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천년민주당 | → | 민주당 | → | 중도통합민주당 |
| ''' 2004.5.30. ~ 2008.5.29.''' {{{#!wiki style="margin: 3px 0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 여당 | |||||||
| 152석 | ||||||||
| 야당 | ||||||||
| 121석 | 10석 | |||||||
| 9석 | 4석 | 1석 | ||||||
| 무소속 2석 | ||||||||
| 재적 299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후반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 여당 | ||||||
| 143석 | ||||||||
| 야당 | ||||||||
| 123석 | 11석 | |||||||
| 9석 | 5석 | |||||||
| 무소속 4석 | ||||||||
| 재적 295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종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 111석 | ||||||||
| 야당 | ||||||||
| 136석 | 9석 | |||||||
| 6석 | 3석 | 1석 | ||||||
| 무소속 25석 | ||||||||
| 재적 291석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50%; margin: 0 -10px" {{{#!folding [ 원내 정당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 2004.05.30.~2007.08.20. | 2004.05.30.~2008.05.29. | 2004.05.30.~2008.05.29. | ||||
| 2004.05.30.~2005.05.06. | 2004.05.30.~2006.03.10. | 2004.05.30.~2004.09.13. | ||||||
| 2005.05.06.~2007.06.27. | 2006.01.17.~2008.02.12. | 2007.05.07.~2007.06.27. | ||||||
| 2007.06.27.~2007.08.20. | 2007.08.05.~2008.02.17. | 2007.08.20.~2008.02.17. | ||||||
| 2007.09.28.~2008.02.24. | 2007.10.30.~2008.05.23. | 2008.02.01.~2008.05.29. | ||||||
| 2008.02.17.~2008.05.29. | 2008.03.17.~2008.03.21. | 2008.03.21.~2008.05.29.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50%; margin: 0 -10px" {{{#!folding [ 역대 국회 ] {{{#!wiki style="margin: -6px -1px" | |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 |||||||
| ※ 아래 정보는 해산 당시를 기준으로 함 | |
| | |
| 민주당 | |
| <colcolor=#00736d> 다른 표기 | <colbgcolor=#ffffff,#1c1d1f>Democratic Party(DP), 民主黨 |
| 등록번호 | 제82호 |
| 등록일 | 2000년 1월 20일 (새천년민주당) |
| 당명 변경 | 2005년 5월 17일 (민주당) |
| 해산일 | 2007년 6월 29일 (중도통합민주당으로 합당) |
| 대표 | 박상천 / 4선 (13-16대) |
| 원내대표 | 김효석 / 재선 (16·17대) |
| 사무총장 | 고재득 |
| 정책위의장 | 최인기 / 초선 (17대) |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창전로 60 서강빌딩 5층 (구수동)(~ 2005.10.)[1]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7 신송빌딩 12층 (여의도동)(2005.10. ~)[2] | |
| 국회의원 | 14석 / 299석 (4.68%) |
| 광역자치단체장 | 2석 / 16석 (12.5%)[3] |
| 기초자치단체장 | 20석 / 230석 (8.7%) |
| 당 색 | 청록색 (#00736D) |
| 정책연구소 | 국가전략연구소 |
| 당원 수 | 436,330명 |
| 공식 사이트 | |
1. 개요
| |
하지만, 이후 중도통합민주당이 다시 갈라지면서 같은 당명과 로고를 가진 정당으로 돌아왔다.
2. 역사
| 민주당계 정당 | ||||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1998 ~ 2008)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 국민의 정부 이전 | |||
| 새정치국민회의 | ||||
| 새천년민주당 | ||||
| 개혁국민정당 | ||||
| 열린우리당 | 새천년민주당 | |||
| 민주당 | ||||
| 열린우리당 | 중도개혁통합신당 | |||
| 중도통합민주당 | ||||
| 열린우리당 | 대통합민주신당 | |||
| 대통합민주신당 | 민주당 | |||
| 참주인연합 | 대통합민주신당 | |||
| 통합민주당 | ||||
| ▼ 참여정부 이후 | ||||
|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보수정당(국민) 보수정당(참여) | ||||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
| 참여정부 ~ 이명박 정부 (2003 ~ 201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 ▲ 참여정부 이전 | |||||||
| 새천년민주당 | 민주국민당 | 국민통합21 | 하나로국민연합 | 자유민주연합 | ||||
| 정당등록취소 | 자유민주연합 | |||||||
| 열린우리당에서 분당 | 민주당 | 화합과 도약을 위한 국민연대 | 창조한국당 | 정당등록취소 | 국민중심당 | 자유민주연합 | ||
| 중도개혁통합신당 | 자유선진당 | 정당 해산 | ||||||
| 중도통합민주당 | 자유선진당 | |||||||
| 민주당 | ||||||||
| 통합민주당으로 합당 | 정당 해산 | |||||||
| 평화민주당 | 국민행복당 | 녹색통일당 | 제3신당 | 국민생각 | 국민중심연합 | 자유선진당 | ||
| 국민행복당 | 정통민주당 | 자유선진당 | ||||||
| 정당등록취소 | ||||||||
| 자유선진당 | ||||||||
| 선진통일당 | ||||||||
| 새누리당에 합당 | ||||||||
| ▼ 이명박 정부 이후 | ||||||||
2.1. 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새천년민주당은 17대 총선 이후 광주+전남 지역 정당으로 전락해 별볼일 없는 모습을 보여주다가, 정통성을 강화한다는 명분으로 2005년 5월 17일, 당명을 민주당으로 바꿨다.당시 새천년민주당은 열린우리당 분당 이후 2003년 150만 명에 육박했던 당원 수가 2004년 7~8만 명으로 급감했으며, 비호남 지역 시도당 당원 수는 아예 네 자릿수를 기록할 정도로 조직이 붕괴되었다. 그러나 이후 호남, 특히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당세를 확장하면서 2005년 다시 30만 명 선을 돌파했다.[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전남권(광주+전남)에서 광역자치단체장을 두 명 배출하고, 기초자치단체장도 20명 당선되는 등 나름대로 선전했다. 당시에는 신한국당+통합민주당=한나라당처럼 한나라당+민주당 합당도 거론됐다.
이후 2006년 재보궐선거에서 성북구 을을 조순형이 예상을 뒤집고 차지하면서, 재보궐선거와 열린우리당에서 탈당한 의원을 영입하는 방식으로 교섭단체 지위 회복을 노렸다.
- [ 4회 지선 지방자치단체장 후보 ]
- || 선거구 || 후보 || 경력 || 기타 ||
서울시장 박주선 전 국회의원 인천시장 신경철 인천시의원 광주시장 박광태 광주시장 당선 대전시장 최기복 범충청하나로연합 상임의장 경기도지사 박정일 전 삼성SDS 동경사무소장 강원도지사 유재규 전 국회의원 전라북도지사 정균환 전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박준영 전남도지사 당선 종로구청장 정흥진 전 종로구청장 중구청장 최형신 전 서울시의원 용산구청장 성장현 전 용산구청장 성동구청장 정병채 한국청소년한마음연맹 법인이사 광진구청장 김기동 전 광진구 부구청장 동대문구청장 유운영 전 자민련 대변인 중랑구청장 강병진 전 수산대 교수 성북구청장 조경복 치과의사 강북구청장 신승호 강북구의원 도봉구청장 심상대 전 광주KBS보도국장 노원구청장 김학주 새천년민주당 인권위 부위원장 은평구청장 송재영 전 참여정부 대통령인수위 자문위원 서대문구청장 이동거 전 서울시의원 마포구청장 정형호 세무사 금천구청장 나이균 전 평민당 지구당위원장 동작구청장 김기옥 전 동작구청장 관악구청장 김희철 관악구청장 서초구청장 정내현 전 통역장교 송파구청장 김종호 의사 영도구청장 한영중 전 영도구장애인협회 자문위원장 강서구청장 윤무헌 가락위탁영농합자회사 대표 인천 중구청장 김기성 중구의원 인천 동구청장 윤대영 동구의원 인천 남구청장 신영현 전 조선대 총학생회장 연수구청장 박광래 신흥대 외래교수 남동구청장 신맹순 전 인천시의회 의장 부평구청장 곽영기 전 부평구청 총무국장 계양구청장 윤창호 전 인천시의원 인천 서구청장 권중광 전 서구청장 광주 동구청장 유태명 전 동구 부구청장 당선 광주 서구청장 전주언 전 동구 부구청장 당선 광주 남구청장 황일봉 전 광주시의원 당선 광주 북구청장 송광운 전 전라남도 행정부지사 당선 광산구청장 전갑길 전 국회의원 당선 수원시장 이대의 푸른정치포럼 대표 성남시장 장영하 전 성남지원 판사 안양시장 김규봉 메리카코리아나 사장 광명시장 방호현 전 광명시의원 양주시장 윤광노 전 양주시청 총무국장 안산시장 김동현 변호사 의왕시장 김원봉 전 경기도의원 구리시장 박효영 전 경기도의원 남양주시장 김종범 남양주시의원 오산시장 임명재 전 오산시의원 시흥시장 이명운 시흥시의원 군포시장 임채영 전 명지대 강사 하남시장 김시화 전 하남시의원 이천시장 이세구 전 경기도의원 김포시장 김창집 전 김포시의원 광주시장 이윤수 전 국회의원 원주시장 이용옥 북원문화역사연구회장 영월군수 이상춘 전 KBS 기자 양구군수 박경섭 대한적십자사봉사회 양구지구협의회장 연기군수 이성원 연기새마을금고 이사장 전주시장 진봉헌 전주지방변호사회 회장 군산시장 문동신 전 농업기반공사 사장 당선 익산시장 허영근 전 전북도의원 정읍시장 이민형 전 국무총리실 과장 남원시장 최중근 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당선 김제시장 최수 전 전라북도 농림수산국장 완주군수 임정엽 전 전북도의원 당선 진안군수 김정길 전 진안군의원 무주군수 강평수 전 경제기획원 부이사관 장수군수 배한진 춘추건설대표 임실군수 박영은 금광파이프 대표 고창군수 이강수 고창군수 당선 부안군수 이병학 전 전북도의원 당선 목포시장 정종득 목포시장 당선 여수시장 오현섭 전 전라남도 행정부지사 당선 순천시장 노관규 전 대검중수부 검사 당선 나주시장 김대동 전 나주시장 광양시장 이성웅 광양시장 당선 담양군수 이정섭 전 담양읍장 당선 장성군수 이병직 전 전남도의원 곡성군수 허기하 전 전남도의원 구례군수 전경태 구례군수 고흥군수 박병종 전 전남도의원 당선 보성군수 정종해 전 기획예산처 부이사관 당선 화순군수 전형준 다산건설 대표이사 당선 장흥군수 김성 전 전남도의원 강진군수 황주홍 강진군수 당선 완도군수 박현호 전 광양시 부시장 해남군수 박희현 해남군수 당선 진도군수 김경부 진도군수 영암군수 장경택 남해화학 대표이사 무안군수 나상옥 목포무안신안 축협조합장 영광군수 정기호 전 전남도의원 함평군수 안병호 성화대 겸임교수 신안군수 김청수 우리소금살리운동본부 상임대표 함양군수 최은아 인산암센터 대표이사
- [ 재보궐선거 후보 ]
- || 200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 부천시 원미구 갑 || 조용익 || 변호사 || ||
200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경기 광주시 이상윤 전 광주시 생활체육협의회장 2006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성북구 을 조순형 전 국회의원 당선 2006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부천시 소사구 조영상 변호사 2006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남동구 을 김완용 남동구 재향군인회장 2006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해남군 진도군 채일병 전 행정자치부 인사국장 당선 2007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무안군 신안군 김홍업 전 아태재단 부이사장 당선
2.2. 중도통합민주당으로 합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도통합민주당#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도통합민주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07년 6월 27일, 열린우리당 김한길계가 집단 탈당하여 창당한 중도개혁통합신당과 신설 합당하여 중도통합민주당으로 탄생했다. 기존 민주당 창당년도는 2000년이지만[5] 신설 합당을 하였기 때문에 창당년도가 2007년이 되는 것이다. 이 합당으로 소속 의원 34명이 되어 원내교섭단체가 되었다.
이후의 역사는 중도통합민주당 문서 참고.
3. 역대 지도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한화갑 | 제2대 한화갑 장상 | 제3대 박상천 | |
- 대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이낙연 | 제2대 김효석 |
| }}}}}}}}}}}}}}} | ||
4. 역대 선거결과
4.1. 지방선거
-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2. 재보궐선거
| 연도 | 국회의원 | 광역단체장 | 기초단체장 | 광역의원 | 기초의원 |
| 2005년 10월 | 0 / 4 | ||||
| 2006년 7월 | 1 / 4 | ||||
| 2006년 10월 | 1 / 2 | 0 / 4 | 0 / 1 | 0 / 2 | |
| 2007년 4월 | 1 / 3 | 0 / 6 | 0 / 6 | 6 / 38 | |
5. 당가
기존 새천년민주당 당가에서 가사만 바꿨으며, 2007년 민주당도 같은 당가를 사용했다.| 1절 찬란한 새 아침이 이 땅을 비출 때면 희망찬 내일 밝게 열린다 우리 함께 달린다 너와 나 하나 되어 힘차게 나아가자 민주당 새 시대 새 희망 창조하는 민주당 2절 화합과 개혁의 정치를 우리가 이뤄나갈 때 밝은 미래와 희망의 나라 우리 앞에 열린다 정의와 평화를 이루어 힘차게 나아가자 민주당 새 시대 새 희망 창조하는 민주당 후렴 새 시대 열어가는 새 희망 민주당 |
6. 기타
- 새천년민주당 시절에는 전국정당의 면모를 갖추었으나, 열린우리당 분당 이후 비호남 지역의 조직력이 붕괴했다. 비호남권 조직력은 2007년까지도 회복하지 못했지만, 광주전남 지역의 조직력은 오히려 분당 이후에도 더 많은 당원들이 입당하면서 더 강화되었고, 2004년 7~8만 명으로 급감한 당원 수를 2005년 다시 30만 선으로 끌어올리는 데 일조했다. 같은 호남권인 전라북도의 경우 2005년까지 조직력에 큰 타격을 입고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전라북도지사를 열린우리당에 내주었지만, 이후 2만 명에 불과하던 전북도당 당원 수가 10만 가까이 늘며 2006년에는 광주시당과 전남도당의 당원 수를 추월했다. 총 당원 수 역시 전북도당의 당세 확장으로 2007년 40만 선을 돌파했다.
[1] 새천년민주당 시절,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패한 후 새출발이라는 명목으로 2004년 12월에 당사를 마포구로 옮겼다. #[2] 2005년 10월에 기존 당사가 있었던 여의도로 복귀하였다. #[3] 박광태 (광주광역시장), 박준영 (전남지사).[4] 광주광역시 96,197명, 전라북도 21,509명, 전라남도 147,883명으로, 2003년에 비해 4만 명의 당원이 감소하는 등 조직에 큰 타격을 입은 전라북도를 제외한 두 지역에서는 당원 수가 분당 이전보다 증가했다.[5] 2000년 창당 당시에는 새천년민주당.[6] 역사상 첫 남녀 공동대표 체제.[7] 한화갑이 불법 정치자금 수수 유죄로 사퇴, 이후 장상 단일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