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0:29

M4A1/파생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M4A1
Medium Tank, M4A1 "Turtleback"
파생형 실전 운용국 미디어 모형

1. 개요2. 미국
2.1. 무장 교체 파생형
2.1.1. M4A1 (T1)2.1.2. M4E62.1.3. M42B1E92.1.4. M4A1 (E13R1-13R2)2.1.5. T105
2.2. 장비 추가 파생형
2.2.1. M4A1 (T72)2.2.2. T762.2.3. M4A1E22.2.4. M4A1 (T20)2.2.5. M4A1 카우캐처2.2.6. T522.2.7. M4A1 (T9)2.2.8. M4A1 (T9E1)2.2.9. M4A1 (M19)2.2.10. M4A1 (T1E3 언트 제미마)2.2.11. M4A1 (T40)2.2.12. M32B1 TRV (M20)2.2.13. 라이노 탱크 M4A12.2.14. M4A1 셔먼 도저2.2.15. M4A1 DD2.2.16. M4A1 (E6R3)2.2.17. M4A1 (E4-5)
2.3. 현가장치 개수형
2.3.1. M4A1 센티피드
2.4. 비무장 개조 파생형
2.4.1. M32B1 TRV2.4.2. M32A1B1 TRV2.4.3. M34 화포견인차2.4.4. T10E1 기술지원차량
3. 멕시코
3.1. 현대화 개수형
3.1.1. M32 첸카
4. 영국
4.1. 무장 교체 파생형
4.1.1. 셔먼 IC 하이브리드
5. 캐나다 자치령
5.1. 현대화 개수형
5.1.1. 그리즐리 I 순항전차
5.2. 자주포 개수형5.3. 무장 교체 파생형
5.3.1. 17 pdr 그리즐리 I5.3.2. 스킹크 대공전차
5.4. 비무장 파생형
5.4.1. 그리즐리 I APC
6. 프랑스
6.1. 무장 교체 파생형
6.1.1. M4A1 (FL-10)6.1.2. M4A1 (CN-105-F1)
7. 칠레
7.1. 무장 교체 파생형
7.1.1. M-60
8. 브라질
8.1. 현대화 개수형
8.1.1. M4 컴포지트 헐 레포텐시아도
9. 나치 독일
9.1. 비무장 개조 파생형
9.1.1. M4A1 베르게셔먼
10. 이스라엘
10.1. 현대화 개량형
10.1.1. M-1 슈퍼 셔먼
10.2. 무장 교체 파생형10.3. 비무장 개조 파생형
10.3.1. 에얄 관측 셔먼10.3.2. 셔먼 ARV C형10.3.3. 셔먼 응급 수송 차량10.3.4. 조종 강습용 셔먼
11. 중화민국
11.1. 무장 교체 파생형
11.1.1. M4A1 (75) W
12. 인도
12.1. 무장 교체 파생형
12.1.1. M4A1E9 (SA50)
13. 시리아
13.1. 비무장 개조 파생형
13.1.1. 셔먼 II APC
14. 아르헨티나
14.1. 현대화 개수형
14.1.1.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
14.2. 장비 추가 파생형
14.2.1.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 (RKM)
15. 뉴질랜드
15.1. 비무장 파생형
15.1.1. 셔먼 II 파사인 캐리어

[clearfix]

1. 개요

M4A1의 파생형들 일람.

최초로 만들어진 셔먼이라는 특성과, 9,000여대나 생산되었기 때문에 미국 내는 물론 세계 각지에도 공여되어 자체적으로 개수를 행하여 사용했기에 파생형이 무려 30가지에 달한다.

2. 미국

2.1. 무장 교체 파생형

2.1.1. M4A1 (T1)

파일:m4a1 76mm.jpg
M4A1 (T1)
"M4A1 (T1)"는 1942년 시제형으로 제작된 M4A1의 파생형으로, 당시 76mm M1 전차포의 시제형인 T1으로 포를 환장하여 에버딘 병기 시험장에서 테스트를 치른 모델이다.

탄약은 M10 GMC의 주포인 M7 대공포의 탄약을 이용하였으며, 여러 테스트 끝에 76mm 포를 얹어도 셔먼 구동계에는 무리가 가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나, 높은 장갑관통력과 달리 고폭탄의 위력 부족으로 대보병전에서의 위력 저하를 우려하여 M10 울버린에 대전차전을 맡긴다는 교리 하에 채택이 거부되었다가, 후일 75mm M3 전차포의 장갑 관통력 부족으로 인한 신형 업건 프로젝트에서 이 시제형의 테스트 결과를 적극적으로 분석하여 M4A1 (76) W가 탄생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2.1.2. M4E6

파일:M4E6.jpg
M4E6
"M4E6"은 76mm 전차포가 장착된 T23 포탑을 시험하기 위해 만들어진 M4 컴포지트 헐 기반의 파생형이다.

2.1.3. M42B1E9

파일:M42B1E9_Camp Shelby.webp
M42B1E9
"M42B1E9"는 M4A1E9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된 화염방사전차이다.

2.1.4. M4A1 (E13R1-13R2)

파일:M4A1_Flametank_US_tankmuseum.jpg
M4A1 (E13R1-13R2)
"M4A1 (E13R1-13R2)"는 M4A1 (76) W을 E13R1-13R2 화염방사기로 무장을 교체한 화염방사전차 파생형이다.

현재 미 육군 기갑 & 기병 박물관에 1량이 전시 중에 있다.

2.1.5. T105

파일:external/ww2photo.se/03897.jpg
T105
"T105"는 T76 및 T76E1의 개량형으로, 차체의 7.92mm M1919A4 기관총을 제거하고, 전차포 대신 7.2인치 로켓발사기를 무장으로 장착한 파생형이다.

1943년에 시제 차량이 한 대 제작되었으나,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프로젝트가 중단되고 말았다.

2.2. 장비 추가 파생형

2.2.1. M4A1 (T72)

파일:M4A1_with_T34_calliope.jpg
M4A1 (T72)
"M4A1 (T72)"는 T72 다연장로켓 발사대를 M4A1에 장착한 파생형이다.

비단 M4A1 뿐만 아니라 타 셔먼들에도 동일한 개조가 행해졌다.

2.2.2. T76

파일:T76_M4A1.jpg
T76
"T76"은 M4A1에 T73 로켓 발사기를 장착한 파생형으로서, 시험용으로 1대만이 개조되고 정식채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2.2.3. M4A1E2

파일:M4A1E2.jpg
M4A1E2
"M4A1E2"는 M4A1에 야간 투시경과 차량이 이동한 방향과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기록 주행 기록계로 구성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장착한 파생형이다.

그러나 기술력의 한계점으로 최대 20°나 기록된 방향과 실제 이동 거리가 어긋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고 , 내구성도 약했기에 시제차량 1량을 끝으로 제작이 중단되었다.

2.2.4. M4A1 (T20)

파일:M4A1 (T20).jpg
M4A1 (T20)
"M4A1 (T20)"은 1943년 8월 23일 프레스드 스틸 자동차 공업소에서 76mm M1 포에 사용될 T20 포탑의 테스트를 위하여 M4A1 3037734번차에 T20 포탑을 이식한 파생형이다.

하술할 대만의 M4A1 (75) W와 굉장히 유사한데, 차이점이 있다면 M4A1 (75) W는 탄약수 대형 해치를 적용한 D82081형 포탑을 사용한데다, 강제로 결합되었기에 포방패와 포의 유격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지만 M4A1 (T20)은 탄약수의 소형 해치를 적용하고 있는데다가, 포방패도 M3 75mm 전차포에 맞게 제작되어 유격 등의 문제점이 없었다는 점, 그리고 결정적으로 양산이 되지 않았다는 점이 있다.

따라서 M4A1 (75) W와 M4A1 (T20)은 무기계의 수렴 진화의 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2.2.5. M4A1 카우캐처

파일:COWCATCHER.jpg
M4A1 Cowcatcher
"M4A1 카우캐처"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독일군의 벙커를 격파하기 위해 7.2인치 다연장로켓을 M4A1의 전면에 부착한 파생형이다.

그러나 위치가 차체 전면에 너무 노출되어 있어 도비탄이나 이를 노린 유탄에 피탄되면 유폭될 가능성이 있었던데다, 상륙 시 침수되거나 혹은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면 불발의 위험도 있었기에 M4A1 (T40)과 같이 포탑 지붕에 얹은 방향으로 선회되어 사장되어 버렸다.

2.2.6. T52

파일:T52.jpg
T52[1]
"T52"는 하술할 T10E1 기술지원차량의 후속작이다.
파일:T52_turret.webp
T52 포탑 도면
T52는 T20의 포탑을 베이스로 하여, 탄약수 해치를 제거하고 오른쪽에 조명을, 왼쪽에 주포를 배치해 T10E1이 무장을 가지고 있지 않아 적군의 공격을 받아도 반격할 수 없다는 단점을 보완했다.

그러나 프로토타입이 완성되었을때 2차 세계대전이 종결되어 프로젝트가 사장되었다.

2.2.7. M4A1 (T9)

파일:T9M4A1.jpg
M4A1 (T9)
"M4A1 (T9)"는 M4A1에 거대한 T9 지뢰제거롤러를 부착한 파생형이다.

그러나 시험 도중 지뢰제거롤러가 너무 무거워서 진흙 속으로 파묻히는 바람에 테스트가 중단되어 시제차량만이 제작되고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

2.2.8. M4A1 (T9E1)

파일:T9E1M4A1.jpg
M4A1 (T9E1)
"M4A1 (T9E1)"은 상술한 M4A1 (T9)를 개선하여 지뢰제거롤러의 무게를 대폭 감소시킨 개량형이다.

그러나 무게를 감소시켰다고 해도 너무 무거워서 M4A1이 이를 매달고 이동하는데에 한계점이 명확하였고, 결국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

2.2.9. M4A1 (M19)

파일:M4A1_with_M19_flotation.jpg
M4A1 (M19)
"M4A1 (M19)"는 M4A1에 M19 부항장치와 스노클을 부착한 수륙양용전차 파생형이다.

M19 부향장치는 6개의 큰 플로트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각각 세로로 연결해 하나의 플로트가 되도록 하였다. 플로트가 M4A1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플로트를 붙이고 있어도 전투가 가능하고, 또 피탄에도 강했으나, 상부에서는 환영받지 못하였다.

먼저 6개의 플로트 무게가 총 15t 이나 되었으며, 방호력에는 우위였으나, 성능은 거의 동일한 셔먼 DD 시리즈보다 가격이 2배 정도 비쌌고, 설치 시에 무려 20,000인시나 소모되어야 하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M19 부향장치를 장착한 타 셔먼들은 오키나와 전투에 투입되었으나, 별다른 활약을 하지 않은채 종전을 맞이하였다.

2.2.10. M4A1 (T1E3 언트 제미마)

파일:T1E3-Aunt-Jemima.jpg
M4A1 (T1E3 Aunt Jemima)
"M4A1 (T1E3 언트 제미마)"는 1942년 M4A1에 T1E3 언트 제미마 지뢰제거롤러를 부착하여 만들어진 파생형이다.

T1E3 지뢰제거롤러의 별명인 "언트 제미마"가 붙여지게 된 계기는 다음과 같은데, 형상이 마치 거대한 팬케이크 같다고 당대 유명했던 팬케이크 브랜드인 "제미마 이모 (Aunt Jemima)"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고 한다.

2.2.11. M4A1 (T40)

파일:rockettankside.jpg
M4A1 (T40)
"M4A1 (T40)"은 T40[2] 위즈뱅 7.2인치 (182.88㎜) 로켓발사기를 M4A1에 장착한 파생형이다.

이 T40 7.2인치 로켓발사기는 로켓탄 20발을 탑재할 수 있었는데, 소수가 1944년 ~ 1945년 이탈리아 전선과 아르덴 대공세 당시에 투입되었다.

그런데 한 가지 문제점이 있었으니, 바로 T34 칼리오페의 4.5인치 로켓과 달리 7.2인치 로켓은 강화 구조물 파괴용이라 사거리가 275m에 불과했다는 점이었으며, 전장에서 275m면 정말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에 갖다놓고 쏴야 된다는 이야기다.

이 때문에 장갑이 빈약한 M3 하프트랙과 같은 장갑차가 아니라 주력 전차인 M4A1과, 타 셔먼들에 올려 사용했다.

2.2.12. M32B1 TRV (M20)

파일:M32B1 TRV with M20 75mm recoilless rifle.jpg
M32B1 TRV (M20)
"M32B1 TRV (M20)"은 주무장이 존재하지 않는 M32B1 TRV에 화력증강을 위하여 75mm M20 무반동총을 추가한 파생형이다.

2.2.13. 라이노 탱크 M4A1

파일:rhinosherman.jpg
Rhino Tank M4A1
"라이노 탱크 M4A1"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오버로드 작전 당시 프랑스 내의 보카쥬나 수목 등의 이유로 전차의 진격에 애로사항이 생기자 이를 타파하기 위해 현지에서 직접 톱날을 제작한 뒤, 변속기 커버 아래에 장착하여 제작한 파생형이다.

사용법은 무척이나 간단한데, 지나가야 할 경로에 수목이 있으면 그냥 냅다 들이 받아 변속기 커버 아래에 장착된 톱날이 수목을 제거하도록 하면 된다. 단순무식하기 짝이 없어보이지만, 이는 엄청난 성과를 거둬, 이전에는 지나다닐 수 없던 도로도 막힘없이 뚫고 넘어다니게 되며 보카쥬나 수목때문에 우회를 돌다 매복한 독일군에게 피해를 입는 일도 사라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 개조식도 비단 M4A1 뿐만 아니라 다른 셔먼 파생형 등의 미군 차량과 크롬웰 전차와 같은 영국군 차량에 행해졌다.

2.2.14. M4A1 셔먼 도저

파일:shermanIIdozer.png
M4A1 Sherman Dozer
"M4A1 셔먼 도저"는 M4A1 계열 차량에 M1 도저블레이드를 장착하여 개조한 공병전차 파생형이다.

오버로드 작전 시기에 실전을 치렀으며, 포격으로 무너진 건물의 잔해를 치우거나, 땅의 기반을 다지는 등의 활약을 하였다.

비단 M4A1에만 이런 개조가 행해진 것이 아니고, 타 셔먼들에도 도저 개조가 행해졌다.

2.2.15. M4A1 DD

파일:shermanIIDD.jpg
M4A1 DD
"M4A1 DD"는 M4A1에 부항스크린 전개 마운트와 프로펠러를 장착하여 수륙양용으로 만든 파생형이다.

소수가 제작되어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 미 해병대 소속으로 실전을 치렀다고 한다.

비단 M4A1 뿐만 아니라 영국 측에서도 셔먼 V셔먼 III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하였다.

2.2.16. M4A1 (E6R3)

파일:E6R3sherman.jpg
M4A1 (E6R3)
"M4A1 (E6R3)"은 M4A1에 E6R3 화염방사기를 부착하여 개조한 화염방사전차 파생형이다.

2.2.17. M4A1 (E4-5)

파일:M4A1(76) attaking Siegfried line with four E4-5 flame throwers, 1944 september 11.jpg
M4A1 (E4-5)
"M4A1 (E4-5)"는 M4A1 (76)에 E4-5 화염방사기 4기를 추가한 파생형이다.

2.3. 현가장치 개수형

2.3.1. M4A1 센티피드

파일:M4A1 'Centipede'.jpg
M4A1 Centipede
"M4A1 센티피드"는 기존의 VVSS 현가장치를 T16 하프트랙의 리프 스프링 현가장치로 교체한 파생형이다.

이름의 유래는 센티피드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하프트랙의 현가장치가 보기륜이 많아 다리가 많은 지네를 연상하게 한다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테스트 결과, 기존의 VVSS 서스펜션보다 나은 점이 없다는 결론을 얻고 프로젝트가 중지되었다고 한다.

2.4. 비무장 개조 파생형

2.4.1. M32B1 TRV

파일:M32B1.jpg
M32B1
"M32B1 TRV"는 M4A1, M4A1E9를 M32 TRV 구난전차로 개조한 파생형으로, 볼드윈 기관차 제작소에서 도합 1,055량이 개조되었다.

2.4.2. M32A1B1 TRV

파일:1280px-M32_Recovery_Vehicle.jpg
M32A1B1 TRV
"M32A1B1 TRV"는 M4A1 (76) W HVSS 기반의 M32A1 TRV[3]로, 1945년 5월부터 8월까지 볼드윈 기관차 제조소에 의해 175량이 개조되었다.

2.4.3. M34 화포견인차

파일:M34 Prime Mover.webp
Prime Mover, Full Track, M34
"M34 화포견인차"는 M32B1 TRV를 베이스로 하여, 무장을 탈거하고 견인 장치를 장비한 화포 견인차량이다. 1944년 M32B1 TRV 24대가 체스터 전차 창고에서 M34 화포견인차로 개조되었다.

기존의 M32B1 TRV와 달리 구난용 크레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2.4.4. T10E1 기술지원차량

파일:T10E1.jpg
T10E1 Shop Tractor
"T10E1 기술지원차량"은 M4A1을 베이스로 하여 제작된 "운하 방어 탐조등 (Canal Defence Light)" 장착 조명차량이다. 이름의 "기술지원차량(Shop Tractor)"은 위장 명칭이다.

M3A1 중형전차 기반에 조명을 장착한 T10 기술지원차량은 차체에 75mm 포가 탑재되어 공격을 받을 시 반격이 가능했는데, T10E1은 무장이 없는 큰 약점이 있었기에 정식 채택되지 않았다.

이후 T52로 이어졌다.

3. 멕시코

3.1. 현대화 개수형

3.1.1. M32 첸카

파일:Mexican_M32.jpg
M32 Chenca
"M32 첸카"는 멕시코가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은 M32B1의 엔진을 디트로이트 디젤 8V-92-T 엔진으로 교체한 파생형이다.

4. 영국

4.1. 무장 교체 파생형

4.1.1. 셔먼 IC 하이브리드

파일:sherman IC firefly.jpg
Sherman IC Hybrid
셔먼 IC 하이브리드 기동 영상
"셔먼 IC 하이브리드"는 셔먼 I 하이브리드의 무장을 OQF 17파운더 Mk V로 교체하여 개수한 파생형이다.

셔먼 VC 문서에도 서술되어 있지만, 북아프리카에서 전훈을 얻은 영국군은 기존의 OQF 6파운더 대전차포와, 75mm M3 전차포의 화력으로는 6호 전차 티거나, 4호 전차 장포신형과의 전투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이보다 훨씬 강력한 화력을 지닌 포인 QQF 17 Pdr을 얹은 전차의 개발을 서두르게 되었다.

그러나, 이 결과물로 제작된 A30 챌린저나 A30 어벤져의 경우 성능이 너무 좋지 않았기에 소수만이 제작되고 생산이 중단되고, 새로이 제작될 자체개발 전차의 공백기를 매꾸기 위해서,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은 전차인 셔먼 I, 셔먼 I 하이브리드, 셔먼 V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한 것이 일명 셔먼 파이어플라이라고 불리는 셔먼 IC, 셔먼 IC 하이브리드, 셔먼 VC 삼총사의 탄생이었다.

실전에 투입된 셔먼 IC, 셔먼 IC 하이브리드, 셔먼 VC들은 적재적소에 투입되어 독일 전차 군단과의 전투에서 어느 정도 우위를 점할 수 있었으나, 강력한 화력에 비해 장갑은 강화되지 않아 그 역시 쉽게 격파당할 수 있었다.

특히, 독일 전차병들은 이들을 매우 경계하였으며, 전차 소대 중, 장포신을 장착한 셔먼들을 최우선으로 격파하였기에 전차병들은 수풀, 단포신 위장 무늬, 가짜 포신 등, 어떻게든 가시성을 낮추려고 시도하였다고 한다.

전후에는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등의 국가들에 공여되어 사용되었다.

5. 캐나다 자치령

5.1. 현대화 개수형

5.1.1. 그리즐리 I 순항전차

파일:Stewart_Air_Show_2017_DSC00063_(46094043724).jpg
Grizzly I Cruiser
그리즐리 I 기동 영상
"그리즐리 I 순항전차"캐나다 자치령의 몬트리올 기관차 제작소에서 면허 생산한 M4A1을 말하며, 원본과 다른 점이 여럿 존재하는데, 우선적으로 궤도를 고무가 아닌 철제 캐내디언 드라이 핀 (CDP) 궤도를 장착한 것과,[4] 전면 파이널 드라이브 구동륜을 톱니가 17개인 캐나다 자체 생산 구동륜으로 변경하였고,[5] 전면 변속기 커버를 초창기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것 등이 존재한다.

1940년에 나치 독일프랑스를 점령하게 되자, 캐나다군은 다른 영연방군처럼 기갑 부대를 창설할 필요성을 느꼈고, 그에 따라 전차를 도입하기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서 미국의 M3 리를 베이스로, 램 순항전차를 생산하기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연합군은 M4A1의 표준화를 결정하였고, 몬트리올 기관차 회사에서 M4A1을 생산하기로 결정하고, 1943년 8월부터 양산에 들어가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캐나다에서는 이미 셔먼이 충분히 배치되었다고 판단하여 생산 중지 처분을 내리며 그리즐리는 188량만이 생산되었으나, 다만 섹스턴 Mk II 로 개조작업을 펼치기도 했고, 25파운더 야포를 장착하기도 하였다.

1950년대, 그리즐리 전차와 섹스턴포르투갈로 팔려나갔는데, 그 이유가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군사 지원으로 인하여 노후장비를 퇴역하자는 목표로, 포르투갈에서는 이 전차를 1980년까지 운용하다 퇴역시켰다.

5.2. 자주포 개수형

5.2.1. 섹스턴 Mk. II

파일:external/data3.primeportal.net/sexton_03_of_15.jpg
Sexton Mk. II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섹스턴 자주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무장 교체 파생형

5.3.1. 17 pdr 그리즐리 I

파일:Grizzly17Pdr.jpg
17 pdr Grizzly I
"17 pdr 그리즐리 I"는 1945년 그리즐리 I 순항전차 160258번차에 17파운더를 얹어 셔먼 VC, 셔먼 IC, 셔먼 IC 하이브리드와 유사하게 개조한 파생형이나, 프로토타입 1대만이 생산되었다.

5.3.2. 스킹크 대공전차

파일:external/www.strijdbewijs.nl/SK2.jpg
Tank A.A. 20mm Quad. Skink. (Polsten)
"스킹크 대공전차"는 그리즐리 I에 오리콘 대공포의 소형화 버전 20mm 폴스텐 기관포 4문을 장착한 파생형이며, 단 3대만 만들어졌다. 주력 전차를 자주대공포로 개조했다는 점에서 독일의 4호 대공전차 시리즈와 일맥 상통하는 점이 있다.

재밌게도, 캐나다군 측에서는 스킹크 대공전차를 제작한 뒤, 이를 투입할 여건이 되지 않자, 스킹크 대공전차의 사진을 동봉하여 "독일이 항복하지 않는다면, 이 무기가 보병들을 쓸어버리게 될 것입니다!" 등의 문구를 집어넣은 종이를 도심 상공에서 비행기로 뿌려, 일종의 선전용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5.4. 비무장 파생형

5.4.1. 그리즐리 I APC

파일:Grizzly_APC.jpg
Grizzly I APC
그리즐리 I APC는 캐나다에서 생산된 M4A1의 라이센스형인 그리즐리 I 순항전차를 개조하여 제작한 파생형이다.

같은 시기, 캥거루 APC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는데, 소량만이 제작되었다고 한다.

6. 프랑스

6.1. 무장 교체 파생형

6.1.1. M4A1 (FL-10)

파일:224C0D47534A8AF00D.jpg
M4A1 (FL-10)
"M4A1 (FL-10)"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 AMX-13의 포탑인 FL-10 요동 포탑을 M4A1 차체 위에 올린 개량형이다.

이스라엘 및 기타 중동 국가들에게 판매할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나, 이는 거부당했고, 훗날 이집트가 여기서 착안하여 M4A4 셔먼에 FL-10 포탑을 스왑한 파생형의 제작을 요청하면서 빛을 보게 되었다.
파일:M4A1_SA50_crushed.jpg
M4A1 (FL-10) 잔해
현재 해당 파생형의 잔해는 퐁테브라우의 사격 시험장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1.2. M4A1 (CN-105-F1)

파일:M4A1E8L51.jpg
M4A1 (CN-105-F1)
"M4A1 (CN-105-F1)"은 M4A1에 CN-105-F1 전차포를 얹은 2차 대전 전후 개량형이다.

M4A4 SA50 버전에서 좀 아쉬웠던 부분인 공격력은 76mm 포 전용 포탑에 프랑스제 MBT AMX-30에 쓰인 것과 동형의 CN-105-F1 105mm[6] 전차포를 장착함으로써 해결했다.[7]

AMX-30과 같은 포를 쓰는만큼, 프랑스제 105mm 전차포용 대전차고폭탄을 발사할 수 있다. 대전차고폭탄의 특성상 관통력은 거리 상관 없이 0도 착탄각 기준 400mm를 관통할 수 있었으며, 짧아진 포신의 반동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본보다 더욱 강력한 소염기를 장착하였고, 포신과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포탑 후면에 균형추를 장착하였다. 또한 라이트 윌윈드 9기통 공랭식 엔진을 커민스제 V8 460마력 엔진으로 스왑하여 기동성을 더욱 이끌어내는 등, 그야말로 프랑스의 기술력을 총 동원한 물건이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프로토타입은 M4A1 VVSS 버전을 썼지만, 35톤에 달하는 전차 중량 때문에 양산형에서는 HVSS 버전을 쓰게 되었다.

하지만 프랑스 군부는 이미 남겨져 있는 M4A1을 개량하는 비용보다 AMX-30을 생산하는 것이 더 빠르고 이득일 것이라 생각하여 채택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후 1965년에 이스라엘이 라이센스를 구매한 후 M-51 슈퍼셔먼을 만들게 되며 빛을 보게 되었다.

7. 칠레

7.1. 무장 교체 파생형

7.1.1. M-60

파일:attachment/M4 셔먼/m60sherman.jpg
M-60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M-60에 대한 내용은 M-50 문서
6.3.1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브라질

8.1. 현대화 개수형

8.1.1. M4 컴포지트 헐 레포텐시아도

파일:shermanbrazil.png
M4 Composit Hull Repotenciado
"M4 컴포지트 헐 레포텐시아도"는 브라질에서 제작된 M4 컴포지트 헐의 현대화 개수형이다.

MWM 사에서 개발한 V12 406마력 디젤 엔진으로 구동계가 변경되었으며, 현가장치를 HVSS식으로 교체하였지만 테스트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여 시제 차량 하나만이 제작되고 개발이 중단되었다.

동명의 M4A4 / 셔먼 VC / 셔먼 IC 하이브리드의 파생형인 셔먼 레포텐시아도와는 관련이 없다.

9. 나치 독일

9.1. 비무장 개조 파생형

9.1.1. M4A1 베르게셔먼

파일:berge_sherman.jpg
M4A1 Bergesherman
"M4A1 베르게셔먼"은 이탈리아 전역 당시 제242돌격포대대가 노획한 M4A1의 포탑과 무전기를 제거하고 상부를 틀어막아 구난전차로 만든 파생형으로, 종전 이후에는 행방이 묘연해졌다.

10. 이스라엘

10.1. 현대화 개량형

10.1.1. M-1 슈퍼 셔먼

파일:M1_Super_Sherman.jpg
אם-1 סופר שרמן
"M-1 슈퍼 셔먼"은 이스라엘에서 M4A1 (76) W을 M4A1E8과 동일하게 HVSS 서스펜션으로 교체하고, 엔진을 기존의 콘티넨탈 9기통 성형엔진에서 커민스 VT-8-460 엔진으로 교체한 뒤, 차체 정면에 적외선 탐지등과 대형 서치라이트 장착 마운트, 프랑스제 연막탄 발사기를 장착한 현대화 개량형을 말한다.

수에즈 위기 이후 다수의 M-1 셔먼이 해당 개조를 받았으며, 이후 이스라엘이 마가크 전차나, 등을 들여오면서 일부 개체를 우간다나 칠레와 같은 국가에 판매하였다.

10.2. 무장 교체 파생형

10.2.1. M-50

파일:m50_turtleback.jpg
אם-5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5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2. M-51

파일:Israel Armoured Corps Museum M-51.jpg
אם-5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5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3. 칼숀

파일:Kachlilit-hatzerim-2.jpg
קלשון
"칼숀"은 M-1 슈퍼셔먼 및 M4 컴포지트 헐 차체를 베이스로 제작된 대공미사일전차 파생형으로, 이름인 "칼숀 (קלשו)"은 히브리어로 "삼지창"을 의미한다.

주무장으로 탑재된 대레이더 미사일AGM-45 슈라이크이며 중동전쟁 시기 아랍연합군의 전투기 여러대를 격추하는 등 좋은 성과를 내었다고 한다.

10.3. 비무장 개조 파생형

10.3.1. 에얄 관측 셔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yal-latrun-1.jpg
"טנק תצפיות שרמן "אייל"
"에얄 관측 셔먼"은 정찰용 헬리콥터가 주류화 되기 이전, M-1 슈퍼 셔먼의 차체를 이용하여 개발한 관측 전용 전차이다.

중동전쟁 당시 실전을 치렀는데, 무려 27m까지 크레인으로 올릴 수 있었기에 이스라엘군은 에얄 관측 셔먼를 이용하여 최장거리에서도 아랍연맹군에게 정확한 포격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10.3.2. 셔먼 ARV C형

파일:TypeCshermanARV.jpg
"טנק חילוץ שרמן דגם ג'"
"셔먼 ARV C형"은 텔하쇼머르 전차공장에서 1980년대 초에 M-1 슈퍼셔먼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된 구난전차로, 55톤을 적재 가능한 크레인과, 전후면에 장착된 윈치와 더불어, 도합 72톤을 견인 가능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

10.3.3. 셔먼 응급 수송 차량

파일:M4-Sherman-Medevac-latrun-1-1.jpg
נוי רפואי שרמןפי
"셔먼 응급 수송 차량"은 1969년 이스라엘 방위군에서 M-1 셔먼의 포탑을 제거한 뒤 차체를 개조하여 장갑구급차로 만든 파생형이다.

시범용으로 소수가 제작되어 중동전쟁 시기 실전투입 되어 많은 장병들의 목숨을 구했는데, 이후 차세대 장갑구급차들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3.4. 조종 강습용 셔먼

파일:Yad_la_Shiryon_M4A1_turretless_.jpg
טנק שרמן לימוד נהיגה
"조종 강습용 셔먼"은 1960년대 이스라엘에서 M-1 슈퍼셔먼의 포탑을 제거한 뒤, 중앙에 관측창을 낸 파생형이다.

포병 학교에서 주로 사용했으며, 제4차 중동전쟁 발발 후에는 야포 견인 차량으로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11. 중화민국

11.1. 무장 교체 파생형

11.1.1. M4A1 (75) W

파일:M4A1(75)W.jpg
M4A1 (75) W
"M4A1 (75) W"는 M4A1 (76) W에서 무장을 75mm M3 전차포로 다운그레이드한 파생형이다.

하술하겠지만, 대만은 이 시기 영국으로부터 기타 셔먼들과 함께 셔먼 IIA 6대를 받았는데, 대만은 76mm M1 대전차포가 없던데다가 탄약도 없어서 대신 75mm M3 전차포를 달아 수리를 마쳤다.[8]

1950년 6월, 타 셔먼들과 같이 M4A1 (75) W는 모두 수리를 끝내 배치를 완료하였고 같은 해 11월 8일 장제스 총통이 직접 검사하였으며, 1952년 대만의 모든 셔먼은 일선에서 은퇴하고, 치장장비로 전환하라는 명령이 하달되어 퇴역하게 되었으나, 한 량의 M4A1(75) W만이 살아남아 현재 후커우 기갑학교의 타이충 공원에 공개 전시되고 있다.

개조를 끝마쳤지만 원본보다 성능이 떨어졌는데, 이는 후기형 포탑에 전기형 포를 얹어서 포와 포방패 사이에 유격이 발생했고, 이미 무장이 없는 차량이라서 주포안정기가 유실되어 있었으며, 이렇게 개조를 끝냈지만 당시 중공군의 주력 전차 T-34-85에게 성능상으로 크게 밀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사실 76mm 포 보다 75mm 포가 대보병, 대물 파괴용으로 더 적합했고, 대만은 섬을 방어하려는 목적으로만 이 차량들을 개조한 것이었기에, 대전차 화력을 중요시 한 것은 아니었다. 가장 큰 문제는 다름이 아니라 바로 이 개조된 M4A1이 단 6대 남짓이라는 점이었다.

중공군이 타이완 섬 본령에 상륙작전을 개시한다면 수많은 선박과 상륙정, 수륙 양용 전차 등이 몰려들텐데, 고작 이 6대로 막기에는 턱없이 부족할 따름이었다. 이로 인하여 제식화된지 불과 1년 6개월 남짓에 빠르게 퇴역하였다.

현재는 마지막 남은 한 량이 행사용으로 운용 중에 있다.

12. 인도

12.1. 무장 교체 파생형

12.1.1. M4A1E9 (SA50)

파일:E_80HhpUYAw0_D2.jpg
M4A1E9 (SA50)
"M4A1E9 (SA50)"는 인도 육군 측에서 소수의 M4A1E9를 AMX-13의 포인 SA50 전차포로 교체하여 제작한 파생형으로, 이 중 한 대가 현재 암리차르 군사 박물관에 보존되어있다.

13. 시리아

13.1. 비무장 개조 파생형

13.1.1. 셔먼 II APC

파일:syriaM4A1berge.jpg
بانزر II شيرمان
"셔먼 II APC"는 시리아 내에서 자체적으로 개조한 APC 파생형으로, 상술한 베르게셔먼과는 다른 차량이며, 사진이 단 한장밖에 존재하질 않아 자세한 정보는 불명이다.

스티븐 잘로가가 작성한 저서인 "낯선 땅의 이방인: 초창기 시리아 기갑병기 1948-56"에서 중동전쟁 당시 시리아군도 독일군과 비슷하게 장갑차로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에 대해 저자인 스티븐 잘로가는 이 차량의 출처에 대하여 "아마도 영국군이 시리아에 주둔할 당시에, 남겨두고 간 M4A1 셔먼 51량 중 일부 차량들을 개조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추측하였다.

14. 아르헨티나

14.1. 현대화 개수형

14.1.1.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

파일:paraguainan_sherman_repotenciado.jpg
Sherman Hybrid Repotenciado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는 아르헨티나에서 개수된 셔먼 I 하이브리드의 파생형이다.

1978년, 주변 국가들과의 영토 분쟁과, 전력 증강을 지켜본 아르헨티나 군부에서는 150량의 셔먼 V와, 200량의 셔먼 VC와 함께 공여받은 4량의 셔먼 IC 하이브리드를 기반으로 하여 이를 제작하게 되는데, 주요 개수 사항은 무장으로, 기존의 셔먼과 달리 105mm M57 전차포를 얹어 강대한 화력을 얻게 되었다.

14.2. 장비 추가 파생형

14.2.1.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 (RKM)

파일:Mine_Clearing_sherman_repotenciado.jpg
Sherman Hybrid Repotenciado (RKM)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 (RKM)"는 셔먼 하이브리드 레포텐시아도에 우르단 社에서 제작한 RKM 지뢰제거장치를 부착하여 만든 파생형으로, 1979년 취역 이후 대체차량이 없었기에 2023년 현재까지 아르헨티나 육군 내에서 사용되고 있다.

15. 뉴질랜드

15.1. 비무장 파생형

15.1.1. 셔먼 II 파사인 캐리어

파일:NZ_Sherman_II_Fascine_carrier.jpg
Sherman II Fascine carrier
"셔먼 II 파사인 캐리어"는 뉴질랜드에서 셔먼 II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된 퍼니전차의 일종으로, 전차가 이동하기 애로사항이 생기는 지형에 나무를 엮어 만든 깔개 (파사인)을 깔아주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1] 포탑이 뒤로 돌아가있는 상태이다.[2] 또는 M17[3] HVSS 현가장치를 장착한 M32 TRV[4] 당시 태평양 전쟁 발발로 인한 고무 부족 사태에 의하여 이를 아끼려 한 흔적이다.[5] 원본 M4A1을 필두로 한 셔먼 시리즈의 구동륜 톱니는 총 14개이다.[6] 105 mm Modèle F1이라고도 함.[7] 단, 완전히 같은 포를 올린 것은 아니고 56구경장의 105mm를 올리기에는 너무 포신 길이가 길었으므로 51구경장으로 소폭 줄인 주포를 탑재했다.[8] 76mm 차량이 들어온 것은 그로부터 3년 후인 1952년 M18 헬캣이 직접적으로 공여되고 나서부터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