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NC 다이노스 2026 시즌 내야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 박민우 [[주장| C ]] · 4 홍종표 · 5 서호철 · 6 오태양· 7 김주원 · 9 김세훈 · 16 도태훈 · 24 데이비슨 · 34 오영수 · 35 한재환 · 38 안인산 · 44 김휘집 · 68 김한별 · 93 장창훈 · 112 박인우 · 113 박주찬 · 118 신성호 · 122 이한 · 125 유재현 · 129 조효원 · # 신재인 · # 김건 · # 허윤 · # 김명규''' | ||
| 최종 편집: 2025년 10월 20일 |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응원단 |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 NC 다이노스 등번호 35번 | ||||
| 권정웅 (2022.9.6.~2023) | → | 한재환 (2024~) | → | 현역 |
|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fff> NC 다이노스 No.35 | |
| 한재환 韓在喚 | Han Jaehwan | |
| 출생 | 2001년 10월 19일 ([age(2001-10-19)]세) |
| 부산광역시 | |
| 국적 | |
| 학력 | 대청초(기장리틀) - 대신중 - 개성고 |
| 신체 | 177cm, 89kg |
| 포지션 | 1루수, 3루수, 좌익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2020년 2차 8라운드 (전체 71번, NC) |
| 소속팀 | NC 다이노스 (2020~) |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2021년 9월 6일 ~ 2023년 3월 5일) |
| 연봉 | 2025 / 3,0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 | |
1. 개요
NC 다이노스 소속 우투우타 내야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2학년 때부터 주전 기회를 받으며 21경기 71타수 타율 0.250 출루율 0.380 장타율 0.440 3도루 21삼진, 3학년 성적은 18경기 73타수 타율 0.330 출루율 0.380 장타율 0.640 1도루 25삼진 5홈런을 기록하며 고교야구 주말리그에서 장타력을 보였다.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16강전에서는 투수로도 등판했는데, 4명의 타자를 상대하며 1이닝 1피안타 2K를 기록했다.2020년도 신인드래프트 2차 8라운드에서 NC 다이노스의 지명을 받았다. 팀 스카우팅 리포트에서 빠른 배트 스피드와 파워를 갖춰 향후 중거리 타자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고, 투수로도 140km/h 이상을 던질 수 있는 강한 어깨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았다.
2.2. NC 다이노스
| |
2.2.1. 2020 시즌
5월 말부터 퓨처스리그에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경기 후반 대타로 출장해 3루수 대수비를 맡는 경우가 많았다. 9월에는 김수윤이 3루수로 가면서 2루수로도 꾸준히 출장했다.2020 시즌 퓨처스 최종 성적은 29경기 42타수 타율 0.214 9안타 3홈런 7타점 6득점 3볼넷 14삼진. 장타율이 0.476으로 준수했다.
2.2.2. 2021 시즌
예년보다 많은 타석에 섰다. 주로 2루수를 보거나 최정원이 2루로 가면 지명타자로 출장하고 있다. 8월 중순 기준 4홈런을 기록하며 김민수(6홈런) 다음으로 팀 내에서 홈런이 가장 많다.2.2.3. 군 복무
2021년 9월 6일 현역 입대 소식을 알렸다. # 전역 예정일은 2023년 3월 5일.2.2.4. 2023 시즌
병역을 해결하고 5월 중반부터 퓨처스리그에서 출장을 시작했다. 포지션은 주로 3루수나 지명타자.2.2.5. 2024 시즌
6월 인터뷰에서 컨택 능력을 더 향상시키고 싶다며, 내 것을 잘 만들고 준비한다면 언젠가는 기회가 올 것이라 생각한다는 각오를 밝혔다.8월 30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2군 경기에서 4, 6, 7, 9회에 4연타석 홈런을 치며 5타석 4홈런이란 진기한 성적을 냈다. 인터뷰에선 감독님, 코치님의 도움이 컸고 운이 좋게 감이 유지되었다며 겸손한 반응을 보였다.
9월 20일 1군에서 권희동이 말소되며, 그의 자리를 대신하기 위해 1군 등록선수로 승격되어 기존 육성선수 신분에서 정식선수로 전환되었다.[1]
9월 24일 잠실 두산전 9회초 데뷔 타석을 가졌으나 결과는 삼진이었고, 이후 몇 차례 1,3루 대수비와 대타로 출장했으나 안타가 없었다.
9월 30일 광주 KIA전에서 지명타자 스타팅으로 출장해 6회초 전상현을 상대로 2루타를 기록하며 1군 무대 첫 안타를 때려냈다. 이후 김한별의 적시타로 첫 득점을 기록했고, 다음 타석에서는 2루수 땅볼로 3루 주자를 불러들이며 첫 타점도 기록했다.
2.2.6. 2025 시즌
이호준 감독이 2군 거포 유망주에게 기회를 주겠다고 밝히면서 2시즌 연속 퓨처스 팀 내 가장 많은 홈런을 때려낸 한재환은 김범준, 송승환과 함께 감독이 투손 스프링캠프에서 작정하고 타격 훈련을 받았다. 김민규와 함께 스프링캠프 MVP로 선정되며 두각을 드러냈다. 귀국 인터뷰에서 시즌 목표로 프로 첫 홈런과 1군에서 버티기, 팀에 도움이 되는 타자가 되고 싶다는 각오를 밝혔고, 지역지인 경남도민일보 인터뷰에선 1군 무대에 최대한 얼굴을 많이 비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데뷔 후 처음으로 개막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3월 26일 대구 삼성전에서 8번타자로 1군무대에서 데뷔 후 처음으로 선발출장했다. 첫 번째 타석, 2사 만루에서 타구질은 좋았으나 3루수 방면 직선타로 물러났다. 이후 사구로 1타점, 세 번째 타석에선 적시타까지 때려냈다.
이후 주로 경기후반 대타나 1루 대수비로 출장하다가 4~5월 엔트리 등말소를 반복했다. 5월 18일 이준혁, 김범준과 함께 말소된 수 퓨처스에서 주로 3루수로 출장하며[2] 시즌을 마쳤다. 시즌 퓨처스 최종 기록은 타출장 .223/.326/.385, 50경기 148타수 33안타(4홈런) 24타점 15득점 2도루 18볼넷 47삼진.
3. 플레이 스타일
| |
| |
| 타격폼[3] |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수비인데, 2024 시즌 2군에서 코너 내야수로만 출전하면서 90경기 12개의 실책을 기록할 정도로 수비가 좋지 못하다. 앞으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선 수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4. 연도별 성적
| | ||||||||||||||||||
| <rowcolor=#fff> 연도 | 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sWAR |
| 2020 | NC | 1군 기록 없음 | ||||||||||||||||
| 2021 | ||||||||||||||||||
| 2022 | 군 복무 | |||||||||||||||||
| 2023 | 1군 기록 없음 | |||||||||||||||||
| 2024 | 7 | 9 | 2 | 1 | 0 | 0 | 1 | 1 | 0 | 0 | 3 | .222 | .222 | .333 | .555 | 26.9 | -0.08 | |
| 2025 | 16 | 31 | 5 | 0 | 0 | 0 | 2 | 4 | 0 | 2 | 14 | .185 | .290 | .185 | .475 | 36.6 | -0.03 | |
| KBO 통산 (2시즌) | 23 | 40 | 7 | 1 | 0 | 0 | 3 | 5 | 0 | 2 | 17 | .194 | .275 | .222 | .497 | 34.2 | -0.11 | |
5. 여담
- 좌우명은 "믿어라". 고등학교 때부터 인생의 모토라고 한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 한재환의 이전 등번호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C 다이노스 등번호 103번 | ||||
| 소이현 (2018) | → | <colbgcolor=#af917b><colcolor=#00275a> 한재환 (2020) | → | 김재중 (2021) | |
| NC 다이노스 등번호 85번 | |||||
| 김범준 (2020) | → | 한재환 (2021) | → | 오규택 (2022~2023) | |
| NC 다이노스 등번호 101번 | |||||
| 임지민 (2022) | → | 한재환 (2023) | → | 김민균 (2024~2024.9.1.) | |
[1] 한편 한재환의 자리를 만들기 위해 채원후가 웨이버 공시되었다.[2] 종종 1루수나 좌익수로도 출장했다.[3] 2024년 4월 21일 퓨처스 홈 KIA전 DH2 홈런, 2024년 9월 30일 광주 KIA전 2루타.(데뷔 첫 안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