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4 19:08:17

하마구치 하루히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9dec><tablebgcolor=#009dec>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24 시즌 투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11 아즈마 카츠키 · 13 이세 히로무 · 14 이시다 켄타 · 15 토쿠야마 소마 · 16 오오누키 신이치 · 17 미시마 카즈키 · 18 코조노 켄타
19 야마사키 야스아키 · 20 사카모토 유야 · 22 이리에 타이세이 · 24 요시노 테루키 · 26 하마구치 하루히로
27 가미차타니 다이가 · 30 미우라 긴지 · 33 타케다 리쿠 · 34 마츠모토 료토 · 35 하시모토 타츠야 · 36 모리시타 류다이 · 38 모리 유이토
40 마츠모토 류노스케 · 41 사사키 치하야 · 42 안드레 잭슨 · 43 후카자와 오스케 · 45 모리하라 코헤이 · 46 이시카와 타츠야 · 48 쿄야마 마사야 · 49 J.B. 웬델켄
53 나카가와 하야테 · 54 이시다 유타로 · 56 타카다 타쿠토 · 59 타이라 켄타로 · 62 로완 윅 · 64 나카가와 코오 · 65 미야기 다이타 · 69 앤서니 케이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하마구치 하루히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480><tablebordercolor=#009dec><tablebgcolor=#009dec>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타이요 훼일즈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 ~ 1977년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오카 마사미츠 마츠오카 코스케 야마시타 리츠오(1) 코타니 타다카츠 노무라 오사무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아라카와 타카시(5) 노구치 요시오 타케우치 히로아키 나가사키 케이이치 야마시타 다이스케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네모토 타카시 타무라 마사오 사이토 아키오 카도타 후미아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요코하마 타이요 훼일즈 ]
{{{#555555,#aaaaaa
1978년 ~ 1992년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타카모토 쇼이치(1) 스기나가 마사노부(1) 히로세 신타로(1) 미기타 카즈히코 오오하타 토오루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쵸시 토시오(1) 송광훈 나카야마 히로아키 토모리 유이(1) 모리타 코키(1)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타니시게 모토노부 사사키 카즈히로 미즈오 요시타카 사이토 타카시 코히야마 마사히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
{{{#555555,#aaaaaa
1993년 ~ 2011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카와하라 류이치(2) 키다 쇼이치 호소미 카즈시(2) 카와무라 타케오(2) 타니구치 쿠니유키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후루키 카츠아키(1) 타나카 카즈노리 우치카와 세이이치 하타 유지(1) 무라타 슈이치(2)
도이 류타로(2)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요시카와 테루아키(2)
모리 다이스케(2)
나스노 타쿠미(2)
소메다 켄사쿠(2)
야마구치 슌(3)
타카미야 카즈야(2)(4)
키타 아츠시(1)(3)
타카사키 켄타로(2)(4)
타나카 켄지로(1)(3)
코바야시 후토시(1)(4)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마츠모토 케이지로 쓰쓰고 요시토모 스다 코타 키타가타 유조(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555555,#aaaaaa
2012년 ~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시라사키 히로유키(1) 카키타 유타(1) 야마사키 야스아키(1) 이마나가 쇼타 하마구치 하루히로(1)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아즈마 카츠키 카미챠타니 타이가(1) 모리 케이토 이리에 타이세이 코조노 켄타
2022년 2023년
마츠오 시온 와타라이 류키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3) 고교생 드래프트, (4)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5) 지명 후 미입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9dec>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1950 1951~1952 1953 1954~1955 1956
이마니시 렌타로 타카노 히로요시 에다 코이치 곤도 마사토시 에다 타카시
<rowcolor=#ffffff> 1957~1958 1959 1960 1961 1962
오오이시 마사히코 스즈키 타카시 코다 마사루 아키야마 노보루 시마다 겐타로
<rowcolor=#ffffff> 1963~1965 1966 1967~1968 1969 1970~1971
이나가와 마코토 아키야마 노보루 모리나카 치카라 히라오카 이치로 히라마츠 마사지
<rowcolor=#ffffff> 1972 1973~1976 1977 1978~1980 1981~1982
야마시타 리츠오 히라마츠 마사지 와타나베 히데타케 히라마츠 마사지 사이토 아키오
<rowcolor=#ffffff> 1983~1987 1988 1989 1990~1991 1992
엔도 카즈히코 카케하타 미츠노리 사이토 아키오 나카야마 히로아키 노무라 히로키
<rowcolor=#ffffff> 1993~1994 1995 1996~1997 1998 1999
우도 카츠야 노무라 히로키 모리타 코키 카와무라 타케오 미우라 다이스케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2007
카와무라 타케오 코미야마 사토루 미우라 다이스케 요시미 유지 미우라 다이스케
<rowcolor=#ffffff> 2008 2009 2010 2011 2012
테라하라 하야토 미우라 다이스케 스티븐 랜돌프 야마모토 쇼고 타카사키 켄타로
<rowcolor=#ffffff> 2013 2014 2015 2016 2017~2018
후지이 슈고 미시마 카즈키 쿠보 야스토모 이노 쇼이치 이시다 켄타
<rowcolor=#ffffff> 2019~2020 2021 2022 2023 2024
이마나가 쇼타 하마구치 하루히로 아즈마 카츠키 이시다 켄타 아즈마 카츠키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등번호 26번
이데 쇼타로
(2011~2016)
<colbgcolor=#009dec> 하마구치 하루히로
(2017~)
현역
}}} ||
파일:show_img.jpg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No.26
<colbgcolor=#009dec> 하마구치 하루히로
濵口 遥大 / Hamaguchi Haruhiro
생년월일 1995년 3월 16일 ([age(1995-03-16)]세)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출신지 사가현 미야키군 키야마정
신체 173cm, 80kg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16년 신인 드래프트 1순위
소속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17~ )
연봉 2023 / ¥63,000,000

1. 개요2. 프로 입단 전3. 프로 입단 이후
3.1. 2017년3.2. 2018년3.3. 2019년3.4. 2020년3.5. 2021년3.6. 2022년3.7. 2023년
4. 투구 스타일5. 연도별 성적

1. 개요

일본의 프로야구 선수.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의 좌완 투수이다.

2. 프로 입단 전

초등학교 1학년 때 연식 야구부로 야구를 시작, 5학년때부터 투수로 전향했다. 중학교 때까지 연식 야구부에 있었지만 2학년까지 출전기회가 없어서 원래는 고등학교에서 야구를 그만두려고 했다고. 그러나 미야기 고교로 진학을 계기로 마음을 바꿔 야구부에 투수로 들어갔다. 고등학교 1학년 때 가을 대회에 앞두고 투수로 출전했다. 3학년부터 에이스로 춘계 현 대회 8강까지 진출, 여름에는 현 대회 예선 3라운드에서 탈락하며 고시엔에 나가지는 못했다. 어째 팀 선배와 판박이다

파일:20150628_1_1-1.jpg
가나가와 대학 진학 후 1학년부터 대학 리그에 출전했으며 2학년 춘계리그 우승, 3학년 춘계리그 우승으로 대학 최고의 좌완투수로 평가받았다. 대학 시절 국가대표로는 2학년 하렘 베이스볼 위크, 3학년 때 유니버시아드 대회, 4학년 미일 대학야구 대회에 출전했다.

2016년 제 52회 NPB 드래프트에서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에 1순위로 지명을 받았는데 사실 이전에 야나기 유야(메이지대, 주니치에 지명), 사사키 치하야(오비린대, 치바 롯데에 지명)를 요코하마 쪽에선 지명했지만 하필 주니치와 치바 롯데와 지명권 경합이 붙어버려서(...) 지명권 경합에 둘 다 져버리고 남아있던 투수 중 하마구치를 찍은 것. 계약금은 9천만엔(약 9억), 연봉 1500만엔(약 1억 5천)에 입단 계약을 마쳤다.

3. 프로 입단 이후

3.1. 2017년

연습경기와 시범경기에서 호투를 이어나간 덕분에 개막엔트리에 합류했다.
4월 2일, 개막 3차전 야쿠르트 원정에서 프로 데뷔 첫 등판을 5이닝 4실점(2자책)으로 마쳤다.
9일 주니치 원정에선 6.1이닝 6탈삼진 무실점 호투를 선보이며 2경기만에 시즌 1승이자 프로 데뷔 첫 승을 올렸는데 신인 좌완투수가 개막전 3경기만에 승리를 한건 팀 전신을 포함해도 1958년 이후 59년만의 기록이다.
18일 히로시마 원정경기에선 볼넷을 5개나 허용하며 투구수 조절에 애를 먹으며 5이닝 1실점(124구) 으로 승패를 기록하지 못했다.
25일 한신과 원정경기에서 여전히 제구력이 다소 흔들렸으나 6.2이닝 4볼넷 7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2승을 기록했다.

5월 2일, 요미우리 원정경기는 하필 스가노 토모유키와 맞붙는 바람에 팀 타선은 스가노에게 완봉으로 틀어막히고 하마구치 본인은 사카모토 하야토에게 솔로 홈런 포함 6이닝 4실점으로 시즌 첫 패를 떠안았다.
9일 주니치 원정에서는 지난 경기의 여파인지 4이닝 6실점(2피홈런)으로 크게 부진하며 시즌 2패를 기록. 16일 히로시마 오노미치 지방원정에선 여전히 크게 흔들리며 4.1이닝 6볼넷 5실점으로 3연패로 시즌 3패를 기록하며 프로의 쓴맛을 제대로 느끼는 중. 23일 주니치와 홈경기드디어 홈 경기에서조차 4.2이닝 4볼넷 4실점(3자책)으로 갈피를 못 잡는 중.
30일 니혼햄과의 교류전 개막에서 7이닝 5탈삼진 무실점으로 시즌 3승을 따내며 회복세를 보였다.

6월 6일 라쿠텐과 교류전 원정에선 7이닝 4볼넷 9탈삼진 1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4승째.
14일 치바 롯데와 교류전 홈경기는 5.1이닝 1실점 7탈삼진으로 3연승과 동시에 시즌 5승째를 기록했다.
27일 히로시마와 홈경기에선 7볼넷이나 허용하며 130구나 던지는 와중에도 실점을 줄이며 6이닝 2실점(ND)으로 틀어막았다.

7월 5일 한신전에서 6볼넷이나 내주며 흔들렸지만 6.2이닝 7탈삼진 1실점으로 틀어막으며 시즌 6승에 성공했다.
12일 히로시마 원정전에 선발 등판했으나 왼 어깨에 갑작스런 위화감을 느낀 탓에 3이닝 2실점으로 조기강판됐다. 시즌 4패째. 제구력은 아쉽지만 프로 1년차 신인 투수치고 상당한 기량을 보여주던 터라 요코하마 입장에선 상당히 아쉬운 상황. 결국 감독 추천으로 포함되었던 올스타게임에서도 하차.[1]

재활을 마치고 8월 13일 1군으로 복귀하여 곧바로 한신과의 홈경기에서 6이닝 1실점 8탈삼진의 건재를 과시하며 시즌 7승을 거뒀다. 그러나 20일 요미우리 원정에서 다시 고질적인 제구문제에 발목잡히며 5이닝 6실점을 시즌 5패를 당했다.

이후 엘리미네이션 게임이 된 2017년 일본시리즈 4차전에서 큰 부담감을 안은 채로 선발 등판했으나, 7회 1아웃까지 노히트를 기록하며 7.2이닝 2피안타 무실점의 호투로 팀을 벼랑 끝에서 구해냈다.

10승에 일본시리즈에서의 맹활약으로 강력한 신인왕 후보였으나 신인왕 투표에서는 주니치 드래곤즈교다 요타에게 밀려 신인왕 수상에는 실패했다. 다만 신인왕을 수상한 교다 요타는 141경기에 출전하면서 센트럴 리그 역대 신인 시즌 안타 2위인 149안타와 23도루를 기록했기 때문에 교다의 신인왕 수상에는 이론의 여지는 있을 수는 있어도 자격에 대한 논란은 없었던 반면 신인왕 투표에서 간사이 지역의 기자들이 고작 73경기에 시즌 타율 .237리에 그친 한신 타이거스의 오야마 유스케에게 몰표를 주면서 하마구치가 신인왕 투표 3위로 밀려나는 바람에 논란이 일어났다. 명불허전. 오야마가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신인답지 않게 맹활약하면서 다음 시즌의 기대치를 높이기는 했지만 그렇게 따지면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부터 활약하고 일본시리즈에서는 우수투수상까지 수상한 하마구치의 활약이 훨씬 뛰어났다는 점에서 그 쪽 동네의 맹목적인 한신 사랑이 빈축을 샀다. 센트럴 리그에서는 시즌부터 포스트시즌까지 뛰어난 활약에도 불구하고 신인왕 수상에 실패한 점을 고려하여 신인 특별표창을 수여해서 하마구치를 위로했다.

3.2. 2018년

시범경기 기간에 진행될 호주와의 평가전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나 스프링캠프에서 불편함을 느낀 왼쪽 어깨에 위화감이 사라지지 않아서 대표팀에는 불참하였다. 개막 이후에도 어깨 상태가 호전되지 않아서 시즌을 2군에서 시작했고 5월 12일 야쿠르트전에서 시즌 첫 등판을 하게 되었다.

7월 1일 히로시마전에서는 3회초 선두타자였던 다나카 고스케를 몸에 맞는 공으로 출루시키더니 3회가 끝날때까지 사사구를 7개나 내 주며 심각한 제구난조를 보였다.재비어 바티스타는 고의사구이긴 하지만 이 경기에서 하마구치는 1이닝 6볼넷(센트럴리그 공식전 타이 기록), 1이닝 동안 5타자 연속볼넷(NPB 역사상 11번째 1 군 공식경기 타이 기록), 1이닝 동안 4타자 연속 밀어내기 볼넷(NPB 공식전 사상 71년만 두 번째, 양대리그이후 1950년 이후 처음 기록)을 동시에 달성하는 안 좋은 의미로 대기록을 달성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9경기 4승 5패, 방어율 3.90 시즌 종료 후 11월에 개최되는 미일야구에 참가하게 되었고 이번에는 대표팀에 승선하였다.

3.3. 2019년

어깨 부상으로 부진했던 지난 시즌과는 다르게 올해는 개막을 1군에서 맞이하였다. 첫 등판은 4월 3일 야쿠르트 원정경기 등판이었는데 제구 불안으로 위태위태 했으나 6이닝 1실점으로 꾸역꾸역 막아내었다. 그러나 팀은 팻튼의 불쇼로 패배.

4월 10일 한신전에서는 볼넷을 7개나 남발하면서 보는사람 속터지는 피칭을 했으나 피안타는 단 1개만을 허용하면서 완봉승을 거두었다. 7사사구 1피안타 완봉승은 58년만에 나온 기록이며 센트럴리그 한정으로는 최초의 기록이다.

3.4. 2020년

개막 직후인 6월까지는 순항중이었지만 7, 8월 들어서 불안감을 보이는 피칭을 선보이면서 흔들렸다. 9월에 3승을 거두면서 안정감을 찾나 싶었는데 10월이 되자 투구 밸런스가 완전히 개판이 되면서 처참하게 망했다.

10월 3일 주니치전에서 1.1이닝만에 8실점을 하며 박살이 난데 이어서 10월 10일 한신전에서도 극도의 제구력 난조로 인해 1.1이닝만에 강판되었다. 이날 이후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고 시즌을 마감.

3.5. 2021년

개막전에서 선발 투수로 올라왔으나 부진한 투구를 보이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시즌 초반부터 팀 선발진이 막장이 되는 와중 갈수록 좋은 피칭을 선보이며 그나마 믿을만한 선발로 자리매김 하는 중. 교류전 기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를 상대로 완봉승을 기록하면서 평균자책점을 2점대 중반까지 낮추는데 성공. 지난 몇 년간의 침체를 딛고 일어나는 듯 했지만 교류전 휴식기가 끝나자마자 귀신같이 본래의 실력으로 회귀하며 난타당하기 시작했고 8월 31일 히로시마전에서 2.1이닝 4실점으로 조기에 무너지면서 강판. 이 경기를 끝으로 1군에서 말소되어 그대로 시즌을 마쳤다.

3.6. 2022년

개막 이후 첫 등판은 8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했으나 직후 코로나에 걸려 5월 후반이 되어서야 선발 로테이션에 복귀했다.

그 동안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제구력이 눈에 띄게 좋아져 볼넷 수가 상당히 줄어들었고, 이닝도 데뷔 시즌 이후로 못했던 100이닝 소화에 성공하는 등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3.7. 2023년

작년에 보여준 개선점은 어디로 가고 초반부터 등판하는 족족 게임을 터트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 투구 스타일




평균 140km초반, 최고 150km의 강력한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체인지업, 커브, 포크볼을 구사한다. 신장이 173cm으로 단신이지만 패스트볼과 체인지업의 구위가 신인투수치고 상당한 편. 구사율이 낮지만 포크볼도 위력적이다.

문제는 폭투왕 저리가라 할 정도로 극악한 제구력. 빼어난 구위로 탈삼진은 많이 잡지만[2] 그 반대급부로 볼넷이 심각하게 많다.[3] 대학 시절에도 좋은 구위에 비해 제구력은 좋지않다는 평가였는데 프로 입단 이후에는 수준 차이로 인해 제구력 난조가 더 극명하게 나타나는 중이다. 향후 커리어에 있어서도 제구력의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본 제구력이 좋지않고 주로 구위를 통한 승부를 하는 피칭 스타일 때문에 매 경기마다 기복이 심하다. 제구가 잘 되는 날은 강력한 패스트볼 구위와 결정구로 들어오는 체인지업이 극강의 시너지를 내며 무시무시한 피칭을 펼치지만 그렇지 않은 날에는 공이 가운데로 몰리며 먼지나게 얻어터지거나 사사구를 남발하며 자멸하는 모습을 보인다.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NPB)
년도 소속팀 경기수 선발 완투 완봉 이닝 ERA 피홈런 사사구 탈삼진 WHIP
2017 DeNA 22 22 0 0 123.2 10 6 0 3.57 9 71 136 1.50
2018 19 18 0 0 94.2 4 5 1 3.90 9 51 92 1.48
2019 17 16 2 2 82.1 6 5 1 3.17 8 41 85 1.18
2020 16 16 0 0 78.1 6 5 0 4.60 8 50 67 1.67
2021 17 17 1 1 91.1 5 7 0 3.94 8 55 84 1.37
2022 19 19 0 0 112.1 8 7 0 3.36 8 35 88 1.22
2023 14 13 1 0 68 3 7 0 4.50 6 35 56 1.56
NPB 통산
(7시즌)
124 121 4 3 650.2 42 42 2 3.80 56 341 613 1.42

[1] 팀 동료인 이노 쇼이치가 대체선수로 들어갔다[2] 7월 중의 어깨부상때문에 규정이닝 미달이긴 하지만 9이닝당 삼진이 10개가 넘어간다.[3] 8월 22일 기준으로 센트럴리그 최다 볼넷 2위, 9이닝당 볼넷이 5.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