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9:40:57

무당층


1. 개요2. 특징3. 대한민국
3.1. 무당층이 많았던 시기: 2005년, 2008년3.2. 무당층이 많은 지역: 충청도3.3. 무당층이 많은 세대: 10~30대
4. 타국

1. 개요

/ swing(floating) voter

특정 정당을 선호하지 않는 사람들을 총칭하는 말. 다른 말로 부동층(層)[1], 숨은 표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참고로, 이 의미를 잘못 오해하고 무당층에 대해서 아예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이거나 정치를 전혀 모르는 사람, 정치 자체를 싫어하거나 증오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잘못 아는 사람이 많은데, 전혀 다른 의미이니 주의해야 한다.

2. 특징

무당층은 두 분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통적 무당층과 인지적 무당층이다. 전자는 정당들과 정치인들에게 환멸을 느끼고 투표 포기는 물론 정치 자체에도 관심을 완전히 끊어버린 상태이고, 후자는 개인적인 지지 정당만 없을 뿐 정치에 대한 관심도만큼은 높기에 투표를 포기할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세부적으로 집계해 본 결과 상당수가 ‘당분간 지지 정당을 정하지 않겠다’(55.8%)고 대답하는 동시에 ‘조만간 지지 정당을 정할 것’이라는 의견(22.6%), ‘잘 모르겠다’(21.6%)는 답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60.5%)에서 ‘지지 정당을 정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생각보다 가장 높게 나왔다. 관련 기사 즉, 무당층 계층 중에서는 판단을 유보한 사람들보다는 자포자기하고 투표 포기와 정치에 관심을 끊어버린 사람들의 비율이 더 높은 셈이다. 대표적인 케이스로는 갤럽 여론조사에서 무당층이 높게 나온 동시에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투표율이 낮게 나온 20대가 해당된다. 근거 자료

이들의 특징은 투표 성향이 매우 유동적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선거 때만 되면 각 정당의 후보들이 이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그 때문에 매번 선거 때마다 변수로 떠오르곤 한다. 유세의 1차적인 목적이 바로 이 무당층의 설득에 있다.

현실적으로 양당제 상황에서의 강고한 콘크리트 지지층을 가진 양 정당의 조직과 자금, 내가 최선이라고 여기는 정당과 정치인이 아니라 싫은 두 세력 중 차악에 표를 줘야 최악을 막을 가능성이 있는 소선거구제의 특징으로 인해 제3지대 정당은 얼마 못 가 와해되고, 제3지대 정당을 지지했던 지지층은 보수정당민주당계 정당 중 한 쪽을 그나마 차악으로 받아들이고 선택하거나, 아예 대안이 없어졌다며 투표 자체를 포기하게 된다.[2][3]

하지만 그렇다고 정치권이 무당층을 무시할 수도 없다. 지금은 비록 투표를 안 한다지만, 후자는 물론 전자도 자신들의 이익이나 기대감을 충족할 만한 괜찮은 정치인만 나타나면 그들로 표를 옮겨버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로 인해 성공한 사례가 꽤 있는데, 바로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도널드 트럼프[4], 2021년 재보궐선거국민의힘[5]이다.

3. 대한민국

3.1. 무당층이 많았던 시기: 2005년, 2008년

민주화 이후 대한민국에서 무당층이 가장 많았던 시기는 2005년으로, 무당층 비율이 60%에 달하였다. 왜냐면 여당 열린우리당1년 전 대승을 거두었지만 이후 당 내의 계속되는 잡음을 극복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난리가 이어졌고, 상대당 한나라당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의 책임 등 여러가지로 인해 지지를 많이 못 받았기 때문이다. 물론 민주노동당이란 제3세력은 있었긴 하지만, 당시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 간의 거리는 현재의 진보정당더불어민주당 간의 거리보다 더 멀었는지라 고정 지지층(10% 초중반) 정도를 제외하면 지지층을 확보하지 못했고 관심도 제대로 못 받았다. 그 결과 이듬해인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압승했는데, 이는 열린우리당이 너무 못 해서 그나마 덜 못한 한나라당에게 몰표를 던진 결과이다.

2008년도 무당층이 많았던, 해로 1년도 안 되는 기간에 무려 30% 이상이나 증가했고, 12월에는 무려 61.6%로 정점을 콕 찍었다. #, ##

3.2. 무당층이 많은 지역: 충청도

무당층이 가장 많은 지역은 충청도[6]이다.

해당 지역은 어떤 선거든지 간에 보수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의 격전지로 유명하다.

이렇게 된 데에는 충청권 보수정당의 몰락이 결정타였다. 특히 대전과 충남[7]에선 이 경향이 더 짙게 나타났다. 이 곳에서는 자유민주연합의 전성기인 15대 총선, 16대 총선, 17대 총선[8], 18대 총선만 해도 자유민주연합이 제1정당이었지만, 충청권 보수정당이 몰락한 19대 총선 때는 자민련의 후신격인 자유선진당이 충남에서 겨우 3석만 얻는 데 그쳤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9]

양당 체제로 흡수된 이후의 충청도는 보수정당의 텃밭인 대경권[10] 완전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인 호남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들처럼 보촌민도에 가깝다.

3.3. 무당층이 많은 세대: 10~30대

다른 세대들보다 유난히 무당층이 많은 세대이다.

박근혜 정부 시절이었던 2015년에도 10~30대의 무당층 비율이 많았는데, 무려 46%였다. 거진 절반에 가까운 수치였던 셈이다. # 사실 이렇게 되었던 것 역시 기성 양당에 대한 혐오감이 제일 컸다. 저 시기 새정치민주연합은 당내 계파 싸움만 거듭하고 있었던 탓에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대패했고, 새누리당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유가족에게 2차 가해를 밥먹듯이 하면서 박근혜의 실책을 변호했기 때문이다. 정의당이나 통합진보당레드 컴플렉스통합진보당 부정경선 사건 등의 좋지 않은 모습들을 많이 보였고, 녹색당이나 노동당 같은 기타 존재감 자체가 없는 군소정당들은 아무 영향력도 못 끼쳤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2020년 3월의 10~30대의 평균 무당층 비율이 무려 52%나 나왔다. 이미지 문재인 정부 시절에는 시기별로 무당층이 많은 성별이 달랐다. 정권 초에는 남녀 비율이 비슷했으나 2018년 후반부터 박원순 성추행 사건 이전까지는 10~30대 남성이 무당층이 제일 많았던 반면, 2021년 재보궐선거 이후부터는 10~30대 여성이 무당층이 제일 많은 세대가 되었다. 박원순 성추행 사건 이후부터 2021년 재보궐선거 이전까지도 무당층 비율이 서로 비슷했다.

윤석열 정부 극초반까지도 여성이 무당층이 더 많았으나 지지율 급락 사태가 발생한 2022년 하반기부터는 성별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

2023년 기준으로 10~30대의 무당층 비율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오지만 10~20대와 30대의 결이 각기 다르다. 10~20대는 무당층이 실제로 두텁지만, 30대에서는 보수와 개혁의 대치구도가 10~20대에 비해 명확하고, 한국의 모든 세대중에서 계급투표 현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세대이다. 10~20대 여성과 30대 후반(남녀 공통)은 강한 반여 성향에 기반한 무당층이라 선거에서 향후 민주당의 지원군이 될 확률이 높다. 특히 10~20대 여성의 윤석열 정부와 여당 지지율은 10%가 안 되는 형국이다. 반면 10~30대 초반 남성은 윤석열 정부를 지지하지 않더라도, 민주당에 대한 비토 정서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11] 30대 초중반 여성은 50대 중후반 여성과 더불어 최근 계급투표 성향이 강해졌다.[12] 30대 중반 남성은 10~30대 초반과 30대 후반~40대의 한가운데에 있기 때문에 30대가 50대보다 다소 보수화된 점을 감안하면 민주당 근소 우위의 50대 중반과 비슷하거나 그보다는 보수세가 다소 강한 표심을 보이고 있다.

직업군으로 볼 경우 대학생과 서비스직의 비율이 가장 높은 20대에서 어느정도 민주당이 우위를 범한다고 볼 수 있고, 모든 세대 중에서 화이트칼라 비중이 제일 높은 30대에서 50~60대보다 더 보수화된 표심을 보이는 상황이기에 표심이 매우 복잡하게 발현되고 있는 형국이다.

10~20대는 성별에 따라 표심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만, 30대는 성별 못지않게 계급과 30대 내부의 나이대에 따른 표심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세대 내부에서의 분절화로 인한 표심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는 점은 공통점이다.

2024년 22대 총선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지지율 하락이 유지되면서 2030대 여성들은 민주당으로 더 결집한 반면 2030대 남성들은 보수 성향은 여전한데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의 잇따른 실정에 실망하면서 국힘에 접전 약우세인 무당층으로 바뀌었다.

4. 타국

4.1. 일본

무당층이 극단적으로 많은 곳이 바로 일본이다. 무당층이 무려 50%에 가깝게 나올 때가 많다. 특히 청년층으로 내려가면 자그마치 60~70%에 이른다. 원인은 자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 안보투쟁의 실패와 거품경제 붕괴 이후 잦은 총리 교체[13], 그리고 민주당 때의 대형 참사로 인한 실망감 때문이다.

4.2. 미국

여기도 의외로 무당층이 극단적으로 많은 곳이다. (매일경제) 미국서 늘어나는 무당층…갤럽 "미국민 42% 지지정당 없어" 실제로 미국의 투표율이 50% 중반으로 선진국에선 일본 다음으로 낮은 투표율이다. 선거인단제의 한계[14]와 이로 인해 나타나는 뚜렷한 지역 구도와 극심한 양당제[15]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다만,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안티 트럼프와 샤이 트럼프가 총결집하면서 67%에 육박하는 투표율이 나왔다.

4.3. 프랑스

무효표가 상당한 비율로 나오는 곳이다. 2017년 대선에서는 11.5%의 무효표가 나왔고, 2022년에는 유권자의 6.4%가 백지표를, 2.3%가 무효표를 냈다. 비율이 아니라 숫자로 따지면 약 300만장이다.
[1] 고정되지 않고 물 위에 떠다닌다는 뜻이다.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의 不動層으로 오해석하는 경우가 왕왕 있으나 오히려 의미상 정반대이다.[2] 대선 투표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국회의원 총선 투표율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그나마 비례대표제가 따로 있어서 이 정도로 격차가 생각보다 많이 안 나는 것이다.[3] 그리고 대선에서도 투표를 안 하는 사람들이 2 ~ 30% 정도 꽤 존재한다.[4] 러스트 벨트의 시골 노동자 같은 평소엔 정치 혐오 성향이 높은 무당층 표심을 자신들에게 끌어오는데 성공했고, 그와 함께 당선으로 이어졌다.[5] 무당층이었던 20대 남성들의 지지를 받는 데 성공해 자신들에게 압도적인 몰표를 던지게 했다.[6] 세종특별자치시는 제외. 여긴 민주당계 정당텃밭이다. 애초에 전통적인 충청도 원주민들과 인적 구성도 다른데, 세종은 외지에서 온 공무원들이 많아 직업적으로 상당히 획일화돼 있다.[7] 충북지역은 15대 총선에서만 충청권 보수정당자유민주연합이 우세했지 이후부터는 민주당과 보수정당에 이은 제3정당 우세 지역이 되었다. 심지어 13대 총선 때도 민주자유당의 압도석 우세였다.[8] 단, 이 때는 열린우리당이 대전을 싹쓸이 했다.[9] 자유선진당은 이후 선진통일당으로 개명했다가 최종적으로는 새누리당과 합당했다.[10] 사실 청년층이 많은 도시의 지역구에선 비보수정당들의 득표율이 어느 정도는 상승했지만, 여전히 보수정당의 철옹성이다. 반면 보수정당의 준텃밭이라고 불린 부울경과 강원도에선 보수정당의 지지세가 수도권보단 다소 강하지만(5~10% 정도), 요즘 들어서 민주당세가 상당히 성장해 보촌민도에 가까워진 상황이다.[11] 20대에 가까워질수록, 20대 내부에서는 후반일수록 이러한 성향이 두드러진다.[12] 특히 수도권에서 이러한 현상이 짙게 나타난다.[13] 23년 동안 17명의 총리가 교체되었다. 평균 수명이 1년 3개월인 셈이다. 이는 의원내각제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내각 수반인 총리 교체가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14] 단 1%라도 앞서면 그 선거인단을 다 싹쓸어간다, 즉 민주당 후보가 49.5%를 받아도, 공화당 후보가 50.5%를 받으면 그 선거구는 공화당 것이란 점, 즉 소선거구제의 문제점이 대통령 선거에서 일어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15] 한국도 양당제가 꽤 부각되는 곳이지만, 적어도 대선에선 지역 내 주류정당이 아닌 표가 반영된다. 괜히 보수정당호남, 민주당계영남을 노리는게 아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