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19:55:07

제주-괌 항공노선



#!wiki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40]]]]
#!wiki style=font-size: 1.28889em"
[[한미관계|{{{#fff '''한미관계 관련 문서'''}}}]]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제너럴 셔먼호 사건 · 신미양요 · 조미수호통상조약 · 주한미국공사관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민족자결주의 · 태평양 전쟁 · 카이로 회담 · 미군정 · 6.25 전쟁 · 베트남 전쟁
사건사고 이철수 사건 · 코리아게이트 ·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 · 조지아주 한인 여성 살인사건 · 주한미군 윤금이씨 살해사건 · 필라델피아 한인 유학생 강도살인 사건 · 라타샤 할린스 살해사건 · LA 폭동 · 로버트 김 간첩 사건 · 이태원 살인 사건 ·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 주한미군 독극물 한강 무단 방류 사건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 · 동대구역 초등생 감전 사망사고 · 2008년 촛불집회 ·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피습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미국 정부의 한국 대통령실 도청 사건 · 여성시대 남성 성착취물 공유 사건 · 미국 정부의 수미 테리 기소 사건 · 2025년 미국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 대규모 이민 단속 사건
외교 한미관계 · 한미관계/2020년대 · 한미일관계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미국대사관 · 동맹대화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원조협정 · 한미연합군사령부 · 주한미군 · 한미자유무역협정 · 한미행정협정 ·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 한미정상회담 · 6자회담 · 한미 원자력 협정 ·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 · 한미 우주협력협정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미외교 · 2021년 한미정상회담 · 2022년 한미정상회담 · IPEF · 2023년 한미정상회담 · 워싱턴 선언 · 핵 협의그룹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 2025년 한미정상회담
기타 한국군 vs 미군 · 친미 · 미빠 · 반미 · 한미노선(인천-로스앤젤레스 항공노선 · 인천-JFK 항공노선 · 인천-뉴어크 항공노선 · 인천-샌프란시스코 항공노선 · 인천-시애틀 항공노선 · 인천-애틀랜타 항공노선 · 인천-댈러스/포트워스 항공노선 · 인천-호놀룰루 항공노선 · 인천-괌 항공노선 · 인천-사이판 항공노선 · 부산-괌 항공노선 · 대구-괌 항공노선)
}}}}}}}}} ||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KAC 제주국제공항 로고.png파일:KAC 제주국제공항 로고 화이트.png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제주국제공항 항공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802224><colcolor=#fff> 국내선
아시아
<colbgcolor=#802224><colcolor=#fff> 일본
중국
홍콩·마카오
대만
동남아
태평양
}}}}}}}}} ||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1. 개요2. 특징3. 역사4. 운항 했던 항공사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제주-괌 항공노선제주국제공항안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을 잇던 항공노선이었다.

2. 특징

제주국제공항의 유일한 미주노선으로 90년대에는 컨티넨탈 미크로네시아에서 운항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항공에서도 2010년대에 제주~오사카 노선 경유로 운항한 적이 있었던 노선이었다.[1] 당시 제주도민들은 물론 일본인들의 괌 관광 수요가 주를 이루었다.#

3. 역사

1993년 4월 23일, 컨티넨탈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주-괌 노선에 신규취항했다.# 컨티넨탈 미크로네시아 항공이 제주-타이베이-괌 노선으로 운항한 적이 있었다.

1997년 3월 8일, 컨티넨탈 미크로네시아가 결국 수요 부족을 이유로 제주-괌 노선을 단항한다고 밝혔다.#

2008년, 대한항공인천-간사이-괌 노선을 운항한 적이 있었다.#1#2 대한항공이 제주~오사카 노선을 운영하던 당시에 제주-간사이 노선이 제주~괌 노선도 겸한 적이 있었다.

2010년대 이후, 제주~간사이 경유 괌 노선은 대한항공이 운항했다.# 그러다가 대한항공이 제주~간사이 노선을 2019년 후반부터 단항하면서 제주~괌 노선도 폐지됐다.

2020년대 이후, 대한항공에서 제주-괌 노선을 출발편(KE9425)으로 2025년 2월 15일/18일/21일, 도착편(KE9426)으로 2월 18일/21일/24일 기간 동안 전세기편을 운항했다.

4. 운항 했던 항공사

2025년 현재 운항하고 있는 항공사는 없다. 과거에는 대한항공이 간사이 경유로 운항한 적이 있었고 컨티넨탈 미크로네시아가 90년대에 타이베이 경유로 운항한 적이 있었다.

5. 여담

  • 2016년 10월 24일, 인천공항에서 괌으로 향하던 제주항공 비행기가 제주공항에 긴급회항한 일이 발생했다.#
  • 티웨이항공에서 2025년 7월부터 간사이 경유 대구~괌 노선을 복항했다. 이에 따라 티웨이항공의 제주-간사이 노선을 경유해 괌으로 갈 수 있는 방법이 생겼고 간접적으로 복항한 모양새가 됐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분리발권[2]을 해서 괌으로 갈 수 있다. 제주~나리타 노선을 경유해 괌으로도 가는 경우도 있다.

6. 관련 문서


[1] 아직 제주-괌 노선이 복항하지 않았기 때문에 괌 노선을 이용시 김포-인천 경유로 괌으로 가거나 부산 경유로 괌을 가야한다.[2] 공식 홈페이지 구입시 다구간, 오사카경유로 발권이 불가하므로 제주+오사카왕복, 오사카+괌왕복 형식으로 발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