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30 01:01:30

최기복

최기복
崔基福
파일:최기복.jpg
<colbgcolor=#152484> 성명 최기복(崔基福)
출생 1946년 8월 1일 ([age(1946-08-01)]세)
충청남도 서천군
거주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오성로
학력 서천국민학교(현 서천초등학교)
서천중학교
서천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정경대학(정치외교학과)
소속 정당
현직 진짜 대한민국 선거대책위원회 충남도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충청효교육원 원장
충청창의인성교육원 이사장
한국효단체총연합회장
1. 개요2. 생애
2.1. 정치 활동
3. 선거 이력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2. 생애

1946년 8월 1일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태어났다. 서천국민학교[1], 서천중학교, 서천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고려대학교 졸업 후 삼성그룹에 잠시 근무하기도 하였다.

2.1. 정치 활동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전 총재의 특별보좌로 활동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주공화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곽정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부산광역시 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홍인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홍인길 전 의원이 한보그룹 비리 건으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자 치러진 1998년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부산광역시 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정문화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부산광역시 서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김영오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부산광역시 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정문화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정치적 기반을 고향인 충청도로 옮겼다. 2005년 자유민주연합국민중심당의 통합을 촉구하는 범충청 하나로연합의 상임의장을 맡고 국민중심당에 창당 발기인으로 참여한 후, 입당했다.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국민중심당 대전광역시장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공천 관련 문제로 잡음[2]이 발생해 탈당했다. 국민중심당 측은 '피해망상적 오해가 빚어낸 갈등'이다라는 논평을 발표해 최기복 예비후보를 강하게 비판했다. 2006년 4월 3일, 한국의미래를준비하는당에 잠시 입당해 한미준 대전시당위원장을 역임했으나, 얼마 안 가 특별헌금을 요구받았다는 사실을 밝히며 탈당했다. 5월 13일, 이삭줍기에 나선 민주당에 입당했다.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대전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박성효 후보에 밀려 5위로 낙선하였다.[3]

이후 민주당 대전 서구 을 지역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07년 11월 6일 제17대 대통령 선거 이회창 후보 캠프에 합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충청의미래당 소속으로 충청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2022년 5월 31일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후보직을 사퇴하였다.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 국면에서 진짜 대한민국 선거대책위원회 충남도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1,639 (1.50%) 낙선 (3위)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당(1991년)|
민주당
]]
12,841 (13.62%) 낙선 (2위)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4,872 (6.04%) 낙선 (4위)
1998 1998년 재보궐선거

748 (1.34%) 낙선 (9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서구청장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10,896 (19.37%) 낙선 (3위)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2,609 (3.88%) 낙선 (5위)
2006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전광역시장

[[민주당(2005년)|
민주당
]]
6,442 (1.20%)
202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후보 사퇴 [4]
역대 후보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신민주공화당 심볼.svg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직할시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도 부산진 을
이만웅 최기복 한기승 노차태 강경식
동래 갑 동래 을 남 갑 남 을 북 갑
도상수 양찬우 최인규 왕찬권 김용호
북 을 해운대 사하 금정
김종필 이건일 조영래 문용한
민주정의당 · 통일민주당 · 평화민주당 · 신민주공화당 · 신한민주당 · 민주한국당 · 한겨레민주당 · 민중의당 · 우리정의당 · 한주의통일한국당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직할시 서구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1 민주정의당 곽정출
2 통일민주당 김영삼 당선
3 신민주공화당 최기복
4 우리정의당 신순기
5 무소속 김일택
· · · 영도 · 부산진 갑 · 부산진 을 · 동래 갑 · 동래 을 · 남 갑 · 남 을 · 북 갑 · 북 을 · 해운대 · 사하 · 금정
131415재보궐16171819
}}}}}}}}}}}}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로고.svg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직할시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도 부산진 갑
조상태 최기복 노무현 김정길 이흥록
부산진 을 동래 갑 남 갑 남 을 북 갑
황백현 정인조 송정섭 손태인 안경률
북 을 해운대 사하 금정 강서
배갑상 최달웅 김영백 김재규 오세호
민주자유당 · 통일국민당
서울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시장 인천시장 광주시장 대전시장
박주선 신경철 박광태 최기복
경기지사 강원지사 전북지사 전남지사
박정일 유재규 정균환 박준영
}}}}}}}}}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1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2 국민의힘 김태흠 당선
4 충청의미래당 최기복 사퇴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대구 · 경북 · 부산 · 울산 · 경남 · 제주
1960년12345678 }}}}}}}}}}}}

[1] 현 서천초등학교.[2] 예비후보로 등록한 유일한 당원인 자신을 배제한 채 예비후보 등록조차 하지 않은 다른 후보군을 대전시장 후보로 거론한 것이 주 원인이다.[3] 한편 국민중심당에서는 남충희 후보를, 한미준에서는 고낙정 후보를 공천했으나, 두 후보 역시 각각 3위, 6위로 낙선했다. 고낙정 당시 무소속 예비후보는 최기복 탈당 후인 5월 15일 한미준에 입당해 하루만에 확정 공천되었다.[4]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 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