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7 23:19:41

모데나 레조 공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부 중부 남부 시칠리아 사르데냐
선사
시대
네안데르탈인
호모 사피엔스의 이주와 확산
외치
초기 유럽 농경민
압인무늬토기 문화
레미델로 문화 리날도네 문화
스필람베르토 문화
가우도 문화
라테르자 문화
세라페리치오 문화 오지에리 문화
아베알주-필리고사 문화
종형 비커 문화
폴라다 문화 아펜니네 문화 카스텔루초 문화 토리아 문명
테라마레 문화
카스텔리에리 문화
누라기 문명
언필드 문화
원시 빌라노바 문화
카네그라테 문화 · 루코-멜루노 문화
빌라노바 문화
에스테 문화 · 골라세카 문화
프리첸-산체노 문화
구라티움 문화
고대 갈리아
키살피나
에트루리아 문명 라틴인
삼니움
고대 그리스
(마그나 그라이키아)
페니키아
로마 왕국 고대 카르타고
{{{#!wiki style="margin:-15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10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15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15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로마 공화국
[[이탈리아 본토(로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시칠리아 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사르디니아-코르시카 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로마 제국
[[이탈리아 본토(로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시칠리아 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사르디니아-코르시카 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서로마 제국
[[이탈리아 본토(로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시칠리아 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사르디니아-코르시카 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중세 오도아케르 왕국 반달 왕국
동고트 왕국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라벤나 총독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0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랑고바르드 왕국 }}}}}} 동로마 제국
[[시칠리아 테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아프리카 총독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베네치아 공화국
프랑크 왕국
[[스폴레토 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베네벤토 공국
[[살레르노 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중프랑크
왕국
동로마 [[바리 토후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시칠리아 아미르국 사르데냐 분열시대
중세
이탈리아
왕국
신성 로마 제국
[[교황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e2719; font-size: .8em"
혼란기
[[아풀리아-칼라브리아 백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da67d; font-size: .8em"
[[아말피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39148; font-size: .8em"
[[시칠리아 백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541D6; font-size: .8em"
[[동로마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02963; font-size: .8em"

시칠리아의 만종
{{{#!wiki style="margin:-16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시칠리아 왕국
중세 사르데냐 왕국
나폴리
왕국
아라곤 연합왕국
스페인 제국
합스부르크 제국
근대 프랑스 제1공화국


사르데냐
왕국
프랑스 제1제국
사르데냐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



교황령 양시칠리아 왕국
중앙이탈리아 연합주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현대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s-3.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남부 이탈리아 군정청
연합군 점령하 이탈리아
이탈리아 왕국
}}}}}}}}} ||

모데나 레조 공국
Duchêt ed Mòdna e Rèz[에밀리아어]
Ducato di Modena e Reggio[이탈리아어]
파일:State_Flag_of_the_Duchy_of_Modena_and_Reggio_(1830-1859).svg 파일:Coat_of_Arms_of_the_Duchy_of_Modena_and_Reggio.svg
국기 국장
La destra del Signore mi ha esaltato
주님의 오른손이 나를 들어 올리셨도다.
상징
국가 황제 찬가
(Gott erhalte Franz den Kaiser)
위치
파일:Duchy_of_Modena_1815.png
1452년 ~ 1796년, 1814년 ~ 1859년
역사
성립 이전 멸망 이후
페라라 공국 이탈리아 왕국
<colbgcolor=#c9082a><colcolor=#fff>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c9082a><colcolor=#fff> 위치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수도 모데나
면적 약 6,000km² }}}}}}}}}
인문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c9082a><colcolor=#fff> 인구 약 600,000명 (1857년)
언어 에밀리아어, 이탈리아어
종교 가톨릭
민족 이탈리아인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c9082a><colcolor=#fff> 정치체제 전제군주제
국가원수 공작
국성 에스테 가문다스부르고에스테 가문
주요 공작 보르소 데스테(1452~1471)
알폰소 2세(1559~1597)
리날도 데스테(1694~1737)
프란체스코 3세(1737~1780)
에르콜레 3세(1780~1796)
프란체스코 4세(1814~1846)
프란체스코 5세(1846~1859)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c9082a><colcolor=#fff> 통화 레조 리라 }}}}}}}}}

1. 개요

1. 개요

오늘날 이탈리아 반도 모데나에 위치했던 존재했던 공국이다.

본래 페라라 공국의 공작이던 에스테 가문이 동군연합으로 다스렸으나 에르콜레 3세 데스테를 마지막으로 에스테 가문의 대는 끊겨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3]과 결혼한 에르콜레 3세의 장녀 마리아 베아트리체의 아들들이 상속을 받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 전쟁으로 프랑스군에게 점령되어 치스파다나 공화국(Repubblica Cispadana)이라는 괴뢰국이 들어섰고, 이후 치살피나 공화국(Repubblica Cisalpina)을 거쳐 프랑스 제1제국의 괴뢰국 이탈리아 왕국에 합병되었다.

워털루 전투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몰락한 후 1814년 이탈리아 왕국이 해체되면서 에르콜레 3세의 외손자 프란체스코 4세가 모데나 공작이 되었다. 프란체스코 4세는 본가인 오스트리아 제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와 연계하여 극한의 반동주의 정책을 실시했다.

1859년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이 주도한 이탈리아 통일운동으로 롬바르디아가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으로 할양되자 민중 혁명이 일어나 다스부르고에스테 공가는 쫓겨났고, 모데나 레조 공국은 토스카나 대공국, 파르마 공국, 교황령볼로냐 일대와 연합하여 중앙이탈리아 연합주(Province Unite del Centro Italia)를 형성했다가 3개월 뒤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에 합병되었다.

다스부르고에스테 공가는 마지막 공작 프란체스코 5세가 자식 없이 죽으면서 대가 끊어졌다[4]. 이후 이 가문에 대한 권리는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조카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에게 넘겼다가, 그의 사후 카를 1세를 거쳐 그 차남인 로베르트 대공[5]에게 상속된 후 로베르트 대공의 후손들이 보유하고 있다.
[에밀리아어] [이탈리아어] [3]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란츠 1세마리아 테레지아의 4남.[4] 남계가 아닌 여계로는 프란체스코 5세의 조카딸 마리아 테레지아가 바이에른 국왕 루트비히 3세의 왕비가 되어 자손을 남겼고, 현재 그 후손들이 남아있다.[5] 오토 폰 합스부르크의 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