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09:10:46

도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선박을 항구로 유도하는 작업인 '도선'에 대한 내용은 도선사(직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선박의 종류 중 하나인 '도선'에 대한 내용은 나룻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인텔이 붙인 코드네임 Dothan에 대한 내용은 인텔 펜티엄M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려 건국설화의 등장인물 가계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경
강충의 어머니(전처) | 평나산신(후처)
강충
구치의
이제건 보육(손호술)
덕주
덕주
보육
진의
당숙종
진의의 언니 작제건
저민의(서해용녀)
강씨부인 용건
몽부인(성모천왕)
왕평달
도선 왕건 왕식렴
아랫첨자는 배우자를 나타낸다.
보라색 바탕은 혈연 관계가 없는 인물.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문화부 심볼.svg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0년
7월
김정희
8월
장영실
9월
김소월
10월
세종대왕
11월
김홍도
12월
신재효
1991년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1992년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1993년
1월
이이
2월
이인문
3월
장보고
4월
이천
5월
윤극영
6월
원효
7월
지석영
8월
안중근
9월
박연
10월
최현배
11월
장지연
12월
윤백남
1994년
1월
우륵
2월
황희
3월
김유정
4월
홍대용
5월
강소천
6월
이상백
7월
안견
8월
박은식
9월
박승희
10월
이희승
11월
정도전
12월
신채호
1995년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1996년
1월
김만중
2월
최치원
3월
이순지
4월
서재필
5월
김명국
6월
유일한
7월
도선
8월
심훈
9월
왕산악
10월
정인승
11월
전형필
12월
이제마
1997년
1월
송석하
2월
성현
3월
최윤덕
4월
이중환
5월
초의 (의순)
6월
한호
7월
이세보
8월
박제가
9월
박진
10월
장지영
11월
왕인
12월
송진우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colbgcolor=#6A5ACD><colcolor=#FFD700>
선각국사 | 先覺國師
도선 | 道詵
파일:도선.jpg
출생 827년[1]
신라 무주 영암군 구림촌
(現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사망 898년 3월 10일 (향년 71세)
신라 무주 승평군 희양현 백계산 옥룡사
(現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백운산 옥룡사지)
묘소 미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A5ACD><colcolor=#FFD700> 성씨 김(金)
이름 불명
부모 부친 미상
모친 강씨 혹은 최씨
신장 169cm[2]
옥룡자(玉龍子) / 옥룡(玉龍)
연기(烟起)
법명 도선(道詵)
시호 신라 효공왕: 요공선사(了空禪師)
고려 현종: 대선사(大禪師)
고려 숙종: 왕사(王師)
고려 인종: 선각국사(先覺國師)
}}}}}}}}} ||
1. 개요2. 생애3. 저서4. 유해 발굴5. 대중매체에서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신라 말기의 승려이며 고려부터 유행한 풍수지리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호는 연기(烟起)이며 자는 옥룡자(玉龍子) 및 옥룡(玉龍)이다.

원효, 자장, 의상과 더불어 전국 각지에 있는 여러 오래된 들의 최초 창건자로 자주 이름이 오르내리는 인물이다. 물론 다른 전설적인 고승들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해당 사찰들의 역사와 가치를 과장하기 위한 허구로 교차검증이 되지 않는다. 만약 사찰 경내에 신라식 3층 석탑이나 당간지주가 있거나 삼국유사 등 당대 기록에 가까운 사서에 기록이 있다면 기나긴 역사성 자체는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도선이나 원효 등이 그 많은 사찰을 일일이 창건했다고 보기에는 이들이 창건했다고 전하는 사찰이 전국에 너무 많다.

2. 생애

출가 전 속성은 김씨로 827년에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누군지 모르나 선각국사비에는 태종 무열왕의 서자 가문이라는 추측이 있다고 전한다. 어머니는 강씨(姜氏) 혹은 최씨. 841년(15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846년에 전라남도 곡성군 동리산 태안사 혜철(惠徹) 화상 밑에서 수학했으며 큰 명성을 얻어 신승(神僧)이라고 불렸다.

864년(38세)부터 전라남도 광양군 옥룡사(玉龍寺)에 자리를 잡고 후학들을 양성하였는데 언제나 제자 수백 명이 모여들어 그의 강론을 들었다고 한다. 어찌나 명성이 높았는지 당시 신라의 임금헌강왕이 도선의 명성을 듣고 궁궐로 초빙하여 직접 법문을 들었을 정도였다.

도선대사는 승려로서보다는 한국의 음양풍수설(풍수지리)의 원조이자 대가, <도선비기>로 대표되는 예언가로 유명하다. 전설에 따르면 지리산에서 수도하던 시절에 이인(異人)을 만나 풍수지리를 배웠다고도 하고, 당나라에 유학하여 풍수지리를 배웠다고도 한다. 도선대사가 당나라에 유학했다는 전설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고 이인을 만났다는 것은 증명할 방법이 없다. 당시 풍수지리 이론은 당나라에서 성했는데, 스승 혜철 화상이 당나라에 유학했기 때문에 혜철 화상에게서 풍수지리도 배우지 않았을까 짐작할 따름이다.

도선대사가 예언가로서 역사적으로 유명해진 가장 중요한 계기는 고려 태조 왕건의 탄생을 예언했다는 이야기이다. <고려사> 고려세계에서는 김관의가 쓴 <편년통록>의 내용을 인용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세조가 송악의 옛집에서 살다가 몇 년 후 다시 그 남쪽에다 새 집을 지으려 했는데 바로 연경궁의 봉원전(奉元殿) 터이다. 당시 동리산파(桐裏山派)의 조사(祖師) 도선이 당나라에 들어가 일행(一行)의 지리법(地理法)을 배우고 돌아왔다. 백두산에 올랐다가 곡령(鵠嶺)에 이르러 세조가 새로 지은 저택을 보더니 "기장을 심어야 할 땅에다 어찌하여 삼을 심었을꼬?" 하는 말을 남기고 가버렸다. 이 말을 들은 부인[3]이 알려주자 세조가 급히 좇아가 만나보고는 마치 진작부터 안 듯 친밀해졌다. 그리고 함께 곡령에 올라가 산수의 맥을 조사하고 천문과 운수를 자세히 살펴보고는 이렇게 일러주었다.

"이 지맥은 임방(壬方, 북쪽)의 백두산 수모목간(水母木幹)으로부터 뻗어와 마두명당(馬頭明堂)까지 이어져 있소. 그대는 또한 수명(水命)이니 수(水)의 대수(大數)를 따라 집을 육육(六六)으로 지어 36구로 만들면 천지의 대수와 맞아 떨어져 내년에는 반드시 귀한 아들을 낳을 터이니 이름을 왕건(王建)이라 하시오."

그리고는 봉인한 봉투를 만들고 그 겉봉에다가 "삼가 글월을 받들어 백 번 절하고 미래에 삼한을 통합할 임금이신 대원군자(大原君子) 족하께 바치나이다."라고 썼다. 그때가 당나라 희종 건부(乾符) 3년(876) 4월이었다. 세조가 그의 말대로 집을 짓고서 살았는데, 이 달 위숙왕후가 임신하여 태조를 낳았다.
- 용건이 태조를 낳다 (고려세계 > 용건이 태조를 낳다)

도선대사의 예언대로 송악(현재의 개성시)에서 고려 태조 왕건이 태어났다고 한다. 이 풍수지리에 대한 부분이 매우 유명하고 도선대사라는 사람이 전설적인 고승이다보니 도선대사의 풍수지리에 관한 이야기들과 도선대사에 대한 야사들도 많이 남아있다.

898년에 향년 72세로 입적하자 효공왕은 '요공선사(了空禪師)'라는 시호를 내리기까지 했다. 이후 고려에서 현종이 가장 높은 고려 선종 법계인 '대선사', 숙종이 임금의 불교 스승인 '왕사', 인종이 최종적으로 '선각국사'라는 시호를 내렸고 의종이 선각국사비를 세워 그의 일대기를 기록했다.

3. 저서

도선이 남겼다고 전해지는 책은 옥룡기, 도선비기, 삼각산 명당기 등이 있으나 실물은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고려사 등에 인용된 일부 구절들이 전해지고 있을 뿐이다.

대표적인 예가 고려사 신돈 열전에서 도선비기에 "승려도, 속인도 아닌 자가 나라를 망친다."라고 적힌 구절을 가지고 공민왕 당시 정세운 등이 "이 구절은 지금의 신돈을 가리키는 것이다."라고 말한 부분과 숙종(肅宗) 원년인 1096년 위위승동정(衛尉丞同正) 김위제(金謂磾)가 천도를 주장할 때 '도선비기(道詵秘記)'에 나온 내용을 그대로 인용한 경우 등이 있다. 그외 조선 후기 사람 홍만종의 저서 순오지에 조선왕조 건국과 관련하여 도선이 했다는 예언이 기록되어있으나, 조선 초도 아니고 조선 후기의 사람이 쓴 기록인지라 믿기가 어렵다.
지도첨의(知都僉議) 오인택(吳仁澤)과 경천흥(慶千興)·목인길(睦仁吉)·김원명(金元命), 삼사우사(三司右使) 안우경(安遇慶), 전 밀직부사(密直副使) 조희고(趙希古), 판개성(判開城) 이희필(李希泌), 평리(評理) 한휘(韓暉), 응양상호군(鷹揚上護軍) 조린(趙璘), 상호군(上護軍) 윤승순(尹承順) 등이 비밀리에 의논하기를, “신돈(辛旽)이 간사하고 아첨하며 교활한 데다 사람들을 헐뜯기를 좋아하여 훈구 대신을 배척하고 쫓아내며 무고한 이들을 살육하는 데다 무리가 날로 성하고 있으니, 『도선밀기(道詵密記)』에 있는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닌 것이 정치를 망치고 나라를 망하게 한다’는 말이 반드시 이 사람일 것이다. 장차 나라의 큰 근심이 될 것이므로 마땅히 왕께 아뢰어 일찌감치 제거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 지도첨의 오인택 등이 비밀리에 신돈의 제거를 모의하다 (고려사 > 권132 > 열전 권제45 > 반역(叛逆) > 신돈 > 지도첨의 오인택 등이 비밀리에 신돈의 제거를 모의하다)
「도선기(道詵記)」에 이르기를, ‘고려의 땅에는 3경(京)이 있으니, 송악(松嶽)이 중경(中京)이 되고, 목멱양(木覓壤)이 남경이 되며, 평양(平壤)이 서경(西京)이 된다. 11월·12월·정월·2월에는 중경에 거주하고, 3월·4월·5월·6월에는 남경에 거주하며, 7월·8월·9월·10월에는 서경에 거주하면 36개 나라가 와서 조공을 바칠 것이다.’라고 하였으며, 또 이르기를 ‘개국하고 160여 년 뒤에 목멱양에 도읍을 정한다.’라고 하였으니, 신(臣)은 지금이 바로 새 도읍을 돌아보시고 거기에 거주하실 때라고 생각합니다.
- 김위제가 『도선비기』를 근거로 남경 천도를 건의하다 (고려사 > 列傳 卷第三十五 > 方技 > 김위제 > 김위제가 『도선비기』를 근거로 남경 천도를 건의하다)

또한 도선이 지었다는 예언서 <도선비기>에는 당연히 조선왕조 건국 이후의 사실들도 예언이 되어있었다는 주장도 있으며[4], 당연히 조선왕조는 이를 껄끄럽게 여겼다. 조선왕조실록 세조 3년(1457) 5월 26일자에 '팔도 관찰사에게 고조선비사 등 문서를 사처에서 간직하지 말라.'고 명했다는 기사가 있다. 그 외에도 실록에는 성종 즉위년(1469) 12월 9일자 기사에 성종은 도선이 썼다고 하는 도선비기를 전국에서 압수하도록 지시했다는 내용도 있다.

4. 유해 발굴

전남 광양시 옥룡면 옥룡사지(玉龍寺址)에는 도선의 부도탑이 있었지만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부숴버렸다는 구전이 내려왔다. 1997년 3월, 순천대학교 발굴팀이 옥룡사지를 발굴하면서 부도탑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을 발굴했더니 밑에 길이가 95 cm인 석관이 있었고, 석관 뚜껑을 열어보니 오랜 세월 물에 잠긴 채로 인골이 나왔다. 유해가 물에 잠긴 지 너무 오랜 시간이 지나 제대로 연대측정을 할 수는 없었지만 화장한 흔적은 없었다. 뼈의 상태로 보아 피장자는 키 169 cm에 나이가 예순쯤 된 남자라고 추정했다. 발굴팀은 신라인들이 해당 인물의 시신을 먼저 가매장했다가 나중에 살이 썩어 없어지고 뼈만 남자 추려서 석관에 넣어 모시고 부도를 세웠다고 추측했다. 또한 이 부도를 중심으로 보호전각을 세웠던 흔적이 나왔다.

이처럼 시신을 한번 가매장을 했다가 적당히 시간이 지나 뼈만 남으면 추려서 정식 무덤을 만드는 것은 현대에는 아주 낯설지만, 우리나라의 장례문화 역사에서는 상당히 대중적이고 연원이 깊은 풍습이다. 정식 무덤을 만들기 전, 가매장을 하느라 만든 임시 무덤을 우리나라에서는 초빈(草殯) 또는 초분(草墳), 고빈(藁殯) 등으로 불렀다. 1970년대에 새마을운동으로 대부분 사라졌지만, 심지어 2000년대에도 남해안의 일부 섬 지방에서는 초빈을 만들었었다고 한다. 한국민속대백과 사전의 항목 링크

해당 인골이 발견된 부도는 다른 데도 아닌 옥룡사지에 있었고 전각을 세울 정도로 중요시되었다. 또한 인근 마을 주민들 사이에도 옥룡사지에 도선국사의 석비가 있었다는 구전이 전해지므로, 발굴된 인골이 도선국사의 유해라 보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었다. 부도탑 밑에서 승려의 유골이 나왔다고 이상하게 여길 필요는 없다. 고려시대까지만 해도 승려가 죽었다 해서 반드시 화장을 하지는 않았다. 화장은 나무가 충분히 필요하기 때문에 상당히 돈이 많이 드는 장례법이다. 그래서 승려의 시신을 땅에 묻고 그 위에 탑을 세워 묘비를 대신한 경우도 흔했다. 광양시는 도선의 유해와 부도탑을 정비하고 비석을 세웠다.

파일:광양 옥룡사지 도선국사석관과유골.jpg

5. 대중매체에서

  •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왕십리에 얽힌 야사를 다룬 23화에 등장한다. 야사대로 소를 끌고 가는 촌부로 나타나 지명을 묻는 무학대사에게 대궐터를 알려주고 사라진다. 뒤늦게 그 노인이 도선의 현신임을 알아차린 무학대사는 그가 사라진 방향으로 절을 올린다.

6. 같이 보기



[1] 500년 뒤인 1327년무학대사가 태어났다.[2] 출처 유골 조사 결과에서 나온 키이다.[3] 위숙왕후 한씨. 선각국사비엔 왕후가 아닌 청의를 입은 자가 알렸다고 한다.[4] 다만, 원본이 전해지지 않았서 정확히 어느 시점까지 예언이 되어있었는지는 알 수 없는 추정의 영역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