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6 00:11:48

박현수(경찰)


파일:경찰인재개발원 로고.svg
경찰인재개발원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치안감계급장.svg
경찰교육원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김남성 김학배 김성근 조길형 박상용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정용선 김덕섭 강성복 이중구 박화진
경찰인재개발원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박화진 박기호 이문수 황운하 정병권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이명교 이명호 송병일 박성주 박정보
제11대
박현수
}}}}}}}}} ||
<colbgcolor=#0054a6><colcolor=#fff> 대한민국 제11대 경찰인재개발원장
박현수
朴賢洙 | Park Hyun-soo
파일:박현수(경찰).jpg
출생 1971년 ([age(1971-12-31)]~[age(1971-01-01)]세)
충청남도 대전시
(現 대전광역시)
현직 경찰인재개발원
재임기간 제4대 행정안전부 경찰국
2024년 6월 24일 ~ 2025년 2월 7일
서울특별시경찰청장 직무대리
2025년 2월 10일 ~ 2025년 9월 25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4a6><colcolor=#fff> 학력 서대전고등학교 (졸업)
경찰대학 (10기 / 학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광고홍보학 / 석사)
경력 경찰대학 학생지도부 학생과 지도실장
서울지방경찰청 홍보기획계장
서울지방경찰청 홍보운영계장
주영국 대한민국 대사관 경찰주재관
서울광진경찰서
경찰청 위기관리센터장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사검증팀 파견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 파견 (윤석열 정부)
경찰청 치안정보국장
행정안전부 경찰국
서울특별시경찰청장 직무대리
경찰인재개발원
}}}}}}}}}

1. 개요2. 생애3. 여담4. 논란5.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경찰공무원으로 현재 치안감급 직위에 있다. 윤석열 정부 당시 치안정감으로 승진 내정되어 치안정감이 보임되는 서울특별시경찰청장 직위에 직무대리로 지정되어 근무하고 있었으나, 정권교체 이후 승진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2. 생애

경찰대학 10기 출신으로, 1994년 3월에 경찰대를 졸업한 후 경찰에 입문하였다.

2010년 경찰대학 학생지도부 학생과 지도실장을 맡았고 2012년 8월에는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3년 서울지방경찰청 홍보담당관실 홍보기획계장, 2015년 홍보운영계장을 거쳐 2017년 9월부터 주영국대한민국대사관 경찰주재관을 지냈다.

2021년 1월, 서울광진경찰서장으로 임명됐다.

2022년 1월, 경찰청 위기관리센터장으로 이동했다. 같은 해 5월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경찰 측을 대표하여 파견되었다.

2023년 1월, 경무관으로 승진 후 국정상황실에 파견되었다.

2023년 10월, 치안감으로 승진하여 경찰청 치안정보국장으로 발령되었으나 2024년 6월,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으로 전보되었다.

1·2·3대 경찰국장이 모두 경찰국장 다음 보직으로 치안정감 승진을 하였기에 박 국장 또한 경찰국장 임기 이후 치안정감 승진이 예상된다.

2025년 2월 5일, 치안정감으로 승진 내정되었다. 추후 경찰 보직인사에서 공석인 서울특별시경찰청장으로 취임이 유력하며 2월 7일 일단은 정식보직이 아닌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대통령이 탄핵되어 궐위된 상태로 권한대행이 임명권을 행사했다는 야권의 비판과 더불어, 경찰국장을 역임하면서 12.3. 비상계엄 당시 대통령실, 행안부, 경찰 수뇌부와 여러 차례 연락을 주고 받았다는 등 논란이 이어졌고, 결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까지 정식 치안정감 승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발된 사건이 특검에 이첩되었기 때문에 조사 결과에 따라 거취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9월 12일, 5명의 치안정감 승진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사실상 '치안정감 승진 내정자'[1]에서 치안감으로 사실상 강등되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재 비상계엄에 가담하였다는 혐의로 고발되었기에 자진면직도 불가능한 상황으로 조지호, 김봉식 청장처럼 경찰공무원직만 유지한 채로 특검 등 수사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9월 25일, 결국 서울특별시경찰청장 직무대리에서 경찰인재개발원장으로 좌천되었다.

3. 여담

  • 총경에서 치안정감 내정까지 3년 만에 세 계급의 초고속 승진을 하나 싶었으나 치안정감은 정권교체 이후 승진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4. 논란

4.1. 12.3 비상계엄 관련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이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 봉쇄와 방첩사 체포조 지원 요청을 받은 혐의자들과 긴밀히 연락을 주고받은 구체적 정황이 드러났다. 국회 '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회의록에 기재된 내용에 의하면 박현수 경찰국장은 계엄 당일 밤 이상민 행안부장관, 조지호 경찰청장 등과 수차례 통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박 경찰국장이 당일 밤 국회 봉쇄 관련 의혹을 받는 경찰청 경비국장 임정주, 국군방첩사령부로부터 체포 지원 요청을 받은 강상문 영등포경찰서장과 통화한 사실도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박 경찰국장은 내란 혐의로 구속기소됐다가 보석으로 풀려난 조지호 경찰청장과 계엄 당일 밤 최소 두 차례 통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월 15일 국회 '윤석열내란 국정조사특위'에 출석한 박 경찰국장을 둘러싸고 이 같은 내용의 내란 가담 정황이 드러났으나, 혐의가 더욱 무거운 관련자들의 진술에 가려 주목 받지 못했다.

위와 같은 혐의를 받고 있는 박현수 경찰국장이 치안정감인 서울특별시경찰청장에 내정되었다.

2월 9일, 경찰 내부망 게시판에 박 경찰국장의 서울경찰청장 내정에 대해 반발하는 글이 올라왔다. 원칙도 기준도 없는 인사”…박현수 발령에 경찰 내부 반발

3월 4일, 지난달 14일 군인권센터 고발에 따라 피의자로 입건되었다. #

7월 4일,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내란 특검으로 이첩되어 조사를 받게 되었다. #

8월 7일, 내란 특검은 박 직무대리를 상대로 강제 수사에 나섰으며 자택과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 박 직무대리는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이던 지난해 12월 3일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장관, 조지호 경찰청장, 임정주 경찰청 경비국장 등과 수 차례 통화했다. 이때 경찰의 국회 봉쇄 상황을 보고받았고 행동 지침을 마련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8월 17일, 내란 특검에 출석했다. 특검은 이날 조사에서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을 비롯해 비상계엄을 둘러싸고 박 직무대리에게 제기된 여러 의혹을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

5. 둘러보기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경찰국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행정안전부 경찰국장 (2022~2025)
<nopad> 윤석열 정부 <nopad> 최상목 대행
초대
김순호
제2대
김희중
제3대
이호영
제4대
박현수
제5대
남제현
}}}}}}}}}}}} ||


#!if st1='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9993; border-radius: 4px; font: 1em/1 math; font-family: revert"', st2='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288d2633; border-radius: 4px; font: 1em/1 math; font-family: revert"', st3='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f993; border-radius: 4px; font: 1em/1 math; font-family: revert"', st4='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3px 1px; padding: 4px 6px; background: linear-gradient(#f993 55%, #288d2633 45%); border-radius: 4px; font: 1em/1 math; font-family: revert"', st5='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3; font-size: 0.88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33%;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인물 및 단체 ]
{{{#!wiki style="margin: -5px -1px"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연루
인물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지휘부[참조]
우두머리
(수괴)[2]
{{{#!wiki st4'background-color:nopad'> 중요임무
종사
[3]
{{{#!wiki st4'wikiSize size-s1'>{{{#!wiki st1'2'> 지휘부 외
국방부 내 인물 {{{#!wiki st1'wikiSize size-s1'>[4] {{{#!wiki st1'2'> 선전​·선동 혐의
피고발
[5]
{{{#!wiki st1'wikiSize size-s1'>{{{#!wiki st1'2' style='width:17%'> 관련 인물 {{{#!wiki st1'2'> 관련 단체 윤석열 정부 · 국가비상입법기구 · 국민의힘 · 자유통일당 · 내일로미래로 · 국가정보원 · 검찰청 · 대법원 · 사랑제일교회 · 극우 유튜버 · 윤석열 변호인단 · 충암파 · 용현파 · 반공청년단 · 백골단
국방부(국군방첩사령부 · 수도방위사령부 · 육군특수전사령부 · 정보사령부 · 제1군단(제2기갑여단))
경찰청(서울특별시경찰청 · 경기도남부경찰청 · 기동본부 · 국회경비대 · 국가수사본부)
관련 둘러보기 틀 [[틀:12.3 비상계엄/지휘부|{{{#!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folding [ 각주 ]
}}}}}}}}}
[ 전개 ]
||<|2><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width=17%> 선포 및 해제 ||<bgcolor=#bc002d,#000><color=#fff>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
선포 전 정황 · 햄버거 회동 · 계엄 선포와 해제
해제 이후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해제 이후 · 1~2주차 · 대통령 대국민 담화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1기)
2024년 12월 14일 ~ 12월 27일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4%EB%85%84%2012%EC%9B%94%203%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4년 12월 3주차'>3주차 · 4주차 · 대통령 대국민 담화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2024년 12월 27일 ~ 2025년 3월 24일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5%EB%85%84%201%EC%9B%94%201%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5년 1월 1주차'>1주차 · 2주차 · 3주차(윤석열 대통령 체포 & 윤석열 대통령 구속) · 4주차(윤석열 대통령 구속 기소) · 5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5%EB%85%84%202%EC%9B%94%201%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5년 2월 1주차'>1주차 · 2주차 · 3주차 · 4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5%EB%85%84%203%EC%9B%94%201%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5년 3월 1주차'>1주차(윤석열 대통령 구속 취소)  · 2주차 · 3주차 ·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2기)
2025년 3월 24일 ~ 5월 1일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5%EB%85%84%203%EC%9B%94%204%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5년 3월 4주차'>4주차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2025%EB%85%84%204%EC%9B%94%201%EC%A3%BC%EC%B0%A8'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2025년 4월 1주차'>1주차(윤석열 대통령 파면)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파면 이후
윤석열 대통령 파면
4월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
2025년 5월 2일 ~ 6월 4일
5월 ·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
이재명 정부
2025년 6월 4일 ~ 현재
6월 · 7월(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 · 8월 · 9월 · 10월
수사 및 재판
#!wiki st5'wiki' href='/w/%EA%B5%AD%EA%B0%80%EC%88%98%EC%82%AC%EB%B3%B8%EB%B6%80' title='국가수사본부'>경찰청 국가수사본부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 국방부 조사본부 · 검찰청 특별수사본부 · 국방부 검찰단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D%95%B4%EC%A0%9C%20%EC%9D%B4%ED%9B%84/%EC%88%98%EC%82%AC' title='12.3 비상계엄/해제 이후/수사'>검찰·군검찰 주요 수사 내역 및 특별검사 수사 요구 · 경찰·공수처·국방부 조사본부 공동조사 및 주요 수사 내역 · 특별검사 주요 수사 내역 ·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 
#!wiki st5'wiki' href='/w/12.3%20%EB%B9%84%EC%83%81%EA%B3%84%EC%97%84/%EC%9E%AC%ED%8C%90' title='12.3 비상계엄/재판'>12.3 비상계엄/재판 · 윤석열 비상계엄 재판(공소장 · 전문) 
#!wiki st5st1st1st1st1st1st1st1st1st1st1'wikiSize size-s1'>{{{#!wiki st1'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33%; min-height: calc(1.5em + 5px)'>
[ 관련 문서 ]
||<|7><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탄핵​ 심판 ||
<colbgcolor=#bc002d,#000><colcolor=#fff> 탄핵
소추
가결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2차) ·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 · 박성재 법무부장관 탄핵소추 · 조지호 경찰청장 탄핵소추
폐기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1차)[사유1] · 김용현 국방부장관 탄핵소추[사유2] ·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탄핵소추[사유2] · 최상목 기획재정부장관 탄핵소추[사유2] · 심우정 검찰총장 탄핵소추[사유2]
진행 중
심리 중
조지호 경찰청장 탄핵 심판
종료
인용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결정문)
기각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 박성재 법무부장관 탄핵 심판
반응
영향 및 평가 반응(국내 반응) · 영향(김건희 여사 특검법 · 윤석열 특검법 · 내란 특검 · 김건희 특검 · 채상병 특검) · 평가 · 헌법 및 법령 위반 사항
집단행동
#!wiki st5'wiki' href='/w/%EC%9C%A4%EC%84%9D%EC%97%B4%20%ED%83%84%ED%95%B5%20%EC%B4%89%EA%B5%AC%20%EC%A7%91%ED%9A%8C' title='윤석열 탄핵 촉구 집회'>윤석열 탄핵 촉구 집회(전개) · 전국농민회총연맹 트랙터 행진[단발] · 박수영 의원 사무실 점거 농성[단발] · 윤석열 파면 촉구 문학인 공동성명 
#!wiki st5'wiki' href='/w/%EC%9C%A4%EC%84%9D%EC%97%B4%20%EB%8C%80%ED%86%B5%EB%A0%B9%20%EC%A7%80%ED%82%A4%EA%B8%B0%20%EA%B5%AD%EB%AF%BC%EB%8C%80%ED%9A%8C' title='윤석열 대통령 지키기 국민대회'>윤석열 대통령 지키기 국민대회 ·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투블럭남)[단발] · 국가인권위원회 점거 사태[단발] · 전국대학생연합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의혹 및 논란 친윤계 계엄 동조 의혹 · 부정선거 음모론에 바탕한 계엄령 · 총리-여당 당정협력 담화 ·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증거인멸 논란
관련 문서 계엄 이전 명태균 게이트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 · 나무위키 한국군 장성 문서 임시조치 요청 사건 · 2024년 의료정책 추진 반대 집단행동
계엄 이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론 · 내란청산·사회대개혁 비상행동 · 남태령 대첩 · 코리아 디스카운트 · 대한민국 연예계 입국금지 요구 CIA 집단민원 사태 · 구미시 이승환 공연 취소 논란 · 석열산성 · 더불어민주당 내란선동죄 고발 사건 · 전한길 부정선거 음모론 주장 논란 · 계몽령 · 2.13 헌법재판소 폭동 모의 사건 · 키세스단 · 대통령 국민변호인단 · 힘내라 대한민국 · 새로운 대한민국 · 윤석열/합성물 · 한덕수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
파면 이후 윤 어게인 · Make Korea Great Again
관련 청원 윤석열 탄핵소추안 즉각 발의 요청 청원 · 윤석열 특검법 제정 촉구 청원 · 국민의힘 해산 청원 · 헌법재판소 판사탄핵에 관한 청원
그 외 특집 프로그램 · 한국-키르기스스탄 관계 · 여담 · STOP THE STEAL
관련 둘러보기 틀 [[틀: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12.3 비상계엄/재판|{{{#!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12.3 비상계엄/주요 사건|{{{#!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틀:2020년대 대한민국 부정선거 음모론|{{{#!wiki style="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bc002d;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dark-style="background-color: #000; color: #e0e0e0; border: 1px solid #520a0a"]]
{{{#!folding [ 각주 ]
}}} ||
[참조]
{{{#!wiki st3
[2] 형법 제87조에서 정한 내란 혐의로 사법부(서울중앙지법)에서 지휘부를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구속함에 따라 동조 제1호인 우두머리(수괴)에 해당하는 인물. 수사기관 영장, 출석요구서, 공소장 등 문서에 내란 우두머리 적시, 형 미확정. 2020년 형법 개정으로 '수괴'에서 '우두머리'라는 순우리말로 변경됨. 국가보안법, 군형법 등은 '수괴' 표현 유지[3] 형법 제87조에 따라 사법부(서울중앙지법)에서 해당 인물들을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를 적용, 구속영장을 발부했거나 검찰에서 중요 내란중요임무종사 공범으로 지목함에 따라 제2호 내란중요임무종사로 기입.[4] 형법 제87조에 따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및 사법부에서 해당 인물들을 내란 혐의로 소환을 통보함. 해당 인물들은 계엄 선포 이전 국무회의에 참석 및 참관 대상인 국무위원 및 정부 인사로서 내란을 방조했는지 여부가 수사 대상임.[5] 형법 제90조 2항에 근거한 내란 선전·선동 피고발인 목록.[사유1] 의결정족수 미달로 인한 투표불성립으로 탄핵소추안 자동폐기[사유2] 탄핵소추 대상자의 사임으로 탄핵소추안 폐기[사유2] [사유2] [사유2] [단발] 여러 번 계속 진행되지 않고 단발성으로 그친 시위.[단발] [단발] [단발]

[1] 경찰공무원법 제18조에 따라 승진시험에 합격하거나 승진심사위원회(총경 이상 승진은 중앙승진심사위원회가 관할한다)에서 승진 여부를 심사하여 승진대상자로 선발한 경찰공무원은 승진후보자 명부에 등재되는데, 그 경우를 승진후보자 신분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