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전적 의미
반정부군(한자: 反政府軍, 영어: Antigovernmental Armed Forces)은 정부에 대항하는 군사조직이다. 비슷한 의미로 반군, 반란군 등이 있다. 이 경우 자국의 정부에 맞서서 싸우는 것이므로, 침략당한 나라의 민중이 결성하는 독립군과는 성격이 다르다.2. 역사상 실존하는 반정부군의 사례
순수한 반정부군이 아닌 특정 세력의 영향을 강하게 받거나 지시를 받아 움직인 경우 ●표시.- 남북전쟁 시기의 남부연합[1]
- 적백내전 시기의 백군
- 스페인 내전 시기의 국민파
-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레시스텐자
- 독소전쟁 당시 폴란드 제2공화국 및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지역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단 및 우크라이나 반란군
- 국공내전 시기의 인민해방군[2]
- 6.25 전쟁의 조선인민유격대 및 남부군●
- 베트남 전쟁의 베트콩●[3]
- 라오스 내전의 파테트 라오
- 캄보디아 내전의 크메르 루주
- 알제리 전쟁의 민족해방전선, 비밀군사조직
-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의 묵티바히니 해방군
- 스리랑카 내전의 타밀엘람 해방 호랑이
- 시에라리온 내전의 혁명연합전선
- 르완다 내전의 르완다 애국전선
- 북아일랜드 분쟁의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 스페인의 바스크와 자유
- 벨기에의 공산주의자 전투원 세포
- 프랑스의 악시옹 디렉트, 코르시카 민족해방전선
- 미국의 공생해방군, 웨더 언더그라운드, 언약, 칼, 그리고 주님의 무기
- 독일의 바더 마인호프, 국가사회주의지하조직
- 일본의 적군파, 연합적군, 일본적군,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 옴진리교
- 이탈리아의 붉은 여단
- 팔레스타인 서안 지구의 아린 알우수드
- 제1차 이라크 내전의 낙쉬반디 기사단군 및 이라크 이슬람군
- 제2차 이라크 내전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초반기의 북부동맹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중후반기의 탈레반
- 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의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파키스탄의 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 이란, 파키스탄의 발루치스탄 해방군
- 제1차 리비아 내전의 자유 리비아군 등 리비아 시민군●
- 시리아 내전의 자유 시리아군, 알누스라 전선,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 시리아의 구 시리아 아랍군 잔존세력
- 미얀마의 국민통합정부(미얀마 시민방위군), MNDAA, 아라칸군, 카친 독립군, 카렌 민족해방군
- 멕시코의 사파티스타, 멕시코 마약 카르텔
- 베트남의 피압박민족투쟁통일전선
- 페루의 빛나는 길, 페루 군사 공산당, 투팍 아마루 혁명 운동
- 에콰도르의 에콰도르 붉은태양 공산당
- 파라과이의 파라과이 인민군
- 엘살바도르 내전의 파라분도 마르티 국민해방전선
- 니카라과 내전의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칠레의 혁명적좌익운동, 마누엘 로드리게스 애국전선
- 아르헨티나의 몬토네로스
- 콜롬비아의 콜롬비아 혁명군(FARC), 콜롬비아 민족해방군(ELN), 콜롬비아 연합자위군, 클란 델 골포
- 돈바스 전쟁의 남동군,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 루간스크 인민 민병대 등의 돈바스 반군
3. 창작물에 등장하는 반정부군의 사례
[1] 미합중국은 미연합국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았다.[2] 군벌시대라면 서로가 서로를 지도자로 인정하지 않으니까 상관없지만 분명 중국공산당은 장제스를 국가 지도자로 인정하고 있었다.[3] 다만 베트콩은 순수한 자생조직이 아니라 북베트남의 지시를 받아 움직였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