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colcolor=#fff> | ||
| <colbgcolor=#011171> 브레이커스 | ||
| BREAKERS | ||
| 창단 | 2025년 9월 22일([age(2025-09-22)]주년) | |
| 홈구장 | 목동 야구장 | |
| 연고지 | 서울특별시 | |
| 구단주 | 홍정도(JTBC 부회장) | |
| 사장 | 제찬웅(JTBC 사장)[1] | |
| 단장 | 성치경(JTBC PD)[2] | |
| 선 수 단 | <colbgcolor=#ee4820><colcolor=#fff> 감독 | 7 이종범 |
| 코치 | 1 장성호, 67 심수창[P], 77 김형진 | |
| 주장 | 52 김태균 | |
| 선수 | ||
1. 개요
JTBC의 야구 예능 프로그램 최강야구의 2번째 주연 구단.최강 몬스터즈를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팀명을 리브랜딩하고 팀 운영 컨셉도 완전히 바꾸며 역사를 단절하고[7] 일종의 '2기' 개념으로 발족했다.[8]
최강 몬스터즈와 달리 팀명 앞에 '최강'이 붙지 않는데, 공식 보도 자료에서도 '최강 브레이커스'라는 명칭은 단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2025 시즌의 목표가 아마추어 야구 최강 3팀과의 토너먼트 컵 대회에서 우승하여 '최강'이라는 칭호를 획득하는 것이기 때문.
2. 캐치프레이즈
| BREAK IT AGAIN |
| 한계를 부수는 자들 |
3. 마스코트
4. 선수단
| 2025 시즌 인물관계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기본적으로 현역 시절 상징적인 등번호를 달고 있다. 그러나 상징 번호가 겹칠 경우 1군에서 사용했던 다른 번호를 사용하기도 하고, 그마저도 안 될 때는 후배가 선배에게 양보하여 최강 몬스터즈 시절의 전통을 이어갔다.[9]
- 오주원의 경우 몬스터즈 시절에는 15번을 달았으나, 브레이커스에서는 11번을 선택해 15번이 오현택에게 돌아갔다.
- 나지완의 경우 몬스터즈 임대 선수였을 때 99번을 직접 선택했지만, 브레이커스에서는 현역 시절 상징 번호인 29번을 달았다.
- 김우성의 경우 원래 30번을 달았으나, 임대 선수로 들어오면서 허도환과 번호가 겹쳐 22번을 직접 선택했다.
- 임민수의 경우 원래 23번을 달았으나, 임대 선수로 들어오면서 조용호와 번호가 겹쳐 31번을 직접 선택했다.
- '최강' 칭호를 얻기 위한 2025 시즌은 토너먼트 컵 시스템으로 운영하는데, 모자란 경기 수와 선수진 보강은 아마추어 선수진 영입을 위한 특별 경기를 3번 치르는 것으로 보충한다. 이를 아마추어 선수영입전으로 지칭하며, 브레이커스의 2025년 첫 경기가 선수영입전으로 진행된다. 선수영입전에서 승리하면 상대했던 팀에서 선수 1명을 지목해 해당 시즌 동안 임대 선수로 받아오며, 패배하면 상대했던 팀의 요청을 하나 들어준다.[10] 선수영입전에서 브레이커스가 3전 전승을 기록하면서, 토너먼트 컵 대회에서 임대선수 자리를 온전히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4.1. 감독·코칭스태프
| | | | |
| 이종범 | 장성호 | 심수창 | 김형진 |
| 감독·코칭스태프 | |||||
| <rowcolor=#FFF> 직책 | 이름 | 등번호 | 투타 | 생년월일, 신장, 체중 | 비고 |
| 감독 | 이종범 | 7 | 우투우타 | 1970년 8월 15일 175cm, 73kg | [[KBO MVP| MVP ]] 1회 | [[KBO 골든글러브|GG ]] 6회 | 1993 한국시리즈 MVP | 1997 한국시리즈 MVP |
| 수석코치 | 장성호 | 1 | 좌투좌타 | 1977년 10월 18일 183cm, 93kg | |
| 투수코치[P] | 심수창[M] | 67 | 우투우타 | 1981년 7월 9일 185cm, 80kg | |
| 트레이닝 코치 | 김형진 | 77 | |||
4.2. 투수
| | | |
| 윤길현 | 이현승 | 권혁 |
| | | |
| 오주원 | 윤희상 | 오현택 |
| | | |
| 윤석민 | 문성현 | 임민수 |
| 투수 | |||||
| <rowcolor=#FFF> 포지션 | 이름 | 등번호 | 투타 | 생년월일, 신장, 체중 | 비고 |
| 투수 | 윤길현 | 51 | 우투우타 | 1983년 9월 23일 183cm, 85kg | |
| 투수 | 이현승 | 48 | 좌투좌타 | 1983년 10월 11일 179cm, 87kg | |
| 투수 | 권혁 | 47 | 좌투좌타 | 1983년 11월 6일 192cm, 100kg | |
| 투수 | 오주원[M] | 11[14] | 좌투좌타 | 1985년 3월 31일 186cm, 95kg | [[KBO 신인왕| 신인왕 ]] |
| 투수 | 윤희상 | 66 | 우투우타 | 1985년 5월 17일 193cm, 96kg | |
| 투수 | 오현택 | 15 | 우사우타 | 1985년 7월 17일 180cm, 73kg | |
| 투수 | 윤석민 | 21 | 우투우타 | 1986년 7월 24일 185cm, 85kg | |
| 투수 | 문성현[15] | 17 | 우투우타 | 1991년 11월 9일 180cm, 89kg | |
| 투수 | 임민수[임대] | 31 | 우투?타 | 1997년 6월 17일 180cm, 93kg | |
4.3. 포수
| | |
| 허도환 | 김우성 |
| 포수 | |||||
| <rowcolor=#FFF> 포지션 | 이름 | 등번호 | 투타 | 생년월일, 신장, 체중 | 비고 |
| 포수 | 허도환 | 30 | 우투우타 | 1984년 7월 31일 176cm, 90kg | |
| 포수 | 김우성[임대] | 22[18] | 우투우타 | 2006년 3월 21일 182cm, 85kg |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포수 |
4.4. 내야수
| | | | |
| 김태균 | 나주환 | 윤석민 | 이학주 |
| | |||
| 강민국 | 정민준 | 이중권 |
| 내야수 | |||||
| <rowcolor=#FFF> 포지션 | 이름 | 등번호 | 투타 | 생년월일, 신장, 체중 | 비고 |
| 1루수 [[주장| C ]] | 김태균 | 52 | 우투우타 | 1982년 5월 29일 185cm, 122kg | [[KBO 골든글러브| GG ]] 3회 | |
| 유틸리티[19] | 나주환 | 3 | 우투우타 | 1984년 6월 14일 180cm, 84kg | |
| 3루수 1루수 | 윤석민 | 13 | 우투우타 | 1985년 9월 4일 180cm, 88kg | |
| 유격수 | 이학주 | 16 | 우투좌타 | 1990년 11월 4일 187cm, 87kg | |
| 유틸리티 | 강민국 | 6 | 우투우타 | 1992년 1월 10일 178cm, 78kg | |
| 3루수 | 정민준[임대] | 5 | 우투우타 | 2004년 4월 14일 180cm, 82kg | 건국대학교 야구부 내야수 |
| 2루수 | 이중권[임대] | 4 | 우투좌타 | 2003년 3월 3일 175cm, 65kg | 건국대학교 야구부 내야수 |
4.5. 외야수
| | | |
| 이대형 | 나지완 | 최진행 |
| | | |
| 조용호 | 노수광 |
| 외야수 | |||||
| <rowcolor=#FFF> 포지션 | 이름 | 등번호 | 투타 | 생년월일, 신장, 체중 | 비고 |
| 중견수[22] | 이대형 | 53 | 좌투좌타 | 1983년 7월 19일 187cm, 78kg | [[KBO 골든글러브|{{{#!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1px; border-radius: 4px; margin-right: 1px; background: #ffB700; font-size: 0.7em" GG}}}]] 1회 |
| 좌익수 지명타자[23] | 나지완 | 29[24] | 우투우타 | 1985년 5월 19일 182cm, 105kg | 2009년 한국시리즈 MVP |
| 좌익수 | 최진행 | 25 | 우투우타 | 1985년 8월 17일 188cm, 100kg | |
| 외야수 | 조용호 | 23 | 우투좌타 | 1989년 9월 9일 170cm, 75kg | |
| 외야수 | 노수광 | 57 | 우투좌타 | 1990년 8월 6일 180cm, 80kg | |
4.6. 중계·해설진
| | |
| 정민철 | 한명재 |
| 중계·해설진 | |||||
| <rowcolor=#FFF> 포지션 | 이름 | 등번호 | 투타 | 생년월일, 신장, 체중 | 비고 |
| 해설 | 정민철 | -[25] | 우투좌타 | 1972년 3월 28일 187cm, 95kg | |
| 캐스터 | 한명재 | - | - | 1972년 1월 12일 172cm | - |
5. 선수단 배번
5.1. 2025 시즌
| 브레이커스 2025 시즌 배번 | |||||||||
| <keepall>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코칭 스태프 | |||||||||
| <rowcolor=#fff,#fff> 번호 | 선수명 | 번호 | 선수명 | 번호 | 선수명 | 번호 | 선수명 | 번호 | 선수명 |
| <colbgcolor=#011171><colcolor=#fff> 1 | 장성호 | <colbgcolor=#011171><colcolor=#fff> 21 | 윤석민 | <colbgcolor=#011171><colcolor=#fff> 41 | - | <colbgcolor=#011171><colcolor=#fff> 61 | - | <colbgcolor=#011171><colcolor=#fff> 81 | - |
| 2 | - | 22 | 김우성 | 42 | - | 62 | - | 82 | - |
| 3 | 나주환 | 23 | 조용호 | 43 | - | 63 | - | 83 | - |
| 4 | 이중권 | 24 | - | 44 | - | 64 | - | 84 | - |
| 5 | 정민준 | 25 | 최진행 | 45 | - | 65 | - | 85 | - |
| 6 | 강민국 | 26 | - | 46 | - | 66 | 윤희상 | 86 | - |
| 7 | 이종범 | 27 | - | 47 | 권혁 | 67 | 심수창 | 87 | - |
| 8 | - | 28 | - | 48 | 이현승 | 68 | - | 88 | - |
| 9 | - | 29 | 나지완 | 49 | - | 69 | - | 89 | - |
| 10 | - | 30 | 허도환 | 50 | - | 70 | - | 90 | - |
| 11 | 오주원 | 31 | 임민수 | 51 | 윤길현 | 71 | - | 91 | - |
| 12 | - | 32 | - | 52 | 김태균 | 72 | - | 92 | - |
| 13 | 윤석민 | 33 | - | 53 | 이대형 | 73 | - | 93 | - |
| 14 | - | 34 | - | 54 | - | 74 | - | 94 | - |
| 15 | 오현택 | 35 | - | 55 | - | 75 | - | 95 | - |
| 16 | 이학주 | 36 | - | 56 | - | 76 | - | 96 | - |
| 17 | 문성현 | 37 | - | 57 | 노수광 | 77 | 김형진 | 97 | - |
| 18 | - | 38 | - | 58 | - | 78 | - | 98 | - |
| 19 | - | 39 | - | 59 | - | 79 | - | 99 | - |
| 20 | - | 40 | - | 60 | - | 80 | - | 0 | - |
6. 유니폼
7. 응원
8. 기록
8.1. MVP
몬스터즈와는 다르게 별 패치 등의 상품을 주지는 않고, 경기 후 클로징에 단독 초청되어 소감을 말하는 정도로 끝낸다.| <rowcolor=#fff,#000> ⭐️ 개수 | MVP 수상자 |
| 1개 | 강민국, 윤길현, 윤석민, 이학주 |
8.1.1. 2025 시즌
||<rowbgcolor=#011171><rowcolor=#FFF><tablealign=center><width=25%><tablebgcolor=#fff,#1f2024> 경기 ||<width=25%> MVP 선수 ||<width=25%> 횟수 ||<width=25%> 비고 ||
| 동원과기대 | 강민국 | ⭐️ | 브레이커스 첫 번째 MVP |
| 성남 맥파이스 | 윤석민 | ⭐️ | |
| 건국대학교 | 이학주 | ⭐️ | |
| 한양대학교 | 윤길현 | ⭐️ |
8.2. 선수별 기록
8.2.1. 2025 시즌
8.3. 구단 1호 기록
8.3.1. 구단 기록
| 구단 기록 | ||
| <rowcolor=#FFF> 기록명 | 대상 팀 혹은 인원 | 비고 |
| 1호 공식 경기 및 1호 선수영입전 팀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브레이커스 공식 첫 경기 |
| 1호 공식 시즌 경기 팀 | 2025년 한양대학교 | 2025년 컵 토너먼트 첫 경기 |
| 1호 시구 | 김응용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시구자에게 브레이커스 유니폼 및 배번(70) 지급 |
| 1호 연장 경기 | ||
| 1호 승리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승리 투수 윤희상, 최종 스코어 8:10 |
| 1호 무실점 승리 | 2025년 성남 맥파이스 | 최종 스코어 0:3 |
| 1호 콜드게임 승리 | 2025년 건국대학교 | 최종 스코어 5:15, 6회말부터 편집되어 경기 결과만 공개[26] |
| 1호 끝내기 승리 | ||
| 1호 패배 | ||
| 1호 끝내기 패배 | ||
| 1호 완투패 | ||
| 1호 콜드게임 패배 | ||
| 1호 임대선수 | 김우성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선수영입전 승리 보상 |
| 1호 우천 취소 | ||
| 1호 벤치 클리어링 | ||
| 1호 퇴장[27] | ||
8.3.2. 투수 기록
| 투수 기록 | |||
| <rowcolor=#FFF> 기록명 | 대상 인원 | 대상 경기 | 비고 |
| 1호 선발 투수 | 오주원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
| 1호 승리 투수 | 윤희상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
| 1호 선발승 | |||
| 1호 퀄리티 스타트 | |||
| 1호 완투승 | |||
| 1호 완봉승 | |||
| 1호 홀드 | 윤석민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
| 1호 세이브 | |||
| 1호 견제사 | |||
| 1호 탈삼진 | 오주원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1회초 2사 1루 김우성 타석에서 5구 헛스윙 삼진 |
| 1호 교체 투수 | 윤석민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4회초 선발 투수 오주원과 교체 |
| 1호 패전 투수 | |||
| 1호 완투패 | |||
| 1호 폭투 | 이현승 | 2025년 성남 맥파이스 | 2회초 2사 1-2루 윤상혁 타석에서 폭투 |
| 1호 피안타 | 오주원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1회초 2사 무주자 박준형 타석에서 3유간 안타 |
| 1호 피홈런 | 오주원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4회초 무사 1루 박민구 타석에서 2점 |
| 1호 피볼넷 | 권혁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7회초 선두타자 스트레이트 볼넷, 피볼넷 직후 투수 교체 |
| 1호 헤드샷 | |||
8.3.3. 타자 기록
| 타자 기록 | |||
| <rowcolor=#FFF> 기록명 | 대상 인원 | 대상 경기 | 비고 |
| 1호 출루 | 이대형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1회말 1사 무주자, 투수 수비 실책, 상대 투수 어윤성 |
| 1호 도루 | |||
| 1호 더블 스틸 | |||
| 1호 볼넷 | 윤석민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2회말 선두타자 스트레이트 볼넷, 상대 투수 어윤성 |
| 1호 대타 및 고의사구 | 김태균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5회말 2사 2루 나지완의 대타로 교체, 상대 투수 고준혁 |
| 1호 몸에 맞는 공 | 최진행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1회말 1사 1루, 상대 투수 어윤성 |
| 1호 머리에 맞는 공 | |||
| 1호 안타 및 2루타 | 나주환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2회말 무사 1루, 좌측 파울라인쪽 장타, 상대 투수 어윤성 |
| 1호 3루타 | |||
| 1호 홈런 | 강민국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8회말 1-2루, 좌측 3점, 상대 투수 배시준 |
| 1호 그랜드슬램 | |||
| 1호 타점 | 허도환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2회말 무사 만루 내야 땅볼, 상대 투수 어윤성 |
| 1호 끝내기 | |||
| 1호 끝내기 안타 | |||
| 1호 끝내기 홈런 | |||
| 1호 삼진 | 조용호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1회말 선두타자, 3구 루킹 삼진, 상대 투수 어윤성 |
| 1호 병살타 | 나지완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1회말 1사 1-2루, 2루수-유격수-1루수, 상대 투수 어윤성 |
| 1호 실책 | 윤석민 | 2025년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6회초 1사 무주자, 1루 포구 미스로 타자 주자 1루 진루 |
| 1호 대주자 | |||
| 1호 보살 | |||
| 1호 득점 취소 | |||
8.3.4. 선수별 기록
- 강민국: 1호 홈런
- 권혁: 1호 피볼넷
- 김우성: 1호 임대선수
- 김태균: 1호 대타 및 고의사구
- 나주환: 1호 안타 및 2루타
- 나지완: 1호 병살타
- 오주원: 1호 선발 투수, 1호 탈삼진, 1호 피안타, 1호 피홈런
- 윤석민(투수): 1호 교체 투수, 1호 홀드
- 윤석민(타자): 1호 볼넷, 1호 실책
- 윤희상: 1호 승리 투수
- 이대형: 1호 출루
- 이현승: 1호 폭투
- 조용호: 1호 삼진
- 최진행: 1호 몸에 맞는 공
- 허도환: 1호 타점
9. 여담
- 최강 몬스터즈와의 완전한 단절을 선언한만큼 몬스터즈와는 구단 운영을 비롯한 모든 것이 다르다. 은퇴한 야구 선수들이 주축이 되어 특정한 승률 목표 없이 특별한 체제로 진행하는 야구 예능이라는 점에서 빽 투 더 그라운드를 계승했다 볼 수 있다. 덧붙여 브레이커스의 선수진을 발표하면서 빽 투 더 그라운드가 공식적으로 종영되었음이 확정[28]되었고, 동시에 크보졸업생 리터너즈의 공식 활동 종료도 확정되었다.
- 안타 세리머니로 가슴팍의 로고를 가리키고 막대기를 부러트리는 듯한 제스처를 한다. 팀명의 단수형인 break의 뜻을 살려 '한계를 부순다'는 의미를 부여한 제스처. 오프닝에서는 아예 이 세리머니에 배트를 부러트린 CG를 넣기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공식적으로 리브랜딩을 천명하고 선수진과 스태프 명단까지 새로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몬스터즈 시절 데이터인 김성근 감독과 장시원 단장 체제의 명단이 9월 14일까지 그대로 유지되어 있었던지라 기본적인 데이터 관리도 제대로 못 하면서 스포츠 예능을 어떻게 하냐며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었다.[29] 결국 9월 15일에 119회(2025시즌 1회) 예고편을 올리며 공식 홈페이지에서 팀 소개 페이지를 아예 삭제했다가, 18일에 포맷을 새로 만들어 올리며 데이터 갱신을 확정지었다. 다만 프로그램 회차가 진행되면서 임대 선수가 추가로 들어오는 구조인데 이 부분이 제대로 갱신되지 않아, 여전히 데이터 관리 면에서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야구 예능인데도 경기 기록지가 전혀 공개되지 않아서, 이런 부분에서도 천하무적 야구단보다 못한 관리 상태라며 성토하는 목소리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 119회에서 브레이커스 선수들을 인터뷰할 때 자료화면이 많이 나왔는데, 나지완의 2009년 한국시리즈 끝내기 홈런 장면의 해설이 하필 문제의 기아우승 버전이어서 좋지 못한 평가를 듣기도 했다. 차라리 브레이커스 해설진으로 합류한 한명재 캐스터의 우승콜을 가져왔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말도 나왔는데, 이 의견을 반영했는지 나지완이 첫 타석에 들어설 때는 한명재 버전을 썼다.
- 선수영입전 마지막 경기인 건국대학교 경기를 두고 기존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던 사람들조차도 온갖 쓴소리를 아끼지 않고 있다. 해당 경기는 양팀 총합 20득점이 나온 격렬한 난타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6회말부터 7회말까지 13득점을 통편집하는 말도 안 되는 방영 분량을 보여줬기 때문. 7회 콜드게임이라는 필요최소한의 정보만 알려줄 뿐이고 어떻게 그런 결과가 나온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았는데, 치열한 타격전이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6회초까지 브레이커스의 일방적인 리드 상황만을 잘라서 보여준 것이라 당연히 여론이 좋을 수가 없는 상황이다.[30] 이와 관련해서 2이닝 동안의 13득점이 말도 안 되는 졸전이었다는 분석과 신생 최강야구 출범식 당시 JTBC에서 내건 공약이었던 '무조건 1경기 1화 분량으로 편집'을 지키기 위해 통편집을 했다는 분석이 유력설로 나왔으나, JTBC 측에서는 끝까지 침묵을 지키고 있다.[31] 그 여파로 건국대전 시청률은 스포츠 예능 마지노선이라는 0.9%마저 채우지 못한 0.8%로 최종 집계되었다.
- 첫 직관 경기 관련해서는 더욱 말도 안 되는 일이 일어나 야구팬들 사이에서의 인식이 더욱 나빠졌다. 직관 경기가 10월 26일 오후 2시에 고척에서 열렸는데, 이 날은 2025 신한 SOL Bank KBO 한국시리즈 1차전에 더해 독립리그 연합 대표팀 1군과 삼성 라이온즈 사이의 교육리그 경기[32]가 있는 날이어서, 정말로 한국야구 발전을 위하겠다는 프로그램이 맞는지조차 모르겠다며 야구팬 사이에서 진정성을 본격적으로 의심받는 계기가 되었다. 거기다가 사흘 전까지 고작 800여장 정도밖에 직관 티켓이 팔리지 않고 그 중에 일부 암표들이 2만원에 풀리는 사태가 벌어졌는데, 갑자기 매진되었다는 기사가 나며 시타자로 이정후가 확정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서 야구팬들 사이에서 어떻게 된 일이냐며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했는데, 갑자기 각종 SNS에 '공짜표를 대량으로 입수해 나눔하는 인증글'들이 다수 올라왔다 삭제되는 해프닝이 일어났다. 관련 글들이 전부 삭제되는 바람에 진위 여부를 가릴 수 있는 가능성은 사라졌으나, 브레이커스 경기 동영상에 여러 댓글들이 남아 당시 상황이 얼마나 막장이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흔적은 확실하게 남아 있다.
[1] 경영, 콘텐츠 담당.[2] 뭉쳐야 찬다 4의 CP. 2025시즌부터 최강야구 CP 담당. 최강 몬스터즈의 장시원과 달리 프로그램에 등장은커녕 언급조차 되지 않으며, 때문에 성치경이 단장 보직에 있는 지도 확실하지 않다.[P] 플레잉코치[4]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포수[5] 성남 맥파이스 투수[6] 건국대학교 야구부 내야수[7] 팀 창단과 함께 공식 단절을 선언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심수창의 선수 티저 영상에서 몬스터즈 모자를 벗고 브레이커스 모자를 쓰는 동안 유니폼을 완전히 교체하는 캐비넷 연출을 보여 주며, 브레이커스의 창단 목적 자체가 몬스터즈라는 팀을 말소하기 위한 것임을 확인사살했다.[8] 다만, 방영 회차는 앞선 최강 몬스터즈 시절 마지막 회(118회)부터 이어진다.[9] 정확히는 비단 최강야구 뿐만 아니라 어지간한 스포츠계에서는 모두 전통적이다.[10] 첫 선수영입전 상대인 동원과기대 야구부와의 경기에서 브레이커스 측은 2025 시즌 동원과기대 클린업 트리오 일원이자 포수인 김우성을 목표로 삼았고, 동원과기대 측은 브레이커스의 1일 밀착 지도를 요청했다.[P] [M] 최강 몬스터즈 출신.[M] [14] 최강 몬스터즈 때는 15번을 달았었다.[15] 유일하게 현역 프로 선수이다. FA 미계약 상태일 뿐[임대] 임대선수[임대] 임대선수[18] 원래 허도환과 동일한 30번을 사용하지만, 임대선수로 영입되면서 22번을 직접 선택했다.[19] 주로 2루수와 유격수.[임대] 임대선수[임대] 임대선수[22] 외야 전 포지션이 가능하지만 주 포지션은 중견수고 그 다음은 좌익수. 우익수는 어깨가 약해서 거의 안 본다.[23] 첫 경기에는 지명타자로 출전했다.[24] 최강 몬스터즈 임대 선수로 들어왔을 때는 임시 번호 99번을 직접 선택했었다.[25] 브레이커스 공식 명단 발표 당시 코치진으로 발표되지 않았고 공식 홈페이지의 감코진 명단에도 등록되지 않아, 최강 몬스터즈에서 명목상으로나마 투수코치로 이름을 올렸던 김선우와 달리 번호를 달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었다.[26] 6회초까지 0:7이었다가 갑자기 이후 경기 상황을 통편집하며 양팀 총합 13득점을 잘라먹었다. 아와 관계된 내용은 후술한다.[27] 직구 헤드샷, 판정 항의 포함.[28] 사실 2024시즌에 더스틴 니퍼트가 최강 몬스터즈에 소속되면서 종영된 것이 간접적으로 암시되긴 했으나, 공식적으로 종영이 확정된 것은 JTBC 측에서 브레이커스 선수진을 확정 공개한 시점이다. 안 그래도 니퍼트가 불꽃야구로 이적하여 불꽃 파이터즈 소속으로 계속 출연하게 되면서 반쯤 확인사살격 행보를 보였는데 거기에 공인 정보로 확정을 내려 준 셈.[29] 연예인 야구단 기준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했던 천하무적 야구단조차도 방영 중에는 스포츠 팀으로서 데이터 관리를 비교적 양호하게 했었기에, 이를 기억하고 있는 야구 팬덤 사이에서는 당연히 쓴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 애초에 같은 CP 제작의 뭉쳐야 찬다 시리즈도 4기에 들어서야 관리가 잘 들어가고 있었지, 3기까지는 신입 선수들이 명단에 한참 동안 추가가 안 되거나 하차 선수들의 개별 관리가 전혀 안 되는 등 데이터 관리가 엉망진창이었기 때문에 이럴 걸 미리 예상했다는 반응도 있었다.[30] 다만 6회초 상황까지는 공개가 되어 있기에, 7회초에 건국대가 5점을 추격했으나 브레이커스가 6회말과 7회말에 8점을 더 뽑아내 콜드 게임이 성립되었다는 대략적인 정황은 파악할 수 있다.[31] 그나마도 1경기 1화 분량으로 편집하겠다는 공약이 한양대전에서 바로 깨지면서 굳이 건국대전을 저렇게 했어야 했냐는 원성만 높아진 상황이다.[32] 오전 11시부터 시작되었다. 이 때문에 브레이커스와 붙는 독립리그 연합팀은 아무리 잘 쳐 줘도 2군급 라인인 것이 확정인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