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08:11:00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조선로동당 기.svg 빨치산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독도 대첩
195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965년 임진강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6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바트주의 이라크
5.22 완전작전
199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부여 무장간첩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바트주의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1c27>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포천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1965년 임진강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6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
1967 ~ 1969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1 사태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앙골라 내전
1975 ~ 1980년대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우간다 내전
1980 ~ 1986
파일:우간다 국기.svg 민족저항군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여 무장간첩 침투사건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홍단호 사건
2007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Edward_England.svg.pn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리아 내전
2011 ~ 2024
파일:시리아 국기.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4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사건
(多大浦武裝間諜浸透事件)
<colbgcolor=#c0c0ff,#00003f> 시기 1983년 12월 3일
장소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포
교전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지휘관 전두환[1]
이상규[2][3]
김일성[4]
오진우[5]
병력 정보사특임대(HID)[6]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공군
조선인민군 인민무력부 정찰국 요원 5명
피해 피해 없음 사망 3명[7]
생포 2명[8]
간첩선 격침
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의 승리

1. 개요2. 배경3. 사건 경위
3.1. 첫 보도3.2. 간첩 포획3.3. 간첩선 격침3.4. 침투 경로
4. 인양5. 원인6. 이후

1. 개요


1983년 12월 3일 간첩선을 타고 부산 다대포로 침투하던 북한의 무장간첩이 대한민국 국군에 발각되어 간첩선은 격침되고 2명의 간첩이 생포된 사건.

2. 배경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는 북한의 인민무력부 정찰국이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이었던 전두환을 살해할 목적으로 폭탄을 터뜨려 그 수행원 중 17명을 사망하게 한 1983년 10월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이 발생한 지 55일만에 발생한 사건이었다.
  • 공작 자선
    길이 8m, 5톤급으로 최고 속력 35노트에 8 ~ 10명이 승선한다. 무기로는 107mm 로켓포 2문, 7.62mm 기관총 1문, 측탄총 2문, 시한폭탄 1 ~ 2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레이더와 야간투시경, 송수신 무전기를 갖추었다.
파일:북한 스콜피온.jpg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사건 당시 국군이 노획한 Vz.61.
'체코제 기관권총'이라고 쓰여있다.(출처:대한뉴스)
파일:78식 야간조준경.jpg
다대포 무장공비 침투사건 당시 국군이 노획한 야간조준경-78.
러시아의 1PN58(NSP-3) 야간투시 조준경을 카피한 물건이다.(출처:대한뉴스)

3. 사건 경위

3.1. 첫 보도

1983년 12월 4일 상오 5시 30분, 대간첩대책본부에서는 국방부기자실에서 '3일밤 10시 40분경 부산 다대포 해안으로 침투하던 간첩 2명을 근무 중이던 육군 초병이 발견하고 유인, 교전 끝에 생포하였고, 도주하던 무장간첩선 1척을 밤 11시경 영도 남방 9km 해상에서 격침시켰다'고 발표하였다.

3.2. 간첩 포획

토요일이면서 그믐날인 1983년 12월 3일 밤 10시 30분경, 30m 전방에서 개펄을 지나 백사장으로 침투하던 간첩 2명을 발견, 10m 전방까지 접근하기를 기다려 조명탄을 터뜨리고 5명의 초병이 5분간 격투 끝에 생포에 성공했고, 간첩들이 소지했던 장비들은 아웅 산 폭파 사건의 범인들이 소지했던 것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보도되었다.

그런 당시 보도와 달리 2003년 9월 25일 열린 국가보훈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국회 정무위원회 엄호성 의원은 '다대포 사건에서 무장공비를 생포한 것'은 육군 초병이 아닌 HID 소속 특수요원이었으며 정보기관에서 침투 정보를 미리 입수해 한 달 전부터 특수훈련을 시켜 생포에 성공한 것이었다. 침투 정보 입수와 공작원 유인은 한국으로 전향한 고정간첩 '봉화 1호'의 도움을 받았다.
당시 작전에 투입되었던 전 HID요원 함인준[9]씨에 따르면 간첩들이 접선장소에 가야하는데 목책을 뚫을 수가 없어, 목책 옆에 있는 화장실로 돌아서 가려다가 붙잡혔다고 한다. 간첩 이상규[10]가 맨 앞에서 앞장서서 가다 매복한 HID요원들이 덮치자, 총을 쏘며 도망갔는데 다행히 아무도 맞지 않았다고 한다. 그렇게 이상규가 잡힌 후 뒤에 있던 간첩 전충남[11]"야 상규야, 수류탄 수류탄!!" 하면서 이상규가 수류탄을 까려고 하자 다른 HID요원이 수류탄을 까려던 이상규의 손을 얼굴에 주먹을 맞으면서도 두 손으로 꼭 붙잡아서 막았다고 한다.

생포 당시의 모습

3.3. 간첩선 격침

간첩선은 5톤급의 소형으로 속도가 빨랐다. 조명탄이 터지자 다대포 앞 해상 300m 에 있던 무장 간첩선이 도주하였고, 연락을 받고 출동한 해군과 공군이 추격하다가 밤 11시경 영도 남방에서 고속정으로 들이받아 격침시켰다. 간첩선에 남아 있던 3명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3.4. 침투 경로

대간첩대책본부의 12월 6일 발표에 의하면, 간첩들은 일본 어선을 가장한 공작모선을 타고 11월 30일 오후 1시 원산항의 해상 연락소를 출발하여 공해를 따라 남쪽으로 이동, 12월 3일 오후 5시경 대마도 동북방 해상에 머물렀고, 5명이 공작자선을 타고 모선에서 분리, 오후 9시 40분경 다대포 인근 해상에 도착하였다.

4. 인양

대간첩대책본부는 12월 20일, 격침된 간첩선에 승선했던 무장간첩의 시체 1구를 다대포 해수욕장 인근 해상에서 발견, 인양했다고 발표하였다.

태종대 북서쪽 해저 30m에 침몰된 간첩선은 128일만인 1984년 4월 9일 대한민국 해군 해난구조대(SSU)[12]에 의해 인양되었다. 선내 조종실에서는 1구의 시신이 발견되었다.

5. 원인

일부 언론에서는 북한이 무장간첩을 침투시킨 것은 대한민국의 후방에 혼란을 조성하여 내부에서 무장봉기가 일어난 것처럼 위장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하기도 하였다. 대간첩대책본부에서는 12월 8일 발표에서 생포된 간첩들은 이미 침투한 간첩과 만나 부산 일대 주요 국가 기관시설을 폭파, 인명을 살상하여 사회 혼란을 조성하고 함께 월북할 계획이었다고 설명하였다.

6. 이후

  • 군 철조망 설치와 제거
    사건 이후 다대포 해수욕장 주변에는 군 철조망이 쳐졌다. 이 3.37km구간의 철조망은 군 경비병력이 철수한 후 방치되다가 2002년 1.33km 구간이, 2007년에 나머지 구간이 철거되었다.
  • 만경봉호의 입항
    무장간첩 침투 19년만인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 출전한 북한 선수들을 위한 응원단을 태우고 북한을 출발한 만경봉호가 다대포에 입항하여 주목을 받았다.
  • 포로의 전향
    국군에 생포된 전충남, 이상규는 귀순하였으며, 1983년 9월 22일 발생한 대구 미국문화원 폭발 사건이 한국 운동권의 소행이 아니라 북한 간첩이 저지른 테러임을 자백하였다. 이후 둘은 대한민국 국민으로 적응하여 이상규는 1992년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였고#, 전충남은 귀순 이후 한국전력에 특채되어 근무하다가 이상규의 졸업 3년이 지난 1995년 역시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2] 제00대 정보사령관[3] 공교롭게도 이 사건의 간첩 중 한명과 동명이인이다.[4] 초대 국가주석[5] 제9,10대 인민무력부장[6] AIU로 명칭이 바뀌었으나 통상 HID로 불린다[7] 간첩선 인원[8] 전충남, 이상규[9] 은퇴[10] 안내조원[11] 안내조장[12] 당시 명칭, 현 해군 해난구조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