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 왕건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경보(태조 왕건) 문서 참고하십시오.
관련 문서: 도선
慶甫
869년 ~ 948년
1. 개요
전라남도 영암군 출신의 승려로, 자는 광종(光宗)[1]이고 경보는 법명이다. 본래 알찬(閼粲) 김익량의 아들이었다고 하는데, 알찬이라는 벼슬은 태봉의 9품 중 7품에 해당하는 벼슬로 신라로 치면 6등급 아찬에 해당한다. 즉 신라 6두품 집안 출신이다.2. 생애
19세에 팔공산 부인사로 출가하여 광양 백계산으로 옮겨 수행했다고 하는 데, 이 무렵 도선의 제자로 가르침을 받았다는 기록으로 보아 도선이 기거하던 옥룡사에서 수행했던 것이 거의 확실해보인다. 이후 월유산 화엄사에서 구족계를 받고 정식으로 승려가 되어 성주산의 무염, 굴산사의 범일 등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이후 892년 당나라로 유학을 가 중국의 선종 5가 중 조동종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중국 각지의 사찰을 돌아다니며 20여 년간 수행하였다.921년에 귀국하여 당시 후백제의 영토인 전라도 임피군에 이르렀는데, 후백제의 견훤이 그를 왕사로 삼아 남복선원(南福禪院)에 머무르게 하였다. 후일 도선이 머무르던 옥룡사[2]로 옮겼다. 936년 후백제가 멸망하자 고려의 태조 왕건 역시 그를 왕사로 모셨고, 이후 태조의 아들 혜종과 정종 대에 이르기까지 왕사로서 개경에 머무르다가 옥룡사로 내려와 그곳에서 세수 79세, 법랍 62세에 입적하였다.
[1] 고려의 왕 광종(光宗)의 묘호와 글자가 같은데, 광종이 즉위하기 바로 전 해에 입적했는지라 광종이 광종을 왕사로 모시지는 못했다.[2] 도선은 이미 898년에 입적하였는데, 경보가 그의 후계자로서 옥룡사로 갔는지의 여부는 불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