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12:14:19

MENG Model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라틴 문자의 글자}}}에 대한 내용은 [[Ɱ]]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Ɱ#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Ɱ#|]]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라틴 문자의 글자: }}}[[Ɱ]]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Ɱ#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Ɱ#|]]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세계 지도_White.svg 세계의 모형 메이커 업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000,#e5e5e5
아시아 대한민국 <colbgcolor=white,#191919>아카데미과학, 토이스타, 동산모형, 아크로모형, 이글상사, 합동과학
중국 드래곤 모델, 트럼페터(하비보스/메리트/아이러브키트), MENG Model, 베리파이어 모델, 그레이트 월 하비, 보더 모델, 조이야드 하비, 타이거 모델, RPG 모델, AMK, 라이필드 모델
일본 반다이 스피리츠, 보크스, 아리이, 도쿄 마루이, 아오시마, 웨이브, 코토부키야, 타미야, 파인몰드, 하세가와, 후지미, SWEET, 맥스 팩토리, 타카라토미, 토미텍, 플럼, 어뮤징하비, 맥스 팩토리, 굿스마일 컴퍼니
홍콩 타콤, TSM-Model, 누누
유럽 서유럽 이탈레리, 에어픽스, 게임즈 워크숍, 엘레르
러시아 즈베즈다
아메리카 미국 레벨, 모노그람
※ 나무위키에 문서로 존재하지 않는 업체들의 목록에 대해서는 문서 참고(프라모델/다이캐스트)
}}}}}}}}}}}}}}} ||


1. 개요2. 상세3. 제품 목록
3.1. 지상병기
3.1.1. 1/353.1.2. 1/72
3.2. 항공기
3.2.1. 1/243.2.2. 1/323.2.3. 1/353.2.4. 1/483.2.5. 1/72
3.3. 함선 계열3.4. 자동차3.5. 바이크3.6. 디테일업 파츠3.7. 에반게리온3.8. 시리즈3.9. 유랑지구 시리즈
4. 관련 문서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중국의 모형 메이커로 2011년 설립되었고 위치는 중국의 광둥성 산하 선전시에 있다.

한국에서는 이라고 불리고 있다. 영어권에선 종종 '밍'이라고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 萌MENG 이란 중국 내 펫용품 브랜드가 있어서 오해하기 쉬운데, MENG은 중국 내에서도 자사를 한어병음도 아닌, MENG으로만 표기하고 있다. 이것이 사람 이름인지, 약어인지, 다른 뜻을 갖고 있는 건지, 아니면 중의적 표현인 건지는 회사 대표만이 알 일. 일단 중국에서는 '멍(Meng)'으로 부른다. 한국에선 주로 '멩'으로, 일본에선 몬(モン)혹은 멘(メン)으로 부르고 그렇게 수입하고 있으니 참고.

2. 상세

질 좋고 비싼 모델을 주로 내놓는다. 전차모형의 경우 오히려 한국이나 일본의 제작사의 2~3배의 가격을 가진 프라모델이 많다. 일단 1/35스케일 전차모델들 같은 경우 기본으로 5만은 깔고 들어가고, 부품수에 따라 7~8만원대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런데 사실 한국에서는 수입비용 및 샵의 마진이 붙어서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것일 뿐, 중국 내에서의 가격은 의외로 저렴한 편이다. 타오바오에서 현용 전차류의 정가가 215위안 가량, 즉 3만원대 중후반에 형성되어 있고 킹타이거의 경우 내부재현 부품이나 가동식 궤도를 뺀 기본킷 가격은 불과 120위안 가량이다. 사실 이와 같이 국내 판매가가 현지 판매가의 두 배에 가까운 것은 거의 모든 중화권 메이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다.

하지만 비싼 모델들은 비싼만큼 값을 하는데, 일단 연질궤도는 사용하지 않는다.[1] 궤도 부품 하나하나를 분할해두어서 따로 조립하게 되어있고, 이 부품들은 모두 고정되지 않고 기동 가능한 부품들이다. 즉, 별도의 작업 없이 늘어진 궤도를 구현이 가능하다![2] 게다가 차체 서스펜션도 가동이 되는지라 밑바닥에 물건을 깔아두고 위에 완성된 모형을 올려두는 것 만으로도 그럴듯한 연출이 가능하다. 여기까지 읽고 나면 연결식 궤도 때문에 초보자가 만지긴 어렵다는 인식이 생길 수 있으나, 실제로는 중화권 메이커 중 손맛이 가장 좋다는 평을 받고 있는 제작사 중 하나다. 하비쇼 등에서 관계자의 발언을 보면 제2의 드래곤, 트럼페터보다는 '중국의 타미야'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뉘앙스가 보이는데, 실제로 멩 모델의 제품은 조립성과 디테일의 중간 지점에서 포지션을 잡고 있는 느낌이다.

일단 주력으로 발매하는 모델들은 거의 지상병기들이다. 프라모델계에서 지상병기 모형의 주류는 2차대전물이 차지하고 있는데, 멩 모델의 경우 비교적 현용 MBT 제품의 비율이 높아 현대물 취향이라면 이 회사 제품을 만질 일이 많다. 물론 1차대전물 및 2차대전물도 함께 내놓고 있다. 발매된 모델들을 보면 은근히 매니악한 것들을 자주 내놓는다. 엘레르 사에서 제품화한 AMX-30 및 파생형들과[3] 테크니컬도 제품화 할 정도[4]. 그래서 고정적인 수요는 있는 편이다. 그렇다고 아예 아무도 모르는 것들만 내놓는 것은 아니고, T-90A같이 다른 회사들도 많이 내놓은 모델들도 내놓았다. 그리고 그 계열 중 가장 비싸게 내놓는다

2015년 4월경 T-10M을 발매했으며 이후 쉴카, 치프틴[5]으로 모자라 루머로만 알려진 M1A2 SEP Tusk ll와 킹타이거를 발매하기로 했다!

메이커 자체에 대한 평가는 초반의 열광적인 반응[6]만큼은 아니지만 경쟁사들에 비해 품질이 안정적이고 중화권 킷 특유의 고질적인 설명서 오류가 훨씬 덜한 점 등에서 대만의 AFV Club과 함께 여전히 준수한 평가를 유지하고 있다. 야심작이었던 M1A2가 다소 기대에 미치지 못한 등 일부 제품에서 부정적 평가가 생기기도 한 것은 사실인데, 해당 제품의 경우 주포의 반따개 사출이나 타사에서 대부분 클리어 부품으로 재현한 것과 달리 일반 런너로 사출된 휠허브 캡, 한쪽 면만 재현된 궤도 핀 등을 지적받았다. 2016년 말엔 킹타이거를 발매할 예정인데 타콤의 킹타이거가 기대를 배반하는 여러 모로 미묘한 물건으로 남아 관심이 멩으로 쏠리는 상황에서 어떤 퀄리티의 물건을 내놓을지가 분수령. 결과적으로는 결정판이라 할 정도로 압살한 건 아니지만 모델 메이커간에 촉발된 2차 킹타 전쟁에서 그럭저럭 판정승을 거뒀다고 할 만한 괜찮은 물건이 나왔다는 게 중론이며, 특히나 조립성에서 상당히 좋은 평을 받았다. 다만 포방패 형상과 전방 볼마운트 크기에 문제가 있고 이후에 가성비 최강의 하비보스 킹타가 출시되면서 모델러들의 선택지는 다시 미궁 속으로...

한데 멩 킹타와 함께 별매로 발매된 치메리트 데칼 관련해서 표절 시비가 불거졌다. 대략의 개요는 이렇다. 치메리트 데칼은 DEF Model이라는 국내 업체에서 처음으로 내놓은 바가 있는데, 당초 멩 킹타와 콜라보를 기획해 시제품을 보낸 상태에서 멩 쪽에서 모종의 이유로 판을 깨고 자체적으로 치메리트 데칼을 내놓은 것. 까는 쪽에서는 개발 이력을 볼 때 빼도박도 못 할 표절품이라 주장하며, 옹호하는 쪽에선 치메리트 데칼이라는 컨셉만 따라갔을 뿐 실제 제품의 특성은 상당히 다르다고 대립했다. 실제 출시된 제품을 보면 데프모델제 데칼과 형태가 꽤 다르긴 하나 어차피 문제 삼는 쪽은 아이디어 자체가 표절이라고 보며, 제품 자체를 봐도 실상 둘 다 자연스러운 치메리트 코팅과는 거리가 있기에 만 원짜리 데칼 하나로 치메리트 코팅을 해결하는 건 아직은 시기상조란 사실만 상기시키는 꼴이 되었다. 이후에도 두 메이커는 각각 치메리트 데칼 라인업을 계속해서 내놓고 있으며, 갈수록 질적으로도 개선되어 나름대로 그럴듯한 표현이 가능할 정도가 되었다.

한국 샵에서 그냥 구입할 경우 가성비는 별로 좋은 편이 아니다. 가끔가다 이 회사 물건보다 디테일이 좋으면서도 싼 모델들이 있으니 잘 알아보고 사자. 대표적으로 이 회사의 T-90A와 즈베즈다의 T-90A는 디테일면에서 멩이 위지만 가격은 국내 온라인가 기준으로 즈베즈다가 약 3만원 이상 싸다.[7]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멩모델 제품의 중국 내에서의 가격은 타미야보다도 낮고[8] 아카데미보다 좀 비싼 수준에 불과하므로, 대량으로 타오바오 등에서 직구를 하거나 중국에서 싸들고 올 방법이 있다면 가성비가 매우 높아진다. 타오바오에서 구매하기 어렵다면[9] AliExpress 등지에서 해외배송을 하는 셀러의 물건을 구입하게 되더라도 국내 샵에서의 소매가보다는 훨씬 싸다.[10]

최근에는 중국의 어느 모에 모바일게임과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캐릭터 상품이 동봉된 1/700 스케일의 HMS 로드니와 USS 렉싱턴을 발매하였다. 이후도 콜라보제품인지는 불명확하지만, 비스마르크와 미주리를 연이어 내놓고있다. 당연히 부분 접착제가 필요하긴 하지만 꽤나 잘 들어맞는 스냅타이트 형식의 제품. (디테일은 좋은편이 아니니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좋다.)다만 이것은 개개인의 선택에 달려있다. 만약 자신이 도색에 자신이 없거나 도색 장비가 없다면 MENG의 것을 추천한다. 혹은 자신이 쉽고 빠르게 비스마르크를 만들고 싶어도 추천한다. 그러나 쉬운것 보다 디테일을 추구한다면 레벨의 것이나 타사의 제품을 추천한다. 이는 비스마르크 외의 함선 제품도 해당된다.

특이 사항으로, 제품 라인업의 이름이 공룡을 비롯한 중생대 파충류의 이름이다. 홈페이지 기준으로 보자면,
전차/자주포 종류의 라인업 이름이 TS(티라노사우루스), IFV나 장갑차 종류의 라인업은 SS(스테고사우루스), 테크니컬이나 차량 라인업은 VS(벨로시랩터), 공군기 라인업은 QS(케찰코아틀루스), LS(루도닥틸루스), DS(디메트로돈)으로 각각 나뉘며 선박/군함은 OS(옵탈모사우루스)와 PS(플레시오사우루스)로 나뉜다. 단 그 외 파츠나 티셔츠 등의 상품, 프라모델 용 인형, 자동차 등은 공룡 이름이 붙지 않는다.

최근에는 T-90A 독소전쟁(대조국 전쟁) 승전 40주년 기념판 한정판 키트에 독소전쟁 40주년 기념 훈장 레플리카와 불곰을 탄 블라디미르 푸틴(!!!) 피규어를 동봉하여 내놓았다. 1/35 스케일로 세세하게 재현한 불곰과 푸짜르의 늠름한 자태...[11]가 심히 압권이다. #

사실 이 전에도 자사 M1 에이브람스 킷에 누가봐도 도널드 트럼프로 보이는 인물에 산타 복장을 입혀놓은 레진 인형을 넣어준 특별판을 낸 전적이 있다.#

3. 제품 목록

3.1. 지상병기

멩 모델의 지상병기는 2차 대전물이 주력인 다른 회사들과 달리 현대전이 주력인 경우가 많다. 때문에 현대전 전차들은 결정판으로 통하는 제품들이 많다.

3.1.1. 1/35

  • A7V
    • A7V Tank (Krupp) (TS017)
    • A7V Tank (Krupp) & Engine (TS017s) - 엔진 포함
  • 5호 전차 판터
    • Panther Ausf. A Late (TS035)
    • Medium Tank Sd.Kfz.171 Panther Ausf.A Commander "Ernst Barkmann" (ES001)
    • Bergepanther Ausf.A (SS015)
    • Panther Ausf.D (TS038) - 치메리트 장갑과 두 가지 휠을 선택 조립 가능.
    • Sd.Kfz. 171 Panther Ausf.G Early/Ausf.G with Air Defence Armor (TS052)
    • Panther Ausf.G Late w/ FG1250 Active Infrared Night Vision System (TS054)
  • 6호 전차 티거
    • King Tiger (Henschel Turret) (TS031)
      • "King Tiger" (Henschel Turret) Interior Set (SPS037) - 킹타 내부재현 키트. 헨셸 포탑용이다.
    • King Tiger (Porche Turret) (TS037)
      • "King Tiger" (Porsche Turret) Interior Set (SPS062) - 이 쪽은 포르쉐 포탑 전용.
  • 폭스바겐 퀴벨바겐
    • Type 82 German Pkw.K1 Kübelwagen (VS015)
    • Pkw.K1 Kübelwagen Type 82 (VS016)
    • Pkw. K1 Kübelwagen Type 823 (VS017)
    • Pkw.K1 Kübelwagen Type 155 Half-Track (VS018)
  • 야크트판터
    • Sd.Kfz. 173 Jagdpanther Ausf. G1 (TS039)
    • Jagdpanther G2 (TS047)
  • 레오파르트1
    • Leopard 1 A3/A4 (TS007)
    • Leopard 1 A5 (TS015)
    • Leopard C2 Mexas w/ Dozer Blade (TS041) - 캐나다군 사양. 지뢰제거용 도저가 포함되어 있다.
  • 레오파르트2

    • 멩 모델의 레오파르트 2 제품군은 레오파르트 시장에서 라이필드와 함께 양대 결정판으로 통하는 제품이다. 충실한 내부재현을 위한다면 라이필드를, 더욱 부드러운 가동을 원한다면 멩 모델이 적합한 선택이다.[12]
    • Leopard 2 A4 (TS016)
    • Leopard 2 A7 (TS027)
    • Leopard 2 A7+ (TS042)
    • Leopard 2 A6 (TS055)
    • Leopard 2 A8 (TS057)
  • PzH2000
    • Panzerhaubitze 2000 (TS012)
    • Panzerhaubitze 2000 w/Add-On Armor (TS019) - 추가장갑을 장착한 사양.
  • 윌리스 지프
    • Wasp Flamethrower Jeep (VS012)
    • MB Military Vehicle w/ Chairman Mao and Driver Figure (VS013)
    • MB military vehicle (VS011)
  • M4 셔먼
    • M4A3 (76)W Sherman (TS043)
    • M4A3E2 Jumbo (TS045)
    • M4A3(76) W "Victory Kiss" w/Resin Figures + detail upgrade Set (PE) (ES006) - 한정판 사양
  • M2 브래들리
    • M2A3 Bradley w/BUSK III (SS004)
    • M3A3 Bradley w/BUSK III (SS006)
  • 에이브람스 전차
    멩모델 답게 높은 품질을 자랑하지만 강력한 가성비와 온갖 형태를 표현할 수 있는 아카데미나 내부재현 등 더욱 좋은 디테일을 표현 가능한 라이필드에게 밀리는 감이 있다. 그나마 가동 부위가 가장 많은 점은 장점.
    • M1A2 Abrams TUSK I/TUSK II SEP (TS026)
    • M1A1 AIM / M1A1 TUSK (TS032)
    • M1A2 Abrams TUSK I/TUSK II SEP Christmas Edition (w. Donald Trump figure) (TS026s) - 산타 복장을 입힌 트럼프 레진 피규어를 포함한 한정판 사양.
  • 캐터필러 D9
    대체 왜 건설업용 불도저가 여기 라인업에 끼어있나 싶지만 실제로 미군이나 이스라엘군이 공병용으로 진득하게 써먹고 있다.
    • D9R (SS002)
    • Armored Bulldozer w/Slat Armor (SS010) - 슬랫아머 포함.
  • T-10
    • T-10M Heavy Tank (TS018)

  • T-72
    • T-72B3 (TS028)
    • "Terminator" Fire Support Combat Vehicle BMPT w/KMT-8 Mine Clearing System & EMT Electromagnetic Countermine System (TS010) - T-72 차체에 BMPT를 장착한 사양.
    • BMR-3M (SS011) - 떼칠이 차체를 기반한 공병전차형 파생작.
    • T-72B1 (TS033)
    • T-72B3M w/ KMT-8 Mine Clearing System (TS053)
  • T-90
    멩의 T90 전차는 현재의 멩을 있게 해준 제품군으로서 명실상부 T90 계통의 최고 결정판이다. 프로 모델러인 구르 칸의 검수를 받았다. 또한 엔진룸이 구현되어 있고 내부에 쉬토라-1 구현을 위한 LED도 포함되어 있다. 배터리는 당연히 별매.
    • T-90A (TS006) - 기본형.
    • T-90 w/TBS-86 Tank Dozer (TS014) - 지뢰제거용 도저가 포함되었다.
    • T-90A Special Edition with Resin figures (ES005) - 독소전쟁 승리 40주년 기념 한정판. 불곰을 타고 있는 푸틴이 인상적.
  • 판치르-S1

    • 멩, 타이거, 트럼페터 중에서 결정판이지만 가장 비싸서 각각 일장일단은 있다.
    • 96K6 PANTSIR-S1 (SS016)
  • 휘펫 전차
    • Mk.A Whippet (TS021)
    • Mk.A Whippet (TS021s) - 영국군 피규어가 포함되었다.
  • Mk 시리즈
    • British Heavy Tank Mk.V Male (TS020)
    • British Heavy Tank Mk.V Female (TS029)
    • German Stormtroopers VS British Mk.V Male Heavy Tank (TS020s) - 독일군 보병과 MK5 전차와의 대결구도를 표현한 제품.
  • 르노 FT
    • FT-17 (TS008)
    • FT-17 (Riveted Turret) (TS011)
    • IJA Renault “Type 79” Ko Gata Tank (TS008s)
    • Renault FT T.S.F Radio Version -Japan (ES002)
    • French FT T.S.F. Radio Version (SS021)
    • French FT 75 BS (TS059)
  • AMX 30
    • AMX-30B (TS003)
    • AUF1 (TS004)
    • AMX-30B2 (TS013)
    • AUF1 TA (TS024)
  • 15식 경전차
    • ZTQ15 Light Tank (TS048)
    • ZTQ15 Light Tank w/Addon Armour (TS050) - 추가장갑 장착형
  • 메르카바 전차
    멩 모델은 유독 메르카바 전차에 공을 들이는 듯한 모습을 보이며, 타콤과 더불어 양대 결정판 자리를 가지고 있다. 타콤이 1이나 2 같은 구형 위주라면 멩은 3이나 4처럼 최신형 위주로 출시하고 있다. 메르카바 하면 멩 모델이나 타콤을 가장 많이 떠올릴 정도.
    • Merkava Mk.3D (TS001) - 초기형. 동시에 멩의 초기작.
    • Merkava Mk.3 BAZ w/Nochri Dalet Mine Roller System (TS005) - 마인롤러를 포함한 제품.
    • Merkava Mk.3D Late LIC (TS025) - 후기형.
    • Merkava Mk.4M (TS036)
    • Merkava Mk.4/4LIC w/Nochri-Kal Mine Roller System (TS049) - 마인롤러가 포함되었다.
    • Merkava Mk.4M w/roof-mounted slat armor (TS056) - 지붕형 슬랫 아머가 포함되어 있다.

3.1.2. 1/72

멩 모델의 1/72제품군은 여타 1/72 라인업과 비교해도 높은 디테일이 특징이라 크게 추천받는다.
  • ZTQ15 Light Tank (72001)
  • Leopard 2 A4 (72009)
  • Leopard 2 A7 (72002)
  • Panzerhaubitze 2000 (72008)
  • M1A2 SEP ABRAMS TUSK II (72003)
  • M2A3 Bradley w/ BUSK III (72005)
  • U.S. M142 HIMARS (72004)
  • Merkava Mk.4M (72006)
  • T-72B3M (72007)

3.2. 항공기

멩 모델답게 나름 잘 뽑아내기는 하지만 주력 제품들인 전차에 비해서는 조금 아쉽다는 평을 듣기는 한다.

3.2.1. 1/24

3.2.2. 1/32

  • 포커 삼엽기
    윙넛 윙즈가 도산해서 금형비를 지불하지 못해 금형 공장들이 문을 닫게 생기자 멩에게 판매한 금형이다.[13]
    • Fokker Dr.I Triplane (QS002)

3.2.3. 1/35

3.2.4. 1/48

  • P-51 머스탱
    • PLAAF P-51D/K Mustang Fighter (LS005)
    • P-51D Mustang Fighter (LS006)
    • P-51D Mustang Fighter RAAF Decals (LS007)
    • North American P-51D Mustang 'Yellow Nose' (LS009)
    • North American P-51D/K '8th Air Force' (LS010)
  • 메서슈미트 Me 410
    • Messerschmitt Me-410B-2/U4 (LS001)
    • Messerschmitt Me 410A-1 (LS003)
    • Messerschmitt Me 410 B-2/U2/R4 (LS004)
  • F-4 팬텀
    • F-4G Phantom II Wild Weasel (LS015)
    • F-4G Phantom II (LS017)
    • F-4E/2020 TERMINATOR (LS020)
  • F/A-18 호넷
    • F/A-18E Super Hornet (LS012)
    • F/A-18E Super Hornet (LS013)
    • EA-18G Growler (LS014)
    • F/A-18F Super Hornet (LS016)
    • Boeing EA-18G Growler Yellow Jackets (LS019)
  • J-20
    • Chinese J-20 Stealth Fighter (LS002)

3.2.5. 1/72

  • Ki-98
    • Mansyu Ki-98 (DS002)
  • Ku-4
    • Kayaba Ku-4 "Katsuodori" (DS001)
  • F-102
    • F-102A (Case X) (DS003)
    • F-102A (Case XX) (DS005)
  • F-106
    • Convair F-106A Delta Dart Interceptor (DS006)

3.3. 함선 계열

현재 1/700으로만 존재하며 멩의 함선계통 제품군은 색분할이 되어 있으며 스냅타이트 식으로 조립한다. 다만 완벽한 건 아니라서 어느 부분은 접착제를 요구하기도 한다. 디테일이 떨어지는 편이니 디테일 높은 제품을 구하고 싶다면 트럼페터나 레벨 등 함선에 일가견이 있는 타사 제품을, 디테일에 상관없이 간편 조립을 원하면 멩 쪽이 좋다.

3.4. 자동차

3.5. 바이크

3.6. 디테일업 파츠

3.7. 에반게리온

3.8. 시리즈

3.9. 유랑지구 시리즈

4. 관련 문서



[1] 아예 사용 않는 건 아닌데 어지간하면 가동 연결식을 넣어주는 게 보통이다. 물론 궤도는 나중에 따로 별매로도 판다.[2] 허나 연결핀 잃어버리기가 겁나 쉬우므로 조심하자. 까딱하면 스카치테이프 신공을 쓰거나 가동을 포기하고 순간접착제를 써야 한다! 다만 다른 멩모델제 연결궤도 핀을 그럭저럭 돌려막기 가능하고, 추가부품 구매도 가능은 하니 순접신공은 최후의 수단으로나 쓰자.[3] 자세한 내용은 AMX-30 참고.[4] 도요타 하이럭스와 랜드크루저 5종과 포드의 F-350도 내놓았다. 각각 PMC버전(여기 들어있는 장비품은 별매로도 팔고 있다), ZPU-1이 달린것, ZU-23이 달린 것, ZU-23의포대에 ZPU-1의 총신 2개를 단 ZPU-2를 장착한 것, 피난가는 중동의 가족의 차 버전이다. 오래전에 MIG Ammo 사(전투기 설계국이 아니라 도료로 유명한 회사이다) 에서도 이와 비슷한 레진 제품을 내놓았는데 이젠 그저.....[5] 이건 타콤을 견제하기 위해 제작발표를 하였다. 모델러들 사이에서는 멩 모델의 사장과 타콤 사장과 사이가 안 좋다는 소문의 근거로 꼽힌다.[6] 특히 현재의 명성을 가져다줬다고 봐도 무방한 T-90A 발매 즈음.[7] 한 마디로 반값. 멩이 6만원대 후반, 즈베즈다와 즈베즈다 재포장판인 아카데미는 3만원대 초중반.[8] 1/35 전차 킷의 정가가 대략 215위안, 즉 3만 5천원 수준이다.[9] 특히 타오바오는 삐끗하면 계정이 잠겨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하기 마련인데 그럴 때마다 일일이 고객센터에 연락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니다.[10] 이는 멩 뿐만 아니라 모든 중화권 메이커에도 적용되는지라 알리에서 제품 자체의 가격+배송비를 포함해도 한국 샵보다 7~8천원, 세일기간을 노리면 최대 몇만원 이상이나 이득인 경우가 많다. 물론 배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감수해야 하지만 기다릴 수만 있다면 한국 샵보다는 알리 등에서 배송시키는게 이득이다.[11] 모티브는 기마 사진을 곰으로 바꾼 패러디 사진이다. #[12] 라이필드는 가동식 궤도의 가동력이 멩에 비해 원활하지 않다는 평이 있다.[13] 참고로 이 때 보더 모델에서도 랭커스터 금형을 사갔는데 이 때문에 윙넛 윙즈와 법적 분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