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38:47

화성-11가/열차 발사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화성-11가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colbgcolor=#024FA2><colcolor=#fff> 근거리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단거리 600㎜초대형방사포/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스커드/화성-5·6(300km, 500km) · 화성-11다(600km) · KN-23/화성-11가(9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순항미사일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중거리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 화성-19(18,000km)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2009)[MS] · 은하 3호(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 북한 신형 로켓
SLBM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지대공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별찌-1-2
공대공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함대함 KN-01[2] · 금성-3[3]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어뢰·수중드론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대전차 미사일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8연장 대전차 미사일)
퇴역 · 프로토타입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파일:2022 국방백서 미사일 평가(수정).svg
[ 각주 ]
[ND] 스커드, 화성-7 기반 발사체 | [MS] 화성-7, 화성-10 기반 발사체 | [PE] 백두산 엔진 발사체
[1] S-300, HQ-9 기반 | [2] 실크웜 기반 | [3] Kh-35 기반 | [4] 9M111 Fagot 기반 | [5] 9M113 콘쿠르스 기반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파일:missile_icon__.png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백마선 연선상에서 발사되는 KN-23.jpg
열차에서 발사되는 화성-11가
1. 개요2. 배경3. 시험발사
3.1. 1차 시험발사, 평라선3.2. 2차 시험발사, 백마선3.3. 3차 시험발사, 백마선
4. 열차 조성5. 재등장6. 러시아의 기술 지원설

[clearfix]

1. 개요

북한판 이스칸다르라고도 불리는 화성-11가를 탑재한 열차 발사형 무기 체계이다. 조선인민군 전략군 산하의 철도기동미사일연대에서 운용한다. 영문으로는 KN-23 Railway-borne missile[1], KN-23 TLBM[2] 등으로 불리고 있다. 국방백서에서는 '철도기동형'이라고 표현하였다.

2. 배경

북한은 2016년에 이미 열차발사형 미사일, 핵어뢰 등 다양한 발사방법 개발을 추진하는 동향이 포착된 적 있다.#

3. 시험발사

날짜 발사 노선 발사지점 탄착지점 김정은 참관 여부
2021.09.15. 평라선 석탕온천역[ruby((발사지점), ruby=양덕군)]거차역 동해상 X[3]
2022.01.14. 백마선 룡계리역[ruby((발사지점), ruby=피현군)]백마역 알섬 X[4]
2022.11.2. 백마선 룡계리역[ruby((발사지점), ruby=피현군)]백마역 서해갑문 전방 무인도 X

3.1. 1차 시험발사, 평라선

2021년 9월 15일 KN-23를 철도에 실어 평라선 연선에서 발사하였다. 우리 합동참모본부는 최초에 양덕군 부근에서 미사일 발사가 있었다고 발표했으며, 발사 사거리가 800km로 길어진게 확인되었다.
파일:북한 열차미사일.jpg
평라선 선로[5] 상에 정차중인[6] 열차에서 발사되는 KN-23

이 개량형은 열차에 실은 2연장 발사대에서 2발 연속 발사되었으며, 철도기동미사일연대라는 전담 부대가 새로 편성되었다고 한다. 열차를 미사일 발사 수단으로 실전배치한것은 구 소련의 SS-24 ICBM에 이어 세계 2번째이다.[7] 이는 국군의 SLBM 시험발사 및 한국형 타우러스, 야혼트 공개식 직전에 발사하여 이전과 전혀 다른 새로운 발사수단을 확보했다는 정치적 메시지를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 발사 지점은 39°16'31.6"N, 126°48'17.1"E(39.2754485N, 126.8025613E)이다. 위치 정보는 우리 합참의 정보, 북한의 선전 매체의 자료를 바탕으로 네이선 헌트가 추측한 것이다. #

3.2. 2차 시험발사, 백마선

파일:KN-23 철도발사형 2차 시험 발사.jpg
KN-23 철도발사형 2차 시험 발사
2022년 1월 14일에는 의주군 일대에서 시험발사했다. 열차 도색이 붉은색 계열이 아닌 어두운 초록색 계열이다.
파일:백마선에서 조성 분리된 후 기립하는 KN-23.jpg
조성 분리된 후 기립하는 KN-23
룡계리 방면 ← 열차 백마 방면
이번에는 기관차와 분리한 후 발사한 것이 특징. 기관차를 노출시키기 싫었던 것으로 보인다.

발사위치도 흥미롭다. 단선 비전철 구간에서 발사했는데, 신의주는 우리가 '경의선'으로 부르는 평의선의 종착역인 신의주역이 있는 등, 철도 교통의 요지다. 그 평의선에서 쏜 것은 아니지만 북한이 자신들 국토에 곁가지마냥 뻗어있는 지선철도망을 미사일 발사지로 써먹을 수 있다는 이야기. 의주군 및 인근의 비전철화 노선으로는 백마선덕현선이 있기에 두 노선 연선 상에서 발사 위치를 특정하고자 하는 민간 연구자들의 노력이 있었고, 서울에서 북한 관련 언론 활동을 하는 'Colin Zwirko'가 위치가 백마선임을 특정했다. 구체적으로는 40.026242°N, 124.578897°E백마역룡계리역 사이다. 사실 합참 발표처럼 의주군이 아닌 바로 옆의 피현군이었던 것.

3.3. 3차 시험발사, 백마선

이전에 발사했던 백마선 지점에서 다시 한 번 발사했다. 2022년 11월 2일 북한 미사일 도발의 시작점이었다. 이번에는 황해로 쏴서 서해갑문 인근의 표적 무인도를 타격했다.

4. 열차 조성

파일:철도성 로고가 새겨진 유개화차.jpg
북한 철도성 로고가 새겨진 유개화차와 흰색 군복의 병력들
석탕온천 방면 ← 열차 거차 방면

해당 열차 편성의 디젤 기관차유개화차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한 일본인이 분석한 자료가 있으므로 참고할 것. 기관차는 DM62나 M62UP로 추정되고 유개화차는 중국제 P61로 추정된다는 분석이다. 우선 철도성 로고는 확연히 식별된다.
↑ 상행
차량번호 차종명 호차 비고
미상 DM62, M62UP 기관실 디젤기관차
미상 P61 1 발사장비 탑재차량
미상 P61 2 KN-23 2발 탑재차량
↓ 하행

5. 재등장

KN-23, KN-23 개량형, KN-23 개량 SLBM과 함께 2021년 북한의 국방발전전람회 《자위-2021》에서 전시되었다. 이 철도발사형의 경우 철도박물관 처럼 표준궤 선로까지 깔아두고 전시했다.

6. 러시아의 기술 지원설

일본 언론이 러시아의 열차 발사형 ICBM 설계가 북한에 흘러갔다는 보도를 했다. 또한 해당 열차 발사대는 2016년에 원산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철도 운송형 미사일, 철도 이동형 미사일[2] Train Launched Ballistic Missile, '열차발사탄도미사일' 언론인이 사용. 이후 양욱이 아산정책연구원에서도 이 표현을 사용하였다.[3] 박정천 비서가 상관으로 참관.[4] 군 지휘성원들과 국방과학원의 지도간부들이 참관[5] 석탕온천역거차역 사이[6] 터널 시설물에 숨어 있다가 개활지로 전개했다.[7] 미국 또한 피스키퍼 기반 열차 발사 탄도미사일을 계획한 적은 있지만 냉전이 끝나면서 시험만하고 계획을 폐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