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fff> 공채 이전 | <colbgcolor=#ffffff,#1c1d1f>구봉서† · 배삼룡卍 · 서영춘卍 · 권귀옥 · 김희자 · 이기동★ · 이영일 ★· 이대성† · 이순주† · 손치원 · 유하나 · 남성남卍 · 배연정 · 배일집 · 남철† · 문영미[KBS] · 김영하 · 신소걸† · 이병희 ★· 장고웅 · 김병조 · 이홍렬 · 강석 · 주병진 · 홍우례 · |
탤런트 1기(1975) | 이규혁 · 이기철✟· 이용식 | |
탤런트 2기(1978) | 김한일 · 노한욱 ★ · 박미애 · 여정건 · 이문식 · 정애자 · 한무 | |
탤런트 3기(1980) | 김덕성 · 김학성 · 김종석 · 나도국 · 정귀영 · 정부미 · 근종기 · 박경순 · 김혜영 · 전정희 · 김영옥 · 원경애 · 이효신 · 정성월 · 이은순 · 최미진 · 한월순 | |
콘테스트 1기(1981) | 최양락[KBS][SBS] · 엄영수[KBS] · 이상운[KBS] · 김보화 · 이경규 · 이경래[KBS] · 박세민 · 김정렬 · 김혜영 · 김명덕 · 이철구★ | |
콘테스트 2기(1982) | 최병서 · 황기순 · 김문섭 · 김창준 · 이원승 | |
탤런트 4기(1983) | 김복배 · 단덕수 | |
콘테스트 3기(1983) | 장용 · 지영옥[KBS] · 김종석 · 김은우 · 배영만 · 정재환 · 이재포 · 노유정 | |
탤런트 5기(1984) | 김상호 · 박창현 · 임성균 · 조재호 | |
1기 (1987) | 이경실 · 정재윤 · 김은태 · 이현주 · 김성은 · 최홍림 · 정이래 | |
2기 (1988)[8] | 이옥주 · 박미선[SBS] · 손병재 · 정진수 · 김형진 · 이웅호[SBS] | |
2기 (1989)[11] | 서승만 · 김종하 · 김완섭 · 이명리 · 신경숙 · 최왕순 | |
3기 (1991), (1992) | 최성훈 · 이영자 · 이휘재 · 김한석 | |
4기 (1993) | 홍기훈 · 서경석 · 이윤석 · 박명수 · 김학도 · 표영호 · 나경훈 · 오승환 · 서춘화 · 김수진 · 이은혜 · 박경아 · 장경란 · 강호동 · 전영준 · 표명선 | |
5기 (1994) | 정찬우[SBS] · 김태균[SBS] · 정성한 · 김가연[배우] · 김광회 · 김철민† · 김소정 · 조훈성 · 임은실 · 배태선 | |
6기 (1995) | 한재진 · 이정용 · 김장렬 · 양신강 · 이희찬 · 장수정 · 이희진 · 최진희 · 이은지 · 안선희 · 김진수 · 김효진 · 정준하 | |
7기 (1996) | 김현철 · 노정렬 · 최현진 · 전영미 · 정경숙· 이은애 · 서태석 | |
8기 (1997) | 고명환 · 문경훈 · 배호근[배우] · 전광희 · 차승환 · 이태일 · 김상준 · 김준호 · 박혜숙 · 여윤정 | |
9기 (1998) | 정성호 · 고정호 · 강우석 · 방용화 · 이칠선 | |
10기 (1999) | 이혁재 · 박희진 · 문천식 · 라윤경 · 박은헌 | |
11기 (2000) | 장재영[SBS] · 손헌수 · 이진환 · 최병임 · 이우제[SBS] · 정용국[SBS] · 안선영 · 유재원 | |
12기 (2001) | 이은호 · 김선정 · 양헌 · 조인기[SBS] · 양철수 | |
13기 (2002) | 추대엽 · 조해욱 · 김수미 · 김미연 · 윤설란 | |
14기 (2004) | 오나연 · 이선미 · 전환규 · 김완기 · 문용현 · 곽신봉 · 임준혁[SBS]★ | |
15기 (2006) | 김두영 · 김주연 · 류경진 · 이문원 · 안용진 · 이국주 · 조승제 · 채명성 · 신동수 · 함효주† · 송병철[KBS] · 이승윤[KBS] · 김주철 · 조현민 · 오정태 · 이종호 · 김미려 · 김철민 · 박동근 · 홍가람 | |
16기 (2007) | 성은채 · 김경진 · 황제성 · 박초은 · 최우람 · 유정승 · 이석재 · 이시온 · 이태영 · 홍성진 · 김대성[KBS] · 허안나[KBS] | |
17기 (2008) | 천수정 · 권영기 · 기승미 · 송슬기 · 유대은 · 유상엽 · 정이랑 · 조성미 · 최설아 · 홍훤[KBS] | |
18기 (2009) | 근현 · 박지후 · 박진용 · 양해림 · 이지성 · 이지수 · 이정규 · 최재호 · 김영희[KBS] | |
19기 (2012) | 김병준 · 김용재 · 김현주 · 도대웅 · 박찬혁 · 박현정 · 신완순 · 심정은 · 유미선 · 윤상민[KBS] · 이명훈 · 이준수[KBS] · 장윤희 | |
20기 (2013) | 권형준 · 김마주 · 김상희 · 김정구 · 김예슬 · 오지환 · 이성배 · 허민행 | |
기수 불명 및 특별채용[29] | 강태영 · 김용범 · 김익근 · 김진규 · 박민환 · 배칠수 · 이상훈 · 이창욱[FD] · 이훈[배우] · 정정아[배우] | }}} * 특채 · 탤런트}}} : 코미디 탤런트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c8f8f; font-size: .8em;" 콘테스트 : 개그맨 콘테스트[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축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SBS] MBC보다는 SBS에서 주축으로 활동하거나 SBS 공채로 재데뷔[KBS] [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8] 88 개그맨 콘테스트에서 선발[SBS] [SBS] [11] 89 개그맨 콘테스트에서 선발[SBS] [SBS] [배우] 배우 전업[배우] 배우 전업[SBS] [SBS] [SBS] [SBS] [SBS] [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MBC보다는 KBS에서 주측으로 활동하거나 KBS 공채로 재데뷔[KBS] [KBS] [29] MBC를 주력으로 활동했거나 MBC에서만 활동했던 인물 기준[FD] FD 출신 코미디언[배우] 배우 전업[배우] 배우 전업 }}}}}} |
이름 | 정정아 |
출생 | 1977년 2월 13일 ([age(1977-02-13)]세) |
경상남도 울산시 (現 울산광역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가족 | 배우자 임흥규[1](2017년 8월 27일 결혼 ~ 현재), 아들 임하임(2020년생) |
신체 | 162cm, 48kg |
학력 | 서울예술대학교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영화예술학과 |
데뷔 | 1999년 이정열 뮤직비디오 '그대 고운 내 사랑' |
SNS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출신 배우.1998년에 대학로 배비장전 애랑역으로 연극무대에서부터 시작했으며 미디어로는 뮤직비디오로 정식 데뷔후 야인시대 등 드라마에서 감초역할로 연기한바 있으며 이후 MBC 코미디프로에서 특채로 남녀본색 등 수개월간 출연경험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였으나 다시 본업인 배우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후 드라마 영화 예능 등 다양한 영역에서 꾸준하게 활동하고 있다.
2. 출연작
2.1. 드라마
- SBS 오경장
- SBS 행진
- SBS 야인시대 - 순이 역
- KBS 백설공주 - 조연
- MBC 변호사들 - 은혜 역
- Xtvn 복수노트 1,2 - 불어선생님 정정아 역
- 대교방송 어린이드라마 어울림 - 선생님 역
- KBS 산너머 남촌에는 - 우정미 역
- KBS 인형의 집
- KBS 퍼퓸
- MBN 쌍갑포차 - 진상 역
- TV조선 학교기담 8년
- 올레TV엄마의 비밀수첩 - 주연
- Seezn 미드나잇 스릴러 - 친절한 경찰 - 춘자 역
- 채널A 쇼윈도: 여왕의 집 - 미세스 정 역
- ENA 딜리버리맨(드라마) - 무당 역 <특별출연>
- 웨이브 이사님은 9등급
- OTT 전세역전
- 디즈니+ 화인가스캔들
- 숏폼 결혼부터 할까요?
- 웹드라마 공동조례구역: JOA - 차영숙 역
2.2. 방송
- KBS JOY 다녀오겠습니다 시즌 1 - MC
- JTBC 집밥의 여왕 - 황금주걱
- SBS 런닝맨 - 게스트
- TV조선 알맹이
- MBN 동치미
- MBC 코미디하우스 - 남녀본색, 곰 세마리
- SBS 좋은아침
- CBS 새롭게 하소서
- C채널 힐링토크 회복
- EBS 리얼극장 행복
- MBC 느낌표 - 경림이의 길거리특강 (반장)
2.3. 영화
- 골든글로브 - 주연
- 작업의 정석 - 비서역
- 아주 특별한 손님 - 간호사역
- 화려한 휴가 - 미쓰리역
- 공사중 - 손님역
- 순이 - 속옷가게 주인역
- 신 전래동화 - 조선족 사기꾼역
- 수상한 이웃- 주민1역
- 색다른 그녀 - 한식종업원역
- 세상은 요지경 - 주연
- B컷 - 청소부역 (특별출연)
- 컨설턴트 - 딸역
- 고장난가족 - 주연
3. 코미디언 활동
배우 활동 중 MBC 희극인실에서 활동한 적이 있다. 정정아가 배우인지 코미디언인지 헷갈려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결론은 둘다 맞다. 물론 데뷔 직종이나 현재 직종 모두 배우로 활동하고 있는 만큼 본업은 당연히 배우에 더 가깝다. 많은 사람들이 MBC 코미디언 공채 출신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으나 공채는 아니다.대표 코너는 이상훈[2]과 닭살 커플 연기를 한 남녀본색, 최병임, 손헌수와 함께 한 곰세마리, 그리고 반장 역할로 나온 느낌표의 코너 경림이의 길거리 특강이 있다. 단기간이라고 알려진 것과는 달리 최소 1년 반이라는 긴 시간동안 활동했다. 정정아가 실질적으로 마지막으로 참여한 코너는 2004년 14기와 같이 나온 이중격투기 C.F.C였으나, 고작 1회만 나오고 끝나버렸다.
MBC 가이드 2002년에 인터뷰가 실린 적이 있다. 내부적으로는 정정아도 MBC 소속으로 보긴 하는 듯.
4. 여담
- 2005년 KBS 2TV의 글로벌 오지탐험 프로그램인 도전 지구탐험대에 출연했다가 그린아나콘다에게 물리는 사고를 당했다. 이 여파와 여러 논란으로 인해[3] 프로그램은 종영되었다. 이후의 자책감과 부담감, 아버지와의 대립으로 상당한 부침을 겪었다.[4] #
- 2023년 8월, 남편과 함께 운영 중인 종로 게스트하우스에서 손님들이 엉망으로 만든 방을 공개해 화제가 됐다. #
- 아버지가 전국노래자랑에 출연한 적이 있다.[5]
- 발달장애를 가진 자녀가 완치 판정이 났다고 한다.# 일반적인 발달장애판 별과는 궤를 달리하는 사례인데 여러 병원에서 진단을 받았다고 한다. 한 병원에서는 자폐 진단을 받았고, 다른 곳에선 자폐와 지적장애 진단을 받았지만, 연*병원은 자폐가 아니라고 해서 아니라고 그 병원을 믿고 치료해서 완치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발달장애와는 달랐을 가능성이 있다.즉, 무엇보다 이 사례는 미취학 아동인만큼 등록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할시점일 가능성이 더 높다. [6] 사실 자폐는 의사마다 진단을 달리 하는 일이 많다. 그러다보니 완치가 아니어도 완화된 사례들이 있도 있는 편인데 이마저도 정정아의 자녀 이상으로 주변사람 특히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며 그나마도 대부분이 정정아의 자녀처럼 아동일때부터 교정해온 사례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병원을 여러 곳에서 검사를한 정정아가 현명한 판단을 한 것이다.
[1] 호텔운영[2] 리마리오나 KBS 개그맨과는 동명이인. KBS의 감성채널@21에서 만난 적이 있다.[3] 여러 논란 중에도 가장 유명한 것은 김성찬 사망 사건이다. 그는 1999년에는 이 프로그램 출연차 라오스에 갔다가 현지에서 열대 말라리아에 걸렸고 이로 인해 세상을 떠났다.[4] 사실 이전부터 위험하다는 인식이 너무 강해 말은 많았던 상황이지만 인기 있는 프로그램이다 보니 묻혔던 상황인데, 해당 사건으로 인터넷과 언론이 연신 쏟아지면서 종영하게 되었다.[5] 2009년 7월 19일 방영된 울산광역시 남구편에 출연하였고, 이때 부른 노래는 김성환의 <인생> 이다. 당시 산업기계회사의 대표로 있었다. 무대에 나오며 자신을 소개할 때 배우 정정아 아버지 정대근입니다! 라고 밝혔다.[6] 진짜로 복지카드를 발급받을만한 발달장애는 너무 늦게 발견했거나 자체적으로 치료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