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와 경상남도 창원시를 잇는 시외버스 노선. 대한여객, 전북여객 에서 운행한다.2. 노선 정보
시외버스 전주-마산(진주직통) | ||||||
기점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전주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마산시외버스터미널) | |||
마산행 (하행) | 첫차 | 11:20 | 전주행 (상행) | 첫차 | 07:14 | |
막차 | 19:00 | 막차 | 17:42 | |||
배차간격 | 1일 6회 | |||||
운수사명 | 대한여객, 전북여객 | |||||
상세 노선 | 전주시외버스터미널 - 인후동 - 소양IC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 장수JC - 대전통영고속도로 - 서진주IC - 진주시외버스터미널 -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 - 개양오거리 - 진주IC - 남해고속도로 - 산인JC - 남해고속도로1지선 - 동마산IC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시외버스 전주-마산(직행) | ||||||
기점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전주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마산시외버스터미널) | |||
마산행 (하행) | 첫차 | 14:42 | 전주행 (상행) | 첫차 | 08:37 | |
막차 | 14:42 | 막차 | 08:37 | |||
배차간격 | 1일 1회 | |||||
운수사명 | 전북여객 | |||||
상세 노선 | 전주시외버스터미널 - 남노송동 - 17번 국도 - (→ 남원북부정류장→/임실시외버스터미널 ← 17번 국도 ← 오수공용정류장 ← 17번 국도 ← 남원북부정류장 ←) - 문화터미널남원 - 24번 국도 - 인월지리산공용버스터미널 - 24번 국도 - 함양시외버스터미널 - 수동정류소 - 생초시외버스터미널 - 산청버스터미널 - 3번 국도 - 원지버스정류소 - 3번 국도 - 진주시외버스터미널 -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 - 개양오거리 - 진주IC - 남해고속도로 - 산인JC - 남해고속도로1지선 - 동마산IC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3. 특징
- 전북 최대도시와 경남 최대도시를 잇는 노선이다.
- 직행 노선의 경우 직통 노선보다 훨씬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전주에서는 원지[1]까지, 마산에서는 전 구간 발권된다.
- 전주-마산 직행 노선의 경우 오수, 임실은 전주 방향으로만 운행하고 마산 방향은 전주-남원 무정차로 운행한다.[2]
- 17:42 이후에 마산에서 전주로 가려면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환승해야 한다.
4. 운임표
(직통 기준)일반 | 우등 | |
성인 | 17,300원 | 22,500원 |
중고생 | 13,800원 | 18,000원 |
아동 | 8,700원 | 11,300원 |
5. 연계 철도역
- 일반 철도역: 마산역(KTX, SRT, ITX-새마을, 남도해양관광열차, 무궁화호)
6.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전주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전주(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47216><colcolor=#fff> 수도권 | ↔서울호남 | ↔동서울 | ↔성남 |
↔인천 | ↔고양 | ↔오산(전환시외) | ||
충청 | ↔대전복합(전환시외) | |||
호남 | ↔광주 | |||
영남 | ↔부산 | ↔동대구 | ↔울산 |
- [ 전주(시외)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47216><colcolor=#fff><width=5000px><|2> 수도권 ||<width=22.5%> ↔서울남부 ||<width=22.5%> ↔평택 ||<width=22.5%> ↔용인,기흥 ||<width=22.5%> ↔수원,서수원 ||
↔인천공항 강원 ↔강릉 ↔속초,원통,인제,홍천,횡성,원주 충청 ↔유성,충주 ↔유성,청주 ↔금산 ↔서대전,논산 영남 ↔구미 ↔대구서부 ↔김해,양산 ↔거창(완행) ↔함양,산청,진주 ↔함양,산청,진주 ↔부산서부 ↔마산 전북 ↔진안(완행) ↔남원 ↔군산 ↔임실 ↔한일장신대 ↔인월,뱀사골,달궁 ↔정읍 ↔태인 ↔신태인 ↔고창 ↔구시포,동호 전남 ↔곡성 ↔구례,화엄사 ↔광양,중마 ↔순천,여수 ↔광주(시외) ↔법성포 ↔영광,함평,무안,목포 폐지 ↔해운대
- [ 전주대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color=#fff><width=5000px> ↔서울남부 ||
문서가 존재하는 남원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30%; min-height:2em" {{{#!folding [ 남원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e95d97><colcolor=#fff> 수도권 | ↔ 서울호남 | | |
| ||||
호남 | ↔ 광주 | ↔ 순창, 담양 | ↔ 전주 | |
↔ 임실, 오수 | ↔ 구례, 화엄사 | ↔ 광양, 동광양 | ||
↔ 순천, 여수 | ||||
충청 | ↔ 대전복합 | |||
영남 | ↔ 부산서부 | ↔ 대구서부 | }}}}}}}}}}}} |
문서가 존재하는 함양군 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함양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363a90><colcolor=#fff> 수도권 | ↔동서울 백무동발 노고단발 | ↔서울남부 거창 경유 서상 경유 | ↔수원,안산,인천 |
부산/경남 | ↔부산서부 | ↔진주 | ↔마산 | |
대경 | ↔대구서부 거창발 전주발 | |||
충청 | ↔대전복합 | |||
호남 | ↔남원,전주 | ↔남원,광주 | ↔장계 | }}}}}}}}} }}} |
문서가 존재하는 창원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창원종합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35e19><colcolor=#fff> 고속버스 전환시외 | ↔ 서울경부 | ↔ 동서울 | ↔ 성남 | ||||
↔ 용인 | ↔ 광주 | ↔ 나주 | ||||||
| ||||||||
시외버스 | ||||||||
부울경 | ↔ 부산(서부) | ↔ 해운대 | ↔ 부산(동부) | |||||
↔ 울산 | ↔ 거제(고현) | ↔ 진주 | ||||||
↔ 곤양, 진교, 남해 | ↔ 양산,언양 | ↔삼천포 | ||||||
↔ 의령,합천 | ||||||||
수도권 | ↔ 인천,부천 | ↔ 안산,수원,오산 | ↔ 인천공항 | |||||
대경 | ↔ 대구서부 | ↔ 경주,포항 | ↔ 안동 | |||||
↔ 구미 | ||||||||
충청 | ↔ 대전복합 | ↔ 청주 | ↔ 충주 | |||||
강원 | ↔ 원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남산동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영남 | ↔ 부산(서부) | ↔ 동래, 해운대 | ↔ 해운대(직통) | ||
↔ 부산(동부) | ↔ 울산 | ↔ 거제(고현) | ||||||
↔ 양산, 언양 | ↔ 경주, 포항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마산시외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수도권 | ↔ 인천,부천 | ↔ 안산,수원,오산 | ↔ 인천공항 | ||
부울경 | ↔ 부산(서부) | ↔ 동래,부산(노포) | ↔ 울산 | |||||
↔ 양산 | ↔ 진주 | ↔ 군북 | ||||||
↔ 의령,합천 | ↔ 곤양, 진교, 남해 | ↔ 밀양 | ||||||
↔삼천포 | ||||||||
대경 | ↔ 대구서부 | ↔ 포항 | ↔ 안동 | |||||
↔ 구미 | ||||||||
충청 | ↔ 대전복합 | ↔ 청주 | ↔ 충주 | |||||
강원 | ↔ 동해,강릉 | ↔ 원주 | ||||||
호남 | ↔ 전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마산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고속버스 | ↔서울경부 | ↔동서울 (마산발)(진해발) | ↔성남 (진해발)(창원발) | ||
↔용인 | | |||||||
전환시외 | ↔동대구 | ↔나주 | ↔광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내서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고속버스 | ↔서울경부 | ↔동서울 | |
전환시외 | 동대구 ↔ 진해 | ↔나주 | ↔광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마산남부 ] {{{#!wiki style="margin: -5px 0;"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부울경 | ↔ 부산 | ↔ 부산서부 | ↔ 해운대 |
↔ 고성,통영 | ↔ 진주(완행) | ↔ 장승포(직행) | ||||||
수도권 | ↔ 서울남부 | |||||||
대경 | ↔ 대구서부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진해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수도권 | ↔ 동서울 | ↔ 성남 | ↔ 서울남부 | ||
부울경 | ↔ 부산서부(완행) | ↔ 부산(동부) | ↔ 울산 | |||||
↔ 마산고속, 내서 | ||||||||
대경 | ↔ 서대구, 동대구 | |||||||
호남 | ↔ 광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color: #f35e19" {{{#!folding [ 용원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f35e19><colcolor=#fff> 수도권 | ↔ 서울남부 | ||||
부산/경남 | ↔ 부산서부 | ↔ 김해 | }}}}}}}}} |
[1] 국도운임으로 인해 직통보다 요금이 비싸다.[2] 특이하게도 직행은 남원부터 함양까지 24번국도를 쭉 타고 가는데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은 경유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