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방송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font-size:.9em; letter-spacing:-.2px" | <rowcolor=white> 방송국명 | 개국일 | 주소 |
<colbgcolor=#fff> | 1997년 12월 20일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182번길 40 (쌍암동) | |
| 1997년 12월 23일 |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68 (대연3동) | |
| 1999년 7월 14일 |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17 (내동) | |
| 1999년 7월 30일 |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120 (대명5동) | |
| 2001년 11월 13일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동부순환로 183 (반곡동) | |
| 2001년 11월 30일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매소홀로 251 (학익동) | |
| 2002년 5월 15일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정여립로 1097-10 (만성동) | |
| 2012년 7월 23일 | 울산광역시 중구 함월7길 11 (성안동) | |
| 2013년 8월 26일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창원천로94번길 82-4 (대원동) | |
| 2014년 7월 9일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침촌마을길 39 (장성동) | |
| 2016년 8월 18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기자길 101 (아라2동) | |
| 2020년 11월 24일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밀레니엄2로 45-25 (주중동) | |
| 2025년 7월 8일 |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첨단산단2길 76 (신경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8B><tablebgcolor=#16AA5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 | TBN 강원교통방송 | }}} | |
개국 | 2001년 11월 13일 | ||||
호출부호 | HLSV-FM | ||||
방송망 | TBN 교통방송 | ||||
주파수 | 105.9㎒ ''' 원주 '''|103.7㎒ '''춘천 '''105.5㎒ ''' 강릉/대관령 '''|95.1㎒ '''양양/속초 '''95.3㎒ ''' 동해/삼척 '''|89.3㎒ '''평창 ''' | ||||
방송책임 | 이지영 (편성제작국장) | ||||
문자참여 | #1059 (SMS: 50원, MMS: 100원) | ||||
교통제보 무료전화 | 080-363-8000 | ||||
링크 | 홈페이지 | }}} |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전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교통방송. 호출부호는 HLSV-FM.춘천 대룡산, 대관령, 동해 초록봉, 양양, 평창 장암산에 중계소를 설치했다. TBN 지역국 중 중계소가 가장 많은 지역국이며 주파수도 제각각이다. 그래서인지 한때 시보 때 주파수를 언급하지 않는 유일한 지역국이었다. 강원도 및 인근지역의 주파수 포화문제도 있고 차량으로 강원도 내의 다른 중계소권으로 이동하면서 듣는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인접 중계소간의 주파수를 통합해서 한두개 주파수로 송출하거나 모든 중계소의 주파수를 메인 주파수인 105.9MHz로 통합하여 송출하는 것이 시급하지만 주파수 허가가 쉽게 나지 않아서 주파수 통합이 어렵다.[1]
도로교통공단의 본부가 있다 보니 전국방송 프로그램 유튜브 LIVE 스트리밍은 이 지역국 신호를 받아 중계하는 경우가 있다.[2]
2025년 9월부터 백운산 본국 기준 RDS 송출을 개시했다. PI 코드는 E001, PTY 코드는 NEWS이며 PS, RT 코드는 없는 대신 시간정보를 내보내고 있다.[3] #
2. 연혁
- 1999.12.7 원주교통방송국 설립 추진 허가 신청
- 2000.1.14 원주교통방송국 설립허가 추천
- 2000.1.25 원주교통방송국 설립허가 신청
- 2000.5.24 원주교통방송국 설립허가
- 2001.11.13 원주교통방송국 개국 (FM 105.9MHz)
- 2002.10.24 원주교통방송국 춘천, 강릉 FM 중계소 개설 추천
- 2002.11.7 원주교통방송국 춘천, 강릉 FM 중계소 무선국 허가 신청
- 2003.6.30 원주교통방송국 춘천, 강릉 FM 중계소 (춘천:FM 103.7㎒, 강릉:FM 105.5㎒) 설립 완료
- 2003.7.1 원주교통방송에서 강원교통방송으로 명칭 변경
- 2013.9 강원교통방송 양양 FM 중계소 (FM 95.1㎒) 설립 완료
- 2015.9 강원교통방송 초록봉(동해,삼척) FM 중계소 (FM 95.3㎒) 설립 완료
- 2017.11 강원교통방송 평창 중계소 준공
3. 시보 멘트
원주 105.9, (동해 95.3㎒/강릉 105.5㎒/양양 95.1㎒/춘천 103.7㎒/평창 89.3㎒). TBN 강원교통방송입니다. HLSV.[4]본래 3, 4, 6, 9, 10, 12시시보는 심우섭 아나운서, 1, 2, 5, 7, 8,11시시보는 안상희 PD[5]가 맡았었다.
2021년부터 1, 7, 11시보는 충북의 손수림 아나운서, 2,4, 8시시보는 충북 최하나 아나운서, 5시시보를 심우섭 아나운서가 맡는다.
2022년부터 시보는 심우섭, 김민정 아나운서가 맡고 있다.
3.1. 로고송
- 함께하는 좋은친구 라디오는 TBN 강원교통방송 (7, 8, 11시 시보)[6]
- 소중한 시간 당신 곁엔 언제나 TBN 강원교통방송~ (3, 9, 12시 시보 )
- 즐거운 운전 행복한 시간 TBN과 함께 강원교통방송 (1, 2, 5, 6, 10시시보)
- 하루의 시작과 끝엔 언제나 TBN 강원교통방송~ (4시 시보)
4. 편성표
||<-8><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
<rowcolor=#fff>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06:00 | 구선아의 굿모닝 코리아 | 박진희의 즐거운 주말 아침 | |||||
07:00 | 안수경의 출발! 강원대행진 | ||||||
08:00 | 김영대 프로젝트 | ||||||
08:53 | TBN 특별기획 우리 아이 함께 키워요 | ||||||
09:00 | 김정은의 스튜디오 1059 | ||||||
10:00 | TBN 10시 강원 뉴스 | TBN 뮤직쇼 | |||||
10:05 | 김정은의 스튜디오 1059 | ||||||
11:00 | 김경식의 오토쇼 으라차차 | ||||||
12:00 | TBN 정오 뉴스 | 주말의 친한친구 | |||||
12:05 | 양상국 김효진의 12시에 만나요 | ||||||
13:00 | |||||||
14:00 | TBN 14시 뉴스 | 이경미의 두시N휴게소 | |||||
14:05 | 이지은의 TBN 차차차 | ||||||
15:00 | |||||||
16:00 | TBN 16시 강원 뉴스 | 김수경의 여휴만만 | |||||
16:05 | 고유림의 TBN 강원매거진 | ||||||
17:00 | |||||||
17:52 | TBN 정보광장 | ||||||
18:00 | TBN 18시 뉴스 | 선우경의 주말특급 | |||||
18:05 | 안하늬의 달리는 라디오 | ||||||
19:00 | |||||||
20:00 | (주중 김승현)가요본색(주말 원미연) | ||||||
21:00 | |||||||
22:00 | 이다슬의 행복한 밤 TBN과 함께 1, 2부 | 신채이의 행복한 밤 TBN과 함께 1, 2부 | |||||
23:00 | |||||||
00:00 | TBN 플레이리스트 1, 2, 3, 4, 5, 6부 | TBN 플레이리스트 1, 2, 3, 4, 5부 | |||||
01:00 | |||||||
02:00 | |||||||
03:00 | |||||||
04:00 | |||||||
05:00 | TBN 명예의전당 | ||||||
05:42 | TBN 재난안전 리포트 | ||||||
05:52 | 여기는 강원교통방송 | ||||||
5. 교통캐스터, MC
- 오유진
- 노기환
- 한지원
6. 주요 프로그램
- 안수경의 출발! 강원대행진 (평일)
- 김정은의 스튜디오 1059 (평일)
- 이지은의 TBN 차차차 (평일)
- 고유림의 TBN 강원매거진 (평일)
- 안하늬의 달리는 라디오 (평일)
- 노기환의 노브레이크 (주말)
- 이경미의 두시N휴게소 (주말)
- 김수경의 여휴만만 (주말)
6.1. 종영 프로그램
- 김수경의 행복한 주말입니다 (주말, 종영)
- 오유진의 낭만이 있는 곳에 (평일, 종영)
- 고유림의 주말 스튜디오 1059 (주말, 종영)
- 노기환의 주말 TBN 차차차 (주말, 종영)
- 주말 강원 달리는 라디오 (주말, 종영)
- 오유진의 낭만이 있는 곳에 (평일, 종영)
- 권대희의 탄탄대로 (평일, 종영)
- 박권의 탄탄대로 (평일, 주말, 종영)
7. 주파수
- 출력 내 D 표기는 지향성 송출임을 의미한다.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비고 |
백운산 | 105.9㎒ | D1㎾ | [7] |
초록봉 | 95.3㎒ | 1㎾ | |
대룡산 | 103.7㎒ | D3㎾ | [8] |
대관령 | 105.5㎒ | [9] | |
양양 | 95.1㎒ | 100W | |
장암산 | 89.3㎒ | D100W | [10] |
8. 둘러보기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공영방송 | |||
| 종합 | |||
음악 | ||||
| 종합 | |||
음악 | ||||
| ||||
민영방송 | ||||
| 종합 | |||
음악 | ||||
독립국 | ||||
종교방송 | ||||
| 종합 | |||
음악 | ||||
| CTS라디오 JOYIP | |||
| ||||
| ||||
| ||||
| ||||
| ||||
국악방송 | ||||
| ||||
| ||||
| ||||
정훈방송 | ||||
| ||||
| ||||
표준주파수국 | ||||
대한민국 표준주파수국(HLA) | ||||
기상방송 | ||||
해양기상방송(HLL2) | ||||
관련 틀과 문서 | ||||
대북방송 목록 | 공동체 라디오 | 수신 주파수 | 수신 애플리케이션 | ||||
방송 프로그램 문서 | ||||
| ||||
DMB. 지상파 DMB V-Radio IP. 인터넷 전용 라디오. 1. 주한미군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으로부터 직접 주파수 사용승인을 받아 운용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bgcolor=#D50037> 신문 | | | ||
지상파 방송 | | | | ||
| | | | ||
종교방송 | | | 강원극동방송 | | |
기타 방송사 | | |
강원권의 지상파 방송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V방송 | 영서 북부 | Ch5 G1방송 | Ch9 KBS1 춘천 | Ch11 춘천MBC |
영서 남부 | Ch5 G1방송 | Ch9 KBS1 원주 | Ch11 원주MBC | ||
영동 | Ch5 G1방송 | Ch9 KBS1 강릉 | Ch11 MBC강원영동 | ||
라디오방송 | 영서 북부 | KBS춘천(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 춘천MBC(표준FM/FM4U) | G1 프레쉬FM | EBS FM 강원CBS | | |
영서 남부 | KBS원주(제1라디오/음악FM) | KBS춘천(제2라디오) | 원주MBC(표준FM/FM4U) | G1 프레쉬FM | EBS FM 강원CBS | FEBC강원극동방송 | TBN 강원교통방송 | ||
영동 | KBS강릉(제1라디오/음악FM) | KBS춘천(제2라디오) | MBC강원영동(표준FM/FM4U) | G1 프레쉬FM | EBS FM 강원영동CBS | FEBC강원극동방송 | BBS춘천불교방송 | TBN 강원교통방송 | 강원국악방송 | KFN 라디오 | }}}}}}}}} |
[1] 무엇보다 해당 주파수와 인접한 주파수, 내지는 해당 주파수를 직접 쓰고 있는 타 무선국과의 협의가 필요하다. 특히 105.9MHz를 EBS FM에서 이미 쓰고 있는 양양에선 더더욱.[2] 그러니까, 서울에서 방송을 제작해서 그 신호를 원주에 있는 공단본부로 보내고, 원주 공단본부에서 다시 그 신호를 전국으로 뿌리는 셈.[3] 다만 여기서 표기되는 시간은 한국시간(UTC+9)보다 4시간 가량 빠르다.[4] 중계소가 많고 중계소 주파수도 제각각이다보니 어느날부터 주파수를 고지하지 않기 시작했다가 현재는 연주소가 있는 원주 주파수와 중계소 주파수 1개(무작위로 1국 선택)를 고지하는 형태로 고지를 다시 하고 있다. 다만 오전 6시 시보에선 주파수 고지를 하지 않는다. #[5] 2021년 제주로 발령되었다. 2025년 충남교통방송으로 발령받았다.[6] 2020년까지는 5시 시보에도 쓰였다.[7] 350도(원주 시내 방향) 지향. #(10P)[8] 90도(홍천 두촌 방향) 지향. #(17P)[9] 45도(경포대 방향) 지향. #(17P)[10] 0도(방림면 방향) 지향. #(34P 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