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6 07:57:34

부산-제주 항공노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문서가 존재하는 대한민국의 국내선 항공노선 파일:공항 픽토그램.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a5c99> 김포 ↔제주 ↔김해(부산) ↔광주 ↔포항경주
↔김포 ↔제주
제주 ↔김포 ↔김해(부산) ↔청주 ↔대구
↔광주 ↔포항경주
환승내항기 인천↔부산 인천↔대구
기타
}}}}}}}}} ||
<colbgcolor=#85170f><colcolor=#fff> 부산-제주
Busan - Jeju | PUS-CJU | RKPK-RKPC
파일:PUS-CJU.png
출발·도착 <colbgcolor=#fff,#1c1d1f>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부산광역시
김해국제공항(PUS)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국제공항(CJU)
소요 시간 약 1시간
운항 간격 약 1시간
일일 운행 횟수 목, 금 26회
화, 수, 일 27회
월 28회
토 29회
첫편 제주행 06:50, 김해행 08:00
막편 제주행 21:05, 김포행 21:15
운항사 대한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1. 개요2. 특징3. 혼잡도4. 비행 경로5. 운항 항공사6. 주의사항7. 기타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 부산제주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매년 310만 수요를 자랑한다.

김포-제주 노선, 김포-김해 노선과 함께 국내선 수송 TOP 3 노선 중 하나이다.[1] 부울경과 제주도 간 관광 수요가 주를 이루지만, 후쿠오카 쪽에서 경유, 또는 반대로 부산에서 제주국제공항을 경유해 해외로 가는 수요가 간혹 있다.

2. 특징

김포-제주 노선, 김포-김해 노선에 이어 대한민국 국내선 항공 수송 3위 실적을 가지고 있다. 제주도경상도의 물자를 반입하고, 제주도의 특산물을 반출할 수 있는 노선[2]이며 부산을 거쳐 중거리 여객 노선[3]으로 환승할 수 있는 유용한 노선이다.[4]

에어부산A321neo[5] 기종을 투입한다. 코로나 시국 부산-제주 노선에 진에어는 B777을, 대한항공은 A330을 투입했다.[6]

2025년 하계 스케줄 한정 월요일에 대한항공이 A330을 일부 투입한다.

3. 혼잡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축수송(교통)/사례/대한민국/항공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가축수송(교통)/사례/대한민국/항공기#s-2.4|2.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가축수송(교통)/사례/대한민국/항공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비행 경로


이 노선을 운항하는 항로는 다음과 같다. 2022년 11월 30일 전까지 사실상 1개의 항로 (Y579[7][8] 혹은 A586[9])만 사용했으나, 2022년 11월 30일 이후에 새로운 복선화 항로 2개를 (Y572, Y571) 신설하였다.온라인 뉴스 기사

이 항로 말고도 이전에 사용한 Y579[16] / A586[17](TOPAX[18][19]-GOSBO[20][21]-MAKET[22][23])을 사용할 수도 있다.

웨이포인트를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쉽게 말하자면, 대한해협 내에서 우리 영해 상공을 날아다닌다고 보면 된다. 이 때 비행기가 지나는 주요 지역들로는 경남 거제도, 전남 여수 거문도가 있다. 남부지방 내에서 움직이기에 짧아보일 수도 있겠지만 의외로 서울-부산 간 노선과 비행 거리 차이가 크게는 안 난다.

5. 운항 항공사

2025년 현재 이 노선을 운항하는 항공사는 총 5개다. 일일 운항 횟수는 평균 26~29회[24]로, 김포-김해 노선보다 횟수가 적다. 김포-김해 노선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수요는 2개의 항공사가 책임지고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제 1민항사 대한항공김해국제공항에 본거지를 둔 에어부산이다. 코로나가 심했을 때는 에어서울도 운항했으나 지금은 단항되었다.

에어부산이 취항하기 전에는 아시아나항공도 이 노선을 운항했지만, 모두 넘겨주고 김해공항 국내선에서 철수하였다.

운항 횟수는 성수기, 비성수기에 따라 조금씩 변경 될 수 있으니 참고바람.

A330은 월요일에만 투입한다.

6. 주의사항

  • 김해공항 이착륙시에는 사진과 동영상 촬영 및 업로드가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법에 의거해 처벌받게 된다. 이는 김해공항의 터미널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설이 대한민국 공군 소유이며[37], 제5공중기동비행단이 주둔 중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해공항 착륙 전에 카메라를 끄거나, 이륙 직후부터 카메라를 켜거나, 도착 안내방송을 음성만 나오게 하는 경우도 있다.
  • 제주 출발 노선의 경우, 기상 상황에 따라 결항 또는 지연될 수 있으니 여부를 꼭 확인하는 게 좋다.

7. 기타

  • 대한항공 국내선의 편명은 1000번대인데 특이하게 가장 앞 번호인 1001이 부산→제주에서 사용되는 편명이었다. 현재 부산-제주는 1500번대로 밀려났고 1001편의 설정은 없다.
  • 성수기에는 주로 보잉 777이나 A330을 투입 시킨다.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KAC 김해국제공항 로고.png파일:KAC 김해국제공항 로고 화이트.png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김해국제공항 항공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802224><colcolor=#fff> 국내선
아시아
<colbgcolor=#802224><colcolor=#fff>
일본
중국
홍콩·마카오
대만
필리핀
베트남
동남아
태평양
}}}}}}}}} ||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KAC 제주국제공항 로고.png파일:KAC 제주국제공항 로고 화이트.png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제주국제공항 항공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802224><colcolor=#fff> 국내선
아시아
<colbgcolor=#802224><colcolor=#fff> 일본
중국
홍콩·마카오
대만
동남아
태평양
}}}}}}}}} ||
[1] 이렇게 해서 국내 항공 교통 거점 도시인 서울(김포), 제주, 부산(김해)이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2] 다만 택배, 특히 인터넷쇼핑몰등의 계약택배의 경우 대부분 김포나, 청주로 간다. 택배사들의 물류허브가 중부권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경상도에서 다이렉트로 제주도로 들어올 만한 건 경상도 특산물과 부산/울산/경남발 제주행 일부 택배 정도.[3] 가덕도신공항이 생기면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외항사 플래그 캐리어 등이 부산에 취항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 때는 북미, 유럽, 중동, 남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대양주, 중앙아시아러시아 노선 역시 많아지기 때문에 장거리 노선 환승도 빈번할 것이다. 일단 서울보다 가깝고 환승하기 매우 유리하다. 그래서 가덕도신공항 관련 환승전용 내항기를 뚫는다고 하면 제주 노선이 1순위가 될 것이다. 다만 항공동맹 등에 따라 가덕도와 인천에 특정 동맹체가 몰리는 등 (인천은 스카이팀, 가덕도는 스타얼라이언스 또는 원월드) 항공시장이 재편될 수도 있어서 인천과 가덕도의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다는 이유로 2순위로 김포-가덕도 내항기도 배제할 수 없다.[4] 대구, 청주, 제주는 국제선이 빈약하고 김포는 중국, 일본, 대만행 노선밖에 없는데다가 국제선-국내선 청사간의 거리가 꽤 된다. 반면 김해의 경우 국제선과 국내선이 거의 붙어있다시피하고 항공편도 적지않게 있어 환승에 큰 불편이 없다.[5] 232석[6] 김포-김해 노선은 대형기가 투입되지 않는 대신 소형기를 자주 배차하여 수요에 대응한다.[7] RNAV 2[8] 현재 단축됨[9] RNAV 5[10] 김해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ENGOT으로 나간다.[11] 사천발 제주행 항공편은 사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POVOR으로 들어온다. 마찬가지로 여수발 제주행 항공편도 여수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POVOR으로 들어온다.[12] UPGOS 이후 제주국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13] 제주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AKPON으로 들어온다. 25활주로를 사용해 이륙한 항공편은 한라산을 좌선회로 한바퀴 선회하거나, 이륙 직후 우선회하여 AKPON으로 들어온다.[14] 제주발 여수행 항공편은 NISAV에서 좌선회 후 여수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 제주발 사천행 항공편도 마찬가지로 NISAV에서 사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15] ANROD 이후 김해국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16] RNAV 2[17] RNAV 5[18] 김해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TOPAX으로 들어온다.[19] TOPAX 이후 김해국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하였으나 현재 TOPAX발 STAR는 사라졌다.[20] 사천발 제주행 항공편은 사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GOSBO로 들어온다. 마찬가지로 여수발 제주행 항공편도 여수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GOSBO로 들어온다.[21] 제주발 사천행 항공편 GOSBO에서 사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22] MAKET 이후 제주국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하였으나 현재 MAKET발 STAR는 사라졌다.[23] 제주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MAKET으로 들어온다. 25활주로를 사용해 이륙한 항공편은 한라산을 좌선회로 한바퀴 선회하거나, 이륙 직후 우선회하여 MAKET으로 들어온다.[24] 목, 금 26회 / 화, 수, 일 27회 / 월 28회 / 토 29회[25] 일부노선은 아시아나항공과 공동운항한다.[A321] [A320] [28] 월, 토 일 평균 12회 왕복 운항[29] 수, 일 일 평균 11회 왕복 운항[A330] [B737-900] [A220] [B737-800] [34] 화, 토 일 평균 7회 왕복 운항[B737-900] [B737-800] [37] 쉽게 말해 이 땅은 공항이면서 군부대라는 소리다. 때문에 24시간 운영 가능한 가덕도신공항 건설 계획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