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품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불변어 | <colcolor=#373a3c><colbgcolor=#32CD32,#165c16> 체언 | 명사 (의존명사) | 대명사 (인칭대명사) | 수사 | |
수식언 | 관형사 | 부사 | ||||
독립언 | 감탄사 | |||||
관계언 | 조사 | |||||
가변어 | 서술격 조사 | |||||
용언 | 동사 | 형용사 |
1. 개요
한국어의 동사를 설명한 문서이다.2. 특징
한국어는 동사가 형용사와 비슷하게 행동하며 개방 부류를 이룬다. 사실 한국어는 전통적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기에 한국어에서 형용사는 영어의 형용사와 달리 문장의 서술어가 될 수 있고, 활용 어미가 붙는 점으로 동사와 비슷하고, 서술격 조사와도 비슷하다. 맞다 문서도 참고. 하지만 그 행동이 완전히 같지는 않은데, 자세한 내용은 어미 문서 참고.2.1. 동사와 형용사의 구별
동사는 '-(느)ㄴ다', 명령형, 청유형, 현재 진행형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형용사는 그러한 형태로 사용할 수 없다.[1] 그러한 형태로 사용할 때 자연스러우면 동사, 부자연스러우면 형용사이다.
동사 (ex. 달리다) -> -ㄴ다 (달린다) 가능 -> 명령형 (달려라) 가능 -> 청유형 (달리자) 가능 -> 현재 진행형 (달리고 있다) 가능 |
형용사 (ex. 예쁘다) -> -ㄴ다 (예쁜다) 불가 -> 명령형 (예뻐라) 불가[2] -> 청유형 (예쁘자) 불가 -> 현재 진행형 (예쁘고 있다) 불가 |
2.2. 활용
기본형(基本形, 으뜸꼴)에 어미를 붙여 활용한다. 종결형(終結形, 마침꼴)과 접속형(接續形, 이음꼴)이 있다. 한국어/불규칙 활용 참고.2.3. 시제/상
- 여기 참고.
\'-고 있다'와 \'-아/어 있다'도 있는데, 능동형이면 진행상과 완료상 구별 없이 '-고 있다'만 쓰고, 피동형이면 진행상에는 '-고 있다'를 쓰며, 완료상에는 '-아/어 있다'를 쓴다. 이 '있다'도 동사이지만 감탄 등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다른 동사와 달리, 형용사처럼 \'-(느)ㄴ-'을 사용하지 않는다.
2.4. 태
능동태와 피동태(수동태), 사동태가 있다.3. 분류
3.1. 쓰임에 따른 분류
- 본동사(本動詞), 으뜸움직씨 – 주된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 보조용언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보조동사(補助動詞), 도움움직씨 – 본용언의 의미를 보충하는 동사.
3.2. 어미변화의 규칙성에 따른 분류
- 규칙동사(規則動詞), 바른움직씨 - 어미변화가 규칙적인 동사.
- 불규칙동사(不規則動詞), 벗어난움직씨 - 어미변화가 불규칙한 동사.
3.3. 목적어와 보어 유무/어미활용에 따른 분류
- 자동사(自動詞), 제움직씨 – 목적어가 없어도 뜻이 완전한 동사.
- 완전자동사(完全自動詞), 갖은제움직씨 – 보어가 없어도 뜻이 완전한 자동사 / 어미 활용이 완전한 자동사.
- 불완전자동사(不完全自動詞), 안갖은제움직씨 – 보어가 있어야만 뜻이 완전한 자동사 / 어미활용이 불완전한 자동사. 가로대, 가론의 꼴로 쓰이는 가로다가 있다.
- 타동사(他動詞), 남움직씨 – 목적어가 있어야만 뜻이 완전한 동사.
- 완전타동사(完全他動詞), 갖은남움직씨 – 보어가 없어도 뜻이 완전한 타동사 / 어미활용이 완전한 타동사.
- 불완전타동사(不完全他動詞), 안갖은남움직씨 – 보어가 있어야만 뜻이 완전한 타동사. 데리고, 데려, 데리러 꼴로 쓰이는 데리다와 달라, 다오 꼴로 쓰이는 달다가 있다.
불완전 동사 참조.
3.4. 동작의 주체에 따른 분류
- 주동사(主動詞) - 문장의 주체가 스스로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 사동사(使動詞), 하임움직씨 – 문장의 주체가 남에게 하도록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일반적으로 사동 접미사인 -이-, -히-, -리-, -기-, -구-, -우-, -으키-, -이우-, -이키-, -추-, -애-, -시키다를 사용한다.
- 능동사(能動詞), 제힘움직씨 – 주어가 제힘으로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 피동사(被動詞), 입음움직씨 - 남의 행동으로 하게 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일반적으로 피동 접미사인 -이-, -히-, -리-, -기-, -되다, -받다, -당하다를 사용한다.
'주동사'와 '능동사'는 같은 뜻이지만 대응 관계가 다르다.
3.5. 의미에 따른 분류
- 이동동사: 가거나 오는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
- 심리동사: 심리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
- 화행동사: 말을 나타내는 동사.
- 단언동사: 판정하고 생각하는 동사.
- 대칭동사: 여러 대상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동사.
- 수혜동사: 주거나 받는 물건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사.
- 지각동사: 오감을 통해 느끼는 동사
- 인지동사: 알고 모름을 나타내는 동사
- 기원동사: 원하는 바를 나타내는 동사.
- 재귀동사: 스스로에게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3.6. 상의 특성에 따른 분류
- 과정동사: 동작이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사.
- 순간동사: 순식간에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 지속동사: 지속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4. 문서가 생성된 한국어 동사 단어
5. 잘못 활용하기 쉬운 단어
- 꽃다 → 꼽다/꽂다
- 날으는 → 나는
- 낳다
- 도우다 → 돕다
- 떳다 → 떴다
- '띄다'와 '띠다'의 구별
- '바라다'와 '바래다'의 구별
- '붇다'와 '불다', '붓다'의 구별
- 사사받다 → 사사하다
- 삼가하다 → 삼가다
- 실다 → 싣다(보통 활용형으로 틀린다.)
- 얽히고설키다
- 이중 피동 표현
- 자주 틀리는 사동사
5.1. 형용사로 오해하지는 않는 단어
- 모르다
특히 관형사형인 '모른'을 '모르는'의 준말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고, '알다'의 관형사형인 '아는'의 반대말로 쓰는 모순이 일기도 하며, 과거를 나타내고 싶은 때에는 '몰랐던'을 대신 쓴다. - 위하다
'위하는'으로 활용해야 하는 자리에 '위한'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5.2. 형용사로 오해하기 쉬운 단어
- 맞다
그러면서도 관형사형으로는 '맞는'을 쓰는 경우가 많다. - 모자라다
형용사인 '부족하다'와 비슷한 뜻이라서 '모자라다'도 형용사로 착각하는 것.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뜻풀이대로는 '모자라 있다'라는 완료상도 쓸 수 있다. - 웃기다
'웃긴대학'이 그 사례. - '-고 있다', '-어 있다'
보조동사이나 형용사처럼 시제 보조사를 쓰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 틀리다
6. 기타
'가다', '오다'와 같은 이동동사들은 한국어에서 자동사와 타동사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사로 국어학계에서 유명하다. '여행을 가다', '회사를 가다'처럼, '가다'를 타동사처럼 쓸 수 있다. 이들 이동동사들은 일반적으로 피동문에서 쓸 수 없는 특징이 있다. 즉, 완전한 타동사는 아닌 셈.7. 다른 품사/접미사로도 쓰이는 단어
- 한국어의 5언 9품사 문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