB) 730 마력 | 2000 rpm (RB)(SB) | 최대속도 | 전진: 64 km/h | 후진: 9.9 km/h (AB) 전진: 57 km/h | 후진: 8.9 km/h (RB)(SB) | |||||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 100 mm | 60 mm | 45 mm | 남은 무료 수리 횟수 | 10 | 최대 수리비 | 7,389 (AB) 8,225 (RB) 9,016 (SB) | |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 220 mm | 155 mm | 65 mm | 무료 수리 시간 | 8일 (AB) 18일 (RB) 11일 (SB) | 최대 장비 연구 효율 | V - VII 랭크 | |
필요 RP | 220,000 | 가격 | 580,000 | 전환 훈련 비용 | 170,000 | 보상 214% (AB)(SB)(RB) | 2.2×(100%) (AB)(SB)(RB) | |
보상 180% (AB) 보상 180% (RB) 보상 160% (SB) | 1.2×(100%) (AB) 1.5×(100%) (RB) 1.6×(100%) (SB) | }}}}}}}}} |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학장비 | 야간장비 | ||||||
확대 | 8.0x | NVD 종류 | 포수 | 야시경 | ||||
전차장 | 야시경 | |||||||
조종수 | 야시경 | |||||||
거리 측정기 종류 | 레이저 거리 측정기 (LR) | 적외선 탐조등 종류 | - | |||||
시야 FOV | 9 | NVD 성능 | 포수 | 야시경 | ||||
전차장 | 야시경 | |||||||
조종수 | 야시경 | }}}}}}}}} |
'Wind of Change' 업데이트로 등장한 중형전차. 80식 전차의 정식 채용 버전으로, 이후에 개량 및 기술 축적을 통해 ZTZ88C가 ZTZ96이 된다.
7.3. ZTZ96
ZTZ96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ZTZ59D1 | ZTZ96 | ZTZ96A | }}}}}}}}} |
차량 성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중국 | 차종 | 중형전차 | 랭크 | VI | BR | 9.3 (AB) 9.3 (RB) 9.3 (SB) |
승무원 인원 | 3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 중량 | 41.0 톤 | 시인성 | 75 % | 포탑 회전 속도 | 28.6°/초 (AB) 17.9°/초 (RB)(SB) | |
엔진 | 변속기 | 전진 기어: 7단 | 후진 기어: 1단 | ||||||
엔진 출력 | 1131 마력 | 2000 rpm (AB) 646 마력 | 2000 rpm (RB)(SB) | 최대속도 | 전진: 64 km/h | 후진: 8.0 km/h (AB) 전진: 57 km/h | 후진: 7.2 km/h (RB)(SB) | |||||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 100 mm | 80 mm | 45 mm | 남은 무료 수리 횟수 | 10 | 최대 수리비 | 2,400 (AB) 4,500 (RB) 4,790 (SB) | |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 220 mm | 155 mm | 65 mm | 무료 수리 시간 | 5일 03시간 (AB) 11일 (RB) 11일 (SB) | 최대 장비 연구 효율 | V - VII 랭크 | |
필요 RP | 220,000 | 가격 | 580,000 | 전환 훈련 비용 | 170,000 | 보상 220% (AB)(SB)(RB) | 2.2×(100%) (AB)(SB)(RB) | |
보상 120% (AB) 보상 150% (RB) 보상 160% (SB) | 1.2×(100%) (AB) 1.5×(100%) (RB) 1.6×(100%) (SB) | }}}}}}}}} |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학장비 | 야간장비 | ||||||
확대 | 8.0x | NVD 종류 | 포수 | 야시경 | ||||
전차장 | 야시경 | |||||||
조종수 | 야시경 | |||||||
거리 측정기 종류 | 레이저 거리 측정기 (LR) | 적외선 탐조등 종류 | - | |||||
시야 FOV | 9 | NVD 성능 | 포수 | 야시경 | ||||
전차장 | 야시경 | |||||||
조종수 | 야시경 | }}}}}}}}} |
주무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재장전 시간 | 발사 속도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125 mm 88C식 전차포 | 7.5 초 (자동 장전) | 8 발/분 (자동 장전) | 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HEATFS (날개안정식 대전차고폭탄) HE (고폭파편탄) | 40 발 | ||||
고저각 | 회전각 | 조준 속도 | 수직 조준 속도 | 주포 안정기 | 장전 방식 | 준비탄 적재소 | ||
-5° / +12° | ±180° | 29°/초 (AB) 18°/초 (RB)(SB) | 7.8°/초 (AB) 2.8°/초 (RB)(SB) | 2축 | 자동 장전 | 22 발 | ||
탄종 | 명칭 | 가격 | 구경 | 탄체중량 | 포구초속 | 폭약 종류 | 폭약 질량 | |
HEATFS | DTP-125 | 무료 | 125 mm | 18 kg | 905 m/s | RDX/TNT | 1.71 kg | |
HE | DTB-125 | 무료 | 125 mm | 23 kg | 850 m/s | A-IX-2 | 3.55 kg | |
APFSDS | 125-I | 190 | 125 mm | 4.02 kg | 1730 m/s | - | - | |
탄종 | 명칭 | TNT 당량 | 신관 지연거리 | 신관 민감도 | 유도체계 유형 | 사거리 | 최소 발사 거리 격발 범위 | |
HEATFS | DTP-125 | 2.19 kg | 0.05 m | 0.1 mm | - | - | - | |
HE | DTB-125 | 5.46 kg | - | 0.1 mm | - | - | - | |
APFSDS | 125-I | - | - | - | - | - | - | |
탄종 | 명칭 | 착탄각도별 도탄확률 | ||||||
0% | 50% | 100% | ||||||
HEATFS | DTP-125 | 65° | 72° | 77° | ||||
HE | DTB-125 | 79° | 80° | 81° | ||||
APFSDS | 125-I | 78° | 80° | 81°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DTP-125 | 480mm | 480mm | 480mm | 480mm | 480mm | 480mm | |
HE | DTB-125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
APFSDS | 125-I | 466mm | 464mm | 458mm | 450mm | 442mm | 434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DTP-125 | 416mm | 416mm | 416mm | 416mm | 416mm | 416mm | |
HE | DTB-125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
APFSDS | 125-I | 393mm | 392mm | 386mm | 380mm | 373mm | 366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DTP-125 | 240mm | 240mm | 240mm | 240mm | 240mm | 240mm | |
HE | DTB-125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
APFSDS | 125-I | 269mm | 268mm | 265mm | 260mm | 255mm | 251mm | }}}}}}}}} |
부무장 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12.7 mm QJC88A 기관총 | AP-I(c) (철갑소이탄 (서멧 탄심)) API-T (철갑소이예광탄) IAI (즉각발화소이탄) | 500 발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29mm | 27mm | 25mm | 20mm | 11mm | 8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25mm | 23mm | 21mm | 17mm | 9mm | 7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11mm | 10mm | 10mm | 8mm | 4mm | 3mm | }}}}}}}}} |
부무장 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7.62 mm 86식 기관총 | AP-I (철갑소이탄) API-T (철갑소이예광탄) | 2500 발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10mm | 9mm | 7mm | 4mm | 0mm | 0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9mm | 8mm | 6mm | 3mm | 0mm | 0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4mm | 3mm | 3mm | 2mm | 0mm | 0mm | }}}}}}}}} |
연막 차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재장전 시간 | 차장 범위 | 차장 시간 | 차장 지속시간 | |||
81 mm 3D17 연막탄 발사기 ×8 | 8 초 | 13 m | 2 초 | 20 초 | ||||
엔진 연막발생 시스템 (ESS) | 사용 가능 | }}}}}}}}} |
ZTZ96 소개 페이지
일명 96식. 1.93 "Shark Attack" 업데이트(19년 10월 29일)로 추가되었다. 현 인민해방군을 대표하는 MBT로 1996년부터 배치되었다. T-72를 역설계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설계한 전차라 자동장전장치, 차체 전면장갑 각도 등을 많이 참고했지만 차체 길이는 80식을 기반으로 설계해서 T-72보다 짧으며 그 부작용으로 매우 널찍한 하단장갑을 자랑한다. 조종수가 정중앙이 아닌 좌측에 위치한것도 특징이며 변속기도 다르나 성능은 비슷해서 후진도 똑같이 느리고 제자리 선회도 못한다.
서방 MBT처럼 중앙 명치 없엔 좌측 조종수 차체에다가 나름대로 복합장갑이 삽입된 용접포탑을 쓰는 등 기술 진보가 있어 보이나, 장갑재가 부실해서 장거리에서 105mm DM33 날탄에도 속절없이 포수쪽 포탑 전면이랑 차체가 아무 곳이나 프리패스여서 그렇게 단단한 편은 아니다. 그나마 동BR대에서 자주 만나는 DM23, M774 날탄 정도는 충분히 막아내기 때문에 상위 BR 탑방 끌려가는 거 아니면 해볼만하다.
전체적인 기동력은 T-72A와 비슷하며, 후진속도는 4km/h가 나오는 T-72랑 다르게 거의 두 배 가까이 빠른 7km/h가 나오긴 하나 동 랭크의 다른 국가 후진속도 수준에선 그놈이 그놈이다.
날탄은 부실한 장갑재를 가져온 대가인지 소련의 3BM42와 비슷한 탄을 쓴다. 그리고 소련 MBT처럼 고폭탄을 쓰는데 DTB-125 고폭탄은 TNT 당량으로 악명높은 소련제 3OF26보다 작약과 TNT 당량이 더 많기 때문에 적 차량을 명중시켰다 하면 파편량과 관통력으로 순식간에 기동 불능 상태나 탄약, 연료탱크 유폭사를 시킬 수 있다.
8. 7랭크
8.1. ZTZ96A
ZTZ96A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ZTZ96 | ZTZ96A | ZTZ99 | }}}}}}}}} |
차량 성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중국 | 차종 | 중형전차 | 랭크 | VI | BR | 9.7 (AB) 9.7 (RB) 9.7 (SB) |
승무원 인원 | 3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 중량 | 42.8 톤 | 시인성 | 75 % | 포탑 회전 속도 | 28.6°/초 (AB) 17.9°/초 (RB)(SB) | |
엔진 | 변속기 | 전진 기어: 7단 | 후진 기어: 1단 | ||||||
엔진 출력 | 1240 마력 | 2000 rpm (AB) 708 마력 | 2000 rpm (RB)(SB) | 최대속도 | 전진: 66 km/h | 후진: 6.4 km/h (AB) 전진: 59 km/h | 후진: 5.7 km/h (RB)(SB) | |||||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 100 mm | 80 mm | 45 mm | 남은 무료 수리 횟수 | 10 | 최대 수리비 | 2,100 (AB) 4,600 (RB) 5,500 (SB) | |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 220 mm | 155 mm | 65 mm | 무료 수리 시간 | 5일 10시간 (AB) 12일 (RB) 12일 (SB) | 최대 장비 연구 효율 | V - VII 랭크 | |
필요 RP | 250,000 | 가격 | 690,000 | 전환 훈련 비용 | 200,000 | 보상 226% (AB)(SB)(RB) | 2.26×(100%) (AB)(SB)(RB) | |
보상 130% (AB) 보상 150% (RB) 보상 180% (SB) | 1.3×(100%) (AB) 1.5×(100%) (RB) 1.8×(100%) (SB) | }}}}}}}}} |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학장비 | 야간장비 | ||||||
확대 | 8.0x | NVD 종류 | 포수 | 열영상 | ||||
전차장 | 야시경 | |||||||
조종수 | 야시경 | |||||||
거리 측정기 종류 | 레이저 거리 측정기 (LR) | 적외선 탐조등 종류 | - | |||||
시야 FOV | 9 | NVD 성능 | 포수 | 1세대, 500x300 해상도 | ||||
전차장 | 야시경 | |||||||
조종수 | 야시경 | }}}}}}}}} |
주무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재장전 시간 | 발사 속도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125 mm 88C식 전차포 | 7.5 초 (자동 장전) | 8 발/분 (자동 장전) | 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HEATFS (날개안정식 대전차고폭탄) HE (고폭파편탄) | 40 발 | ||||
고저각 | 회전각 | 조준 속도 | 수직 조준 속도 | 주포 안정기 | 장전 방식 | 준비탄 적재소 | ||
-5° / +12° | ±180° | 29°/초 (AB) 18°/초 (RB)(SB) | 7.8°/초 (AB) 2.8°/초 (RB)(SB) | 2축 | 자동 장전 | 22 발 | ||
탄종 | 명칭 | 가격 | 구경 | 탄체중량 | 포구초속 | 폭약 종류 | 폭약 질량 | |
HEATFS | DTP-125 | 무료 | 125 mm | 18 kg | 905 m/s | RDX/TNT | 1.71 kg | |
HE | DTB-125 | 무료 | 125 mm | 23 kg | 850 m/s | A-IX-2 | 3.55 kg | |
APFSDS | 125-I | 190 | 125 mm | 4.02 kg | 1730 m/s | - | - | |
탄종 | 명칭 | TNT 당량 | 신관 지연거리 | 신관 민감도 | 유도체계 유형 | 사거리 | 최소 발사 거리 격발 범위 | |
HEATFS | DTP-125 | 2.19 kg | 0.05 m | 0.1 mm | - | - | - | |
HE | DTB-125 | 5.46 kg | - | 0.1 mm | - | - | - | |
APFSDS | 125-I | - | - | - | - | - | - | |
탄종 | 명칭 | 착탄각도별 도탄확률 | ||||||
0% | 50% | 100% | ||||||
HEATFS | DTP-125 | 65° | 72° | 77° | ||||
HE | DTB-125 | 79° | 80° | 81° | ||||
APFSDS | 125-I | 78° | 80° | 81°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DTP-125 | 480mm | 480mm | 480mm | 480mm | 480mm | 480mm | |
HE | DTB-125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
APFSDS | 125-I | 466mm | 464mm | 458mm | 450mm | 442mm | 434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DTP-125 | 416mm | 416mm | 416mm | 416mm | 416mm | 416mm | |
HE | DTB-125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
APFSDS | 125-I | 393mm | 392mm | 386mm | 380mm | 373mm | 366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DTP-125 | 240mm | 240mm | 240mm | 240mm | 240mm | 240mm | |
HE | DTB-125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
APFSDS | 125-I | 269mm | 268mm | 265mm | 260mm | 255mm | 251mm | }}}}}}}}} |
부무장 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12.7 mm QJC88A 기관총 | AP-I(c) (철갑소이탄 (서멧 탄심)) API-T (철갑소이예광탄) IAI (즉각발화소이탄) | 500 발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29mm | 27mm | 25mm | 20mm | 11mm | 8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25mm | 23mm | 21mm | 17mm | 9mm | 7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11mm | 10mm | 10mm | 8mm | 4mm | 3mm | }}}}}}}}} |
부무장 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7.62 mm 86식 기관총 | AP-I (철갑소이탄) API-T (철갑소이예광탄) | 2500 발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10mm | 9mm | 7mm | 4mm | 0mm | 0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9mm | 8mm | 6mm | 3mm | 0mm | 0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4mm | 3mm | 3mm | 2mm | 0mm | 0mm | }}}}}}}}} |
연막 차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재장전 시간 | 차장 범위 | 차장 시간 | 차장 지속시간 | |||
81 mm 3D17 연막탄 발사기 ×8 | 8 초 | 13 m | 2 초 | 20 초 | ||||
엔진 연막발생 시스템 (ESS) | 사용 가능 | }}}}}}}}} |
ZTZ96A 소개 페이지
2020년 5월 16일의 1.97 "Viking Fury" 업데이트 당시 등장한 전차.
2000년이 되면서 중국은 그동안 보유하고 있던 ZTZ-96 전차의 성능적인 한계를 인지하게 되었고 미국, 러시아, 대한민국, 일본, 인도 등 주변 국가들의 주력전차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현대화 개량을 실시하게 된다. 그렇게 ZTZ-96A 전차가 2006년에 공개되었다.
ZTZ-96과 ZTZ-96A의 외관상 차이점은 반응장갑의 존재 여부에서 쉽게 알 수 있다, ZTZ-96A는 차량 전면부에 집중적으로 FY-4 반응장갑을 장착하였는데, 이것은 철갑탄을 비롯한 물리에너지 포탄을 상대로는 140mm 방호력을 발휘하고 대전차고폭탄처럼 화학에너지 포탄을 상대로는 450mm의 방호력을 보여서 좋은 방호력을 발휘한다.
특히 운동에너지 포탄 방호력이 여유로워서 FY-4 반응장갑이 존재하는 장갑 부위는 웬만한 날탄을 막아내서 장갑 방호력은 확실히 발전한 것이 느껴진다.
포수는 2세대 열화상 조준경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상당히 큰 장점이며 전차장의 오버라이드 시스템은 그대로 유지되어 포수가 사망할 경우 그 즉시 포와 포탑의 작동 권한이 전차장에게 위임되어 신속한 반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96식 특유의 널찍하고 얇은 하단은 여전하다. 특히 탄약고가 낮은 곳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여기가 뚫리면 탄약고까지 폭발을 일으킬 수 있으니 웬만해서는 차체 하부를 보이는 상태로 교전하지 말자.
전차 퍼포먼스가 꽤 괜찮아서 배틀레이팅 10.7 전차전에서 ZTZ-99 시리즈의 백업 용도로 사용하는 유저들이 꽤 있다.
8.2. 99식 II/III 계열
"Sons of Artilla" 패치 때 테크 트리 개편으로 합쳐졌다. 둘 다 성능이 꽤나 괜찮은 편이기 때문에 여유가 있다면 뚫는 것을 추천한다.
현재 99식 계열의 차체 모델링이 비고증이다.
8.2.1. ZTZ99-II
ZTZ99-II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ZTZ96A | ZTZ99 | ZTZ99-III | }}}}}}}}} |
차량 성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중국 | 차종 | 중형전차 | 랭크 | VII | BR | 10.3 (AB) 10.7 (RB) 10.3 (SB) |
승무원 인원 | 3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 중량 | 51.0 톤 | 시인성 | 75 % | 포탑 회전 속도 | 28.6°/초 (AB) 17.9°/초 (RB)(SB) | |
엔진 | - | 변속기 | - 전진 기어: 7단 | 후진 기어: 1단 | |||||
엔진 출력 | 1860 마력 | 2200 rpm (AB) 1061 마력 | 2200 rpm (RB)(SB) | 최대속도 | 전진: 72 km/h | 후진: 5.4 km/h (AB) 전진: 65 km/h | 후진: 4.8 km/h (RB)(SB) | |||||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 100 mm | 80 mm | 45 mm | 남은 무료 수리 횟수 | 10 | 최대 수리비 | 3,910 (AB) 4,920 (RB) 4,890 (SB) | |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 220 mm | 155 mm | 65 mm | 무료 수리 시간 | 6일 18시간 (AB) 12일 (RB) 12일 (SB) | 최대 장비 연구 효율 | VI - VII 랭크 | |
필요 RP | 390,000 | 가격 | 1,020,000 | 전환 훈련 비용 | 290,000 | 보상 232% (AB)(SB)(RB) | 2.32×(100%) (AB)(SB)(RB) | |
보상 130% (AB) 보상 150% (RB) 보상 180% (SB) | 1.3×(100%) (AB) 1.5×(100%) (RB) 1.8×(100%) (SB) | }}}}}}}}} |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학장비 | 야간장비 | ||||||
확대 | 8.0x | NVD 종류 | 포수 | 열영상 | ||||
전차장 | 열영상 | |||||||
조종수 | 야시경 | |||||||
거리 측정기 종류 | LWS/LR (레이저 경보 시스템/레이저 거리 측정기) | 적외선 탐조등 종류 | - | |||||
시야 FOV | 9 | NVD 성능 | 포수 | 2세대, 800x600 해상도 | ||||
전차장 | 2세대, 800x600 해상도 | |||||||
조종수 | 야시경 | }}}}}}}}} |
주무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재장전 시간 | 발사 속도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125 mm ZPT98 활강포 | 7.1 초 | 8 발/분 | 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HEATFS (날개안정식 대전차고폭탄) HE (고폭파편탄) | 39 발 | ||||
고저각 | 회전각 | 조준 속도 | 수직 조준 속도 | 주포 안정기 | 장전 방식 | 준비탄 적재소 | ||
-5° / +13° | ±180° | 29°/초 (AB) 18°/초 (RB)(SB) | 9.4°/초 (AB) 3.4°/초 (RB)(SB) | 2축 | 자동 장전 | 22 발 | ||
탄종 | 명칭 | 가격 | 구경 | 탄체중량 | 포구초속 | 폭약 종류 | 폭약 질량 | |
HEATFS | DTP-125 | 무료 | 125 mm | 18 kg | 905 m/s | RDX/TNT | 1.71 kg | |
HE | DTB-125 | 무료 | 125 mm | 23 kg | 850 m/s | A-IX-2 | 3.55 kg | |
APFSDS | 125-I | 190 | 125 mm | 4.02 kg | 1730 m/s | - | - | |
APFSDS | DTW-125 | 230 | 125 mm | 4.83 kg | 1730 m/s | - | - | |
탄종 | 명칭 | TNT 당량 | 신관 지연거리 | 신관 민감도 | 유도체계 유형 | 사거리 | 최소 발사 거리 격발 범위 | |
HEATFS | DTP-125 | 2.19 kg | 0.05 m | 0.1 mm | - | - | - | |
HE | DTB-125 | 5.46 kg | - | 0.1 mm | - | - | - | |
APFSDS | 125-I | - | - | - | - | - | - | |
APFSDS | DTW-125 | - | - | - | - | - | - | |
탄종 | 명칭 | 착탄각도별 도탄확률 | ||||||
0% | 50% | 100% | ||||||
HEATFS | DTP-125 | 65° | 72° | 77° | ||||
HE | DTB-125 | 79° | 80° | 81° | ||||
APFSDS | 125-I | 78° | 80° | 81° | ||||
APFSDS | DTW-125 | 78° | 80° | 81°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DTP-125 | 480mm | 480mm | 480mm | 480mm | 480mm | 480mm | |
HE | DTB-125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
APFSDS | 125-I | 466mm | 464mm | 458mm | 450mm | 442mm | 434mm | |
APFSDS | DTW-125 | 568mm | 566mm | 558mm | 549mm | 538mm | 529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DTP-125 | 416mm | 416mm | 416mm | 416mm | 416mm | 416mm | |
HE | DTB-125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
APFSDS | 125-I | 393mm | 392mm | 386mm | 380mm | 373mm | 366mm | |
APFSDS | DTW-125 | 479mm | 478mm | 471mm | 463mm | 454mm | 446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HEATFS | DTP-125 | 240mm | 240mm | 240mm | 240mm | 240mm | 240mm | |
HE | DTB-125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45mm | |
APFSDS | 125-I | 269mm | 268mm | 265mm | 260mm | 255mm | 251mm | |
APFSDS | DTW-125 | 328mm | 327mm | 323mm | 317mm | 311mm | 306mm | }}}}}}}}} |
부무장 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12.7 mm QJC88A 기관총 | AP-I(c) (철갑소이탄 (서멧 탄심)) API-T (철갑소이예광탄) IAI (즉각발화소이탄) | 500 발 | ||||||
탄종 | 명칭 | 가격 | 구경 | 설명 | ||||
API-T IAI AP-I(c) | 기본 | 무료 | 12.7 mm | API-T/IAI/API-T/AP-I(c) (으)로 채워진 12.7 mm 기관총 탄띠/탄알집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29mm | 27mm | 25mm | 20mm | 11mm | 8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25mm | 23mm | 21mm | 17mm | 9mm | 7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T IAI AP-I(c) | 기본 (API-T/IAI/API-T/AP-I(c)) | 11mm | 10mm | 10mm | 8mm | 4mm | 3mm | }}}}}}}}} |
부무장 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사용 탄종 | 탄약적재량 | |||||
7.62 mm 86식 기관총 | AP-I (철갑소이탄) API-T (철갑소이예광탄) | 2500 발 | ||||||
탄종 | 명칭 | 가격 | 구경 | 설명 | ||||
AP-I API-T | 기본 | 무료 | 7.62 mm | AP-I/API-T (으)로 채워진 7.62 mm 기관총 탄띠/탄알집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탄종 | 명칭 | 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10mm | 9mm | 7mm | 4mm | 0mm | 0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9mm | 8mm | 6mm | 3mm | 0mm | 0mm | |
탄종 | 명칭 | 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 ||||||
10m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
AP-I API-T | 기본 (AP-I/API-T) | 4mm | 3mm | 3mm | 2mm | 0mm | 0mm | }}}}}}}}} |
연막 차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칭 | 차장 횟수 | 재장전 시간 | 차장 범위 | 차장 시간 | 차장 지속시간 | ||
81 mm 3D17 연막탄 발사기 ×10 | 2 회 | 8 초 | 13 m | 2 초 | 20 초 | |||
엔진 연막발생 시스템 (ESS) | 사용 가능 | }}}}}}}}} |
ZTZ99 소개 페이지, 한글 번역
일명 99식. "Hot Tracks" 업데이트, 한글 번역 (20년 12월 18일)로 추가되었다.
96A식보다 더 진보된 기술을 갖춘 중국의 현용 주력전차로 중국 지상군에 처음으로 추가된 7랭크 차량이자 첫 BR 10.7짜리 MBT다. 99식의 1차 개량형이며, 주포는 이전 96식A 88C식보다 진보된 98식 활강포고 영거리 수직관 기준 568mm, 60도 경사관 기준 328mm를 관통 가능한 DTW-125 날탄을 업탄으로 받아서 화력만 놓고 보면 르클레르보다 아주 살짝 낮은 수준으로 준수한 편이다. 또한 DTB12-125 VT포탄이 있어서 제한적으로 대공이 된다. 2세대 포수, 차장 열상도 있어서 색적 능력도 우수하다. 다만 포수 조준경이 여전히 8배 고정 배율이라 최대 12배 가변 배율을 쓰는 타국 MBT에 비해 아쉬운 점이다.
차체 전면 상부 명치를 제외하면 FY-4 ERA가 웬만한 날탄을 다 막는다. 포탑 또한 NERA 복합장갑이라 엄청나게 단단한 대신 소련제 MBT처럼 주포 근처가 복합재가 아닌 RHA라 관통력이 460mm 이상 나오는 날탄 앞에 속수무책으로 관통되어 약실과 포수가 갈려나간다. 차체 측면은 조금만 보였다간 포탑 밑의 원으로 둘러싸인 탄약들을 맞고 유폭사 당한다. 심지어 99식은 차체 측면에 반응장갑도 없기 때문에 측면을 조금이라도 보였다간 죽는다. 차체 하부 역시 소련 MBT처럼 통짜 RHA라 관통시 유폭사 당한다. 기동력 또한 추중비가 좋기 때문에 인겜 최상 가속도를 지닌 T-80U를 따라잡으려 할 정도로 전진이 빠르다. 다만 후진은 소련 MBT처럼 여전히 4.6km라 매우 나쁜 편이다. 여전히 피봇턴도 못한다. 중국 MBT는 자동변속기가 달린 99식 A형에 와서야 후진도 좋아지고 피봇턴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수 조준경 뒤에 솟아있는 광학장비는 GL-7 레이저 시스템으로, 99A는 레이저 출력이 더 강한 시스템으로 교체되었고, 99식들과 WZ1001에만 탑재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레이저 경보 시스템, 레이저 거리 측정기, APS가 하나로 합쳐진 것이다. 다만, GL-7의 APS 기능은 적에게 레이저를 조사당했을 때, 자동으로 그 위치를 역추적하고 레이저를 조사시켜 적의 광학장비나 시커를 손상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구현되지 않았다.
데브 서버에서 등장했을 땐 소련 MBT처럼 명치가 없어서 차체 전면은 하부를 제외하고 상부 한정으로 인게임 최고 관통력을 지닌 DM53 날탄도 아예 관통 못할 정도로 최상의 방호력을 보여줬었다. BR도 10.0에 불과하여 국적을 불문하고 많은 유저들이 중국의 시대가 왔다느니 너도나도 중국 트리를 뚫으러 설레발을 치는 등 난리가 아니었다. 정식 추가되었을 때는 밸런스상으로 명치도 구현되고 BR도 10.7로 떡너프를 맞아서 레오2A6의 밥이 되어 버렸다 하지만 지금은 패치로 인해 소련MBT와 같이 10.3으로 향상돼 수월한 전차전이 가능하다.
레드 스카이 패치 이전에는 소련 전차의 비해서 측면 생존성과 장전속도에서 약한 모습을 보였지만 결국은 비슷한 수준이고 타국 탑랭크 장비 상당수가 11.0로 이동된 상태에서 99식 정도의 전차를 10.3에서 쓸 수 있는 건 아주 큰 장점이다. 하지만 결국 99식 역시 10.7로 너프되면서 T-72B3, T-90A, T-80U와 다시 대면하게 되었다.
현재는 상당히 괜찮은 전차로 평가받고 있다. 주장갑대 방호력은 DM53도 막아낼 수 있을 정도고, DTC10-125 탄 역시 10점대 구간 전차들을 상대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10.7 자체가 자탑을 자주 가는 BR대다 보니 업방에 끌려가는 일도 없어서 굉장히 쾌적하게 탈 수 있다.
사실 이 전차는 형식명을 ZTZ99-I로 해야 한다. ZTZ99가 따로 존재하고 ZTZ99에 ERA를 장착한 전기 개량형(2004)이 이 전차이기 때문.
8.2.2. ZTZ99-III
ZTZ99-III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ZTZ99-II | ZTZ99-III | ZTZ99A | }}}}}}}}} |
99식의 후기 개량형(2008)으로, 기존의 99식 2형에서 포탑 형상이 바뀌어 포탑 방호력이 소폭 개선되었고, 차체 하단도 좀 더 작아졌으나 여전히 큰 편이다. 그 외의 성능들은 99식 2형과 동일하다.
여담으로 이 전차는 ZTZ99-I를 한번 더 개량했기 때문에 본래 형식명은 ZTZ99-II이다.
8.3. ZTZ99A
ZTZ99A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국 육군 중형전차 · MBT 트리 | ||||
이전 차량 | → | 현재 차량 | → | 다음 차량 | |
ZTZ99-III | ZTZ99A | WZ1001(E) LCT | }}}}}}}}} |
2022년 6월 업데이트인 'Danger Zone'에서 등장한 전차이자 현재 중국인민해방군의 주력전차이다.
2000년부터 중국인민해방군에 본격적으로 배치된 ZTZ99는 당시 중국의 모든 전차 공학 기술이 집합체였고 이전에 생산한 ZTZ96에 비하면 크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몇 가지 부분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고 특히 주변 국가인 러시아 연방군, 대한민국 국군의 전력이 증강됨에 따라 2011년에 중국군 수뇌부가 ZTZ99의 성능을 보강하기로 했다.
기존 ZTZ99도 나름 쓸만한 전차였으나 주행 질감이 좋지 않고 시속 4km라는 느린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ZTZ99A는 자동변속기와 1500마력을 결합한 파워팩을 장착하여 주행 질감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으며 후진 속도는 시속 4km에서 34km로 대략 8배 빨라졌다 1500마력 엔진의 넉넉한 출력 대비 전차 중량이 55톤이라서 가속력과 주행 퍼포먼스가 서방권 전차와 대등한 수준이며 덕분에 치고 빠지는 전술에 능하다.
인게임의 99A는 2017년 이후 형식으로, 전차 디자인이 크게 바뀐 만큼 장갑재도 보강되었고 여기에 KE 방호력이 단단한 반응장갑을 적극적으로 장착하였다, 차체에 KE 방호력 140mm/CE 방호력 450mm인 FY-4 반응장갑을 장착하였고 포탑은 KE 방호력 250mm/CE 방호력 600mm인 FY-5 반응장갑을 장착하였다.
2세대급 포수 열상조준경과 전차장 열상조준경을 장착하여 물체 식별이 쉽다는 점과 레이저 경보기, 포수가 사망하면 그 즉시 전차장에게 포탑과 포 조작 권한이 인계되어 지체 없이 대응이 가능한 오버라이드 기능 등 소프트웨어도 부족함이 없다.
그러나 장전 속도가 발당 7.1초로 러시아제 전차와 별 차이가 없는 장전 속도를 보인다는 점과 차체 전면 하부 면적이 넓고 차체 측면은 반응장갑이 존재하지 않아 허를 찔리면 쉽게 무력화 된다는 점이 단점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ZTZ-99A는 '서방권 전차의 특징과 러시아제 전차의 특징이 고루 섞인 전차'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해당 업데이트 때 F-14 톰캣이 등장해서 모든 관심이 이 전투기에 쏠려 ZTZ99A가 딱히 조명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성능이 빈약해서 조명을 많이 받지 못한 것은 절대 아니다. 나름 쓸만한 화포와 소프트웨어, 상당히 민첩해진 기동성으로 피탄 거부 방식으로 운용하면 적의 골을 아프게 할 수 있다.
다만 현재는 시간이 흐르며 그렇게 썩 좋은 평가를 받는 전차는 아니다. 기본적으로 업탄인 DTC10-125는 10.7에서 쓰던 탄인 만큼 11.7에서는 성능이 아쉬운데, 재장전 속도도 7.1초 고정으로 워 썬더 내 11.7 전차 중 화력이 최하위권이다.[10] 그나마 방호력이라도 좋냐고 하면 그나마 주장갑대는 튼튼한 편이지만 차체 하단이 크며, 소련 전차들 처럼 측면에 추가적인 반응장갑 킷을 장착할 수도 없는 것도 단점. 또한 스폴라이너 등 생존성 요소가 없는데다 연료탱크 폭발로 인한 문제도 꽤나 심각한 문제. 그나마 10.7에 있는 99식들에 비해 장점은 기동성이 좋아졌다는 것이 있지만 이마저도 후방 부각이 제한되며 차체 하단이 넓어지는 단점을 야기했으며, 최대 시속 75km/h라는 속도는 주목할 만 하나 정작 최고속도로 주행하면 주포가 안정기가 있음에도 제 속도를 못이기고 출렁거리기 시작해서 속도를 조절하며 다녀야 한다.
이후 비고증이었던 차체하단이 수정되었으나 여전히 넓고, 메르카바 Mk. 4와 아리에테마저 장전 속도가 에이스 기준 5초로 상향되는 바람에 99A는 탑탱 최약체가 되었다.
[1] 원본인 치하 개량형은 고저장치가 따로 장착되어 있어서 포수가 견착하고 고저를 조절하는 게 아닌데도 어째서인지 주포 안정기가 장착되어 있다.(...)[2] 오픈탑 차량인 디커 막스나, 슈투러 에밀과 맞먹는다.[3] 멀리 갈것도 없이 소련은 T-V를 중전차로 취급했으나 인게임에서는 중형전차다.[4] 특히 리얼리스틱.[5] 크라이슬러 멀티뱅크 엔진 크기상 기존 성형엔진이나 포드 V8 GAA엔진과 다르게 일반 차체에 도저히 엔진을 실을 수 없어서 M4를 베이스로 차체를 20cm 정도 연장시켰다.[6] 독일군이 전차장 해치가 열리는 모습이 정면에서 보면 생쥐 귀처럼 보이기 때문에 마치 미키 마우스 같다며 붙인 별명.[7] 포탑링이 약점이긴 하지만 그 부위를 노리기 상당히 힘들다.[8] 그 잔재로 파일명이 cn_t_34_1942로 되어 있다.[9] 위에서 서술한 대로 수평 방향이 안정되지 않기에 차체를 돌리면 무조건 포가 딸려 간다는 점도 이에 한몫한다.[10] 탄 성능 자체는 챌린저2와 르끌레르 시리즈의 날탄이 더 나쁘나, 둘 다 장전속도가 중국보다 빠르며 영국은 챌린저3의 출시로 DM53까지 받아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