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에 분포한 오리엔트 정교회 소속 독립 교회인 야곱파(Jacobite)에 대한 내용은 시리아 정교회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0065bd> 상징 | 국호 · 국기 · 국가 · 유니콘 |
역사 | 역사 · 스코틀랜드 왕국 · 스코틀랜드 반란 · 영국 통일 · 스코틀랜드 국왕 (자코바이트 · 로버트 1세 · 제임스 1세) · 윌리엄 월레스 | |
정치 | 정치 전반 (자치권과 자치회의 · 정당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스코틀랜드 국민당) · 국가원수 (에든버러 공작 · 홀리루드 궁전 · 밸모럴 성) | |
외교 | 외교 | |
경제 | 스코틀랜드 파운드 · 스코틀랜드 왕립은행 | |
국방 | 영국군 ( | |
문화 | 문화 전반 ·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 장로회(스코틀랜드 교회) · 영어 · 스코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스카치 위스키 · 백파이프 · 킬트 · SFA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SRU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
지리 | 에든버러 · 글래스고 · 네스 호 · 로우랜드 · 하이랜드 | |
기타 | 스코틀랜드인 · 스코틀랜드계 미국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1. 개요
영어: Jacobite명예 혁명 이후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스튜어트 왕조의 복위를 주장하던 정치 세력.
명칭의 유래는 스튜어트 왕조의 시작인 제임스 1세에서 따왔다. 히브리어 이름인 야곱을 라틴어로 야코부스(Iacobus), 영어로는 제이콥(Jacob)이나 제임스(James)라고 하는데 여기에 '따르는 사람들'이라는 뜻의 접미사 -ite가 붙어 Jacob + ite (자코바이트)가 되었다. 실제 통치하는 영토가 없다는 데서 물 위의 국왕(The King over the Water)으로 불렸다.
특히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서 지지자가 많았다. 그 이유는 당시 영국의 사회 구조와 종교적 문제에 기인한다.
2. 배경
제임스 2세가 속한 스튜어트 왕조는 본래 스코틀랜드 왕가였다. 하지만 엘리자베스 1세가 사망하여 튜더 왕조가 단절되자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6세가 혈통상 따져보면 헨리 7세의 외증손이 된다는 이유에 따라 잉글랜드 왕위를 겸하여 잉글랜드 국왕 제임스 1세로서 즉위하고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는 동군연합이 되어서 한 묶음이 되었다.그런데 명예 혁명은 잉글랜드 의회의 단독 요청으로 일어났다. 더군다나 명예 혁명은 1707년 잉글랜드-스코틀랜드의 법적, 공식적인 통일 시점에서 20년쯤 전이기 때문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정부, 조직 등이 아직 서로 따로 존재하고 있던 시절이라, 제임스 2세의 스코틀랜드 왕위를 잉글랜드 의회가 무단으로 빼앗았다고 해석할 여지가 있었다. 물론 모든 스코틀랜드인이 이런 견해를 가진 것은 아니었지만, 이런 견해에 동조하는 경우도 있어서 자코바이트 중에는 스코틀랜드계가 많았다. 게다가 이 시점에서는 이미 철저하게 잉글랜드 국교회나 청교도가 다수였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로우랜드와 달리 스코틀랜드 하이랜드에서는 여전히 가톨릭 신자가 많았고, 따라서 친가톨릭 성향이 있었던 스튜어트 왕조의 복귀를 바라는 귀족 가문이 많았다. 여전히 인구의 80%가 가톨릭이었고, 17세기 중반 올리버 크롬웰 치하에 치떨리는 탄압을 당한 아일랜드의 경우는 말할 필요도 없었다.
원래 제임스 2세는 명예 혁명이 일어나기 전에 이미 50세를 넘어 젊지 않은 나이였고 딸 메리, 앤 외에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의회에서는 제임스 2세가 사망하기를 기다렸다. 그런데... 1688년 제임스 2세가 늦둥이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를 낳아버렸다. 이에 의회에서는 네덜란드에 있던 메리의 남편 오라녀 공 빌렘을 불러들였고 제임스 2세는 왕비, 갓난아들 제임스와 함께 프랑스로 망명했다. 이에 잉글랜드와 적대하던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는 제임스 2세와 그 자손들을 보호하고 그들의 복위를 지지하기도 했다. 1701년 제임스 2세의 아들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왕위 계승권을 요구했고 1766년 만 77세로 사망한 뒤에는 그의 장남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가 또 왕위를 요구했다. 이들은 자체적으로 귀족 작위도 서임했는데 이를 Jacobite Peerage라 부른다.
3. 스튜어트 왕조의 단절
그리고 1714년 8월 1일 앤 여왕이 후사없이[1] 죽자, 왕위계승권은 제임스 1세의 손녀인 하노버 선제후비 조피[2]에게 돌아갔다. 그러나 자코바이트 운동은 여전히 기승을 부려 1715년에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지방에서 대대적인 봉기가 있었고, 이윽고 1745년에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도중 다시 한번 스코틀랜드에서 대규모 봉기를 일으켜 며칠 만에 스코틀랜드 전역을 점령하고 런던을 함락시킬 뻔한 적도 있었다. 이 1745년 봉기는 영국 본토에 있었던 사상 최후의 지상전인 컬로든 전투에서 조지 2세의 3남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 오거스터스 왕자 지휘하의 영국군에게 궤멸당해 자코바이트 운동은 실질적인 종말을 맞이하였다.[3]종국에 1788년 자코바이트를 지휘하던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의 아들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가 만 67세로 사망하자 그의 사생아 딸 샬럿 스튜어트(1753년 ~ 1789년) 외에는 후계자가 없었다. 그밖에 찰스의 동생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1725년 ~ 1807년)가 있었지만 그는 왕위를 되찾으려는 시도를 전혀 하지 않고 성직자가 되었으며, 교황청 또한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를 영국의 적법한 통치자로 인정하지 않고 요크의 추기경 공작(Cardinal Duke of York)으로 명명하였다. 이로써 자코바이트 운동은 종결되었다. 헨리는 추기경이 되어 1807년 82세로 사망할 때까지 장수한 추기경 중 한 명으로 남게 되었다.
참고로 제임스 및 그의 두 아들 찰스와 헨리는 바티칸의 성 베드로 대성당 지하 묘지에 안장되었으며, 대성당 내부에는 1829년에 제작한 세 사람의 기념물이 있다.
그러나 명예 혁명 직후 대규모 자코바이트 봉기를 일으킨 아일랜드에서는 비록 정치적인 세력은 사라졌지만 그 여파는 여전히 강해서 1641년의 아일랜드 연맹 봉기, 1798년의 통일 아일랜드인 봉기, 1916년의 부활절 봉기 같은 사건들과 더불어 나아갈 아일랜드 민족주의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1807년에 제임스 3세의 아들인 추기경 헨리가 사망한 후로는 자코바이트의 계승권을 들어 영국과 아일랜드 왕위를 요구하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추기경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의 사망 이후 이론상 자코바이트의 계승권은 사르데냐 왕국의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에게 갔는데[4] 본인이 사르데냐 국왕이었으며 프랑스 혁명전쟁-나폴레옹 전쟁으로 이어지는 혼란기 속에서 사르데냐 왕국을 보전하는 것이 다급한 과제였기에 자코바이트 계승권 따위에는 관심이 없었고 그 후에 여계를 통해[5] 합스부르크-에스테 가문을 거쳐 비텔스바흐 가문으로 넘어갔다.[6] 현대 자코바이트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찰스 1세의 먼 후손이 되는 비텔스바흐 가문의 수장인 프란츠 폰 바이에른(1933년 ~)이 프랜시스 2세(Francis II of Scotland)로서 현대의 적법한 왕위 요구자가 된다. 프란츠 공에게는 자녀가 없어[7] 이후 계승권은 동생인 막스 공(1937년 ~), 그 다음은 맏딸인 리히텐슈타인 공세자빈 조피(1968년 ~), 그 아들인 공세손 요제프 벤첼(1995년 ~) 순서다.[8] 요제프 벤첼은 자코바이트 (이론상) 계승자들 중 300년 만에 처음으로 영국(런던)에서 태어났다. 이 때문에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투표 당시, 만약 스코틀랜드 왕국으로 독립한다면 프란츠 폰 바이에른이 스코틀랜드 국왕으로 즉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이야기가 오가기도 했다. 다만 프란츠 공 본인은 자코바이트 왕위/스코틀랜드 왕위에 관심이 없으며 자코바이트 왕위에 대해 '이론적인 것일 뿐'이라고 밝혔다. 현재 비텔스바흐 가문도 자코바이트에 전혀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나폴레옹 1세의 부하 원수이던 자크 마크도날은 프랑스로 망명한 자코바이트 스코틀랜드인의 아들이다.
4. 참고 문서
[1] 아들 윌리엄(1689년 ~ 1700년)이 있었으나 일찍 사망했다. 윌리엄 말고도 유산 6명, 사산 10명이 있었는데, 이들까지 포함하면 무려 17명이나 된다![2] 1714년 6월에 사망했기 때문에 당연히 그녀의 아들 조지 1세가 물려받았다.[3] 당시 유럽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으로 국제전 구도였고 자코바이트의 봉기도 프랑스의 지원이 있었다.[4] 찰스 1세의 막내딸 헨리에타의 딸의 증손자다. 헨리에타가 초대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와의 사이에서 낳은 딸 안 마리가 사르데냐 국왕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의 왕비가 되었는데, 제임스 2세의 직계후손이 단절되면서 그 후손인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에게 이론상의 자코바이트 계승권이 돌아갔다.[5]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의 사후 샤르데냐 국왕이 된 동생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가 아들을 남기지 못하자 샤르데나 왕위는 살리카법에 따라 동생인 카를로 펠리체가 계승했다가 이쪽도 후사가 없어 사보이아 왕가의 직계가 단절되면서 최종적으로 방계 가문인 카리냐노 분가로 왕위가 넘어가 카를로 알베르토가 왕위를 계승하였고, 이론상의 자코바이트 계승권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의 장녀 마리아 베아트리체를 거쳐 모데나 레조 공국의 공가였던 합스부르크-에스테 가문으로 넘어갔다.[6] 마리아 베아트리체의 아들인 모데나 공작 프란체스코 5세가 자손을 남기지 못하면서, 그의 사후 이론상의 자코바이트 계승권이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왕 루트비히 3세의 왕비가 된 그의 조카딸 마리아 테레사를 통해 비텔스바흐 왕가로 넘어갔다. 한편 프란체스코 5세의 죽음으로 합스부르크-에스테 가문의 남계가 완전히 단절된 후 합스부르크-에스테 대공위와 명목상의 모데나 공작위는[9]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자신의 조카 프란츠 페르디난트에게 넘겨주었고, 그의 사후 카를 1세에게 돌아갔다가 그 차남 로베르트 대공이 물려받아 현재는 로베르트 대공의 장남 로렌츠[10]가 명목상의 합스부르크-에스테 대공위를 보유하고 있다.[7] 동성애자이고 토마스 그라인발트(Thomas Greinwald)라는 동성 파트너가 있다.[8] 참고로 비텔스바흐 가문의 계승법은 살리카법이라, 막스 공의 사후 비텔스바흐 가문의 수장 지위는 프란츠 공과 막스 공의 6촌 동생이자 고종사촌인 루이트폴트(1951년 ~)에게 돌아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