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7 18:31:20

장전형

<colbgcolor=#152484><colcolor=#fff> 제9대 경기도의회 의원
장전형
張全亨 | Jang Jeon-hyung
파일:장전형 프로필.jpg
출생 1961년 9월 1일 ([age(1961-09-01)]세)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현직 없음
학력 조도국민학교 (졸업)
조도중학교 (졸업)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졸업)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공학 / 학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사)
소속 정당
1. 개요2. 생애3. 논란 및 사건 사고4. 선거 이력5. 소속 정당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정치인이다.

2. 생애

1961년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에서 태어났다. 조도초등학교, 조도중학고,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1993년 민주당 한화갑 국회의원의 비서관으로 정치에 입문하였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 직후 김대중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행정관을 지냈다. 이후 새천년민주당 대변인을 지냈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특별시 금천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한인수 후보에 낙선하였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노무현 대통령 후보 수석부대변인으로 당시 병역면제를 받은 한나라당 이회창후보의 아들에 대해 "키 179cm에 몸무게 43kg은 직립보행이 불가하고, 걸을때 풍속의 영향을 받을수 밖에 없는 인간육포 수준"이라는 발언으로 일약 대선판을 흔들기도 했다.

특히 공격적인 논평으로 당시 한나라당으로 부터 무려 16번이나 고소, 고발을 당하기도 하였으나, 반대로 민주당으로서는 대변인실 터줏대감의 면모를 보여준 투사이기도 했다.

노무현대통령 당선 이후 동아일보(주간동아) 선정 "노무현대통령을 만든 사람들 100인" 가운데 52번째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연합뉴스로부터 "미스터 민주당"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으며, 박주선국회부의장은 그를 "풍운아"로 부르기도 한다.

2003년 열린우리당 분당사태 때 열린우리당으로 가지 않고 새천년민주당에 남았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 당시 조순형 대표와 함께 KBS를 항의방문한 자리에서 물도 안 준다고 불만을 표시하다가 이게 YTN돌발영상으로 나가는 바람에 졸지에 전국적인 유명세를 떨쳤다. 이른바 물은 셀프 사건.

2011년 용인도시공사 입사, 경영사업본부장으로 재직 후,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경기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21년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창당한 새로운물결에 합류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과의 합당 과정에서 협상 실무를 맡았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경기도지사 후보를 지지했다. 김동연 지사 당선 이후인 같은 해 11월 경기도청 대변인실 언론협력담당관에 선임되었으며, # 이후 경기도청 대외협력보좌관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김동연 지사의 대선 캠프 합류를 위해 2024년 말 사직했다.

3. 논란 및 사건 사고

3.1. 물은 셀프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물은 셀프(정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물은 셀프(정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물은 셀프(정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0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금천구청장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30,448 (35.81%) 낙선 (2위)
20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의회 용인 3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23,504 (54.49%) 당선 (1위) [1]

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
]]
1987 - 1990 정계 입문


1990 탈당[2]


[[민주당(1990년)|
민주당
]]
1990 - 1991 창당


[[민주당(1991년)|
민주당
]]
1991 - 1995 합당[3]


1995 탈당[4]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1995 - 2000 입당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2000 - 2005 합당[5]


[[민주당(2005년)|
민주당
]]
2005 - 2007 당명 변경


2007 합당[6]


[[민주당(2007년)|
민주당
]]
2007 당명 변경


2007 탈당


[[한나라당|
한나라당
]]
2007 - 2011 입당[7]


2011 탈당


2011 - 2012 입당


2012 당명 변경


2012 - 2014 탈당[8]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복당

2015 - 2019 당명 변경


2019 - 2021 탈당

[[새로운물결|
새로운물결
]]
2021 - 2022 창당

2022 - 현재 합당[9]

6. 여담

7. 둘러보기

파일:경기도 휘장(2005-2021)_White.svg 제9대 경기도의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3px"
수원 1 수원 2 수원 3 수원 4 수원 5
남경순 김주성 박재순 박동현 최중성
수원 6 수원 7 수원 8 수원 9 성남 1
김호겸 장현국 안혜영 오완석 이효경
성남 2 성남 3 성남 4 성남 5 성남 6
박창순 조광주 임동본 방성환 이영희
성남 7 성남 8 의정부 1 의정부 2 의정부 3
이나영 김지환 김정영 정진선 국은주
의정부 4 안양 1 안양 2 안양 3 안양 4
김원기 명상욱 김종찬 임채호 정기열
안양 5 안양 6 부천 1 부천 2 부천 3
조광희 송순택 염종현 김영협 나득수
부천 4 부천 5 부천 6 부천 7 부천 8
서진웅 류재구 김종석 서영석 이필구
광명 1 광명 2 광명 3 광명 4 평택 1
권태진 정대운 박승원 김성태 최호
평택 2 평택 3 평택 4 양주 1 양주 2
김철인 염동식 공석 원대식 박재만
동두천 1 동두천 2 안산 1 안산 2 안산 3
홍석우 공석 송한준 천영미 장동일
안산 4 안산 5 안산 6 안산 7 안산 8
고윤석 공석 양근서 김현삼 원미정
고양 1 고양 2 고양 3 고양 4 고양 5
이재석 이재준 민경선 곽미숙 김유임
고양 6 고양 7 고양 8 과천 의왕 1
고오환 김영환 김달수 배수문 김상돈
의왕 2 구리 1 구리 2 남양주 1 남양주 2
윤재우 서형열 공석 조재욱 문경희
남양주 3 남양주 4 남양주 5 오산 1 오산 2
송낙영 임두순 이정애 송영만 조재훈
화성 1 화성 2 화성 3 화성 4 시흥 1
박윤영 최지용 이은주 조광명 공석
시흥 2 시흥 3 시흥 4 군포 1 군포 2
김진경 최재백 이상희 정희시 김경자
하남 1 하남 2 파주 1 파주 2 파주 3
윤태길 이정훈 공석 박용수 김동규
파주 4 여주 1 여주 2 이천 1 이천 2
한길룡 원욱희 김규창 이현호 권영천
용인 1 용인 2 용인 3 용인 4 용인 5
오세영 조창희 김종철 권미나 남종섭
용인 6 용인 7 용인 8 안성 1 안성 2
김준연 김치백 지미연 공석 한이석
김포 1 김포 2 김포 3 광주 1 광주 2
조승현 김준현 김시용 박광서 장동길
포천 1 포천 2 연천 양평 1 양평 2
최춘식 김성남 공석 공석 윤광신
가평 <rowcolor=#fff> 비례 비례 비례 비례
오구환 민병숙 김길섭 이순희 김의범
<rowcolor=#fff> 비례 비례 비례 비례 비례
박순자 김윤진 김미리 김광성 김보라
<rowcolor=#fff> 비례 비례 비례
진용복 박옥분 박근철
* 광명 1 이준희 의원직 상실 (2015.4.9.)
* 의정부 3 김영민 의원직 상실 (2015.5.28.)
* 의정부 2 조남혁 사망 (2015.6.30.)
* 안양 2 강득구 사퇴 (2016.1.13.)
* 양주 2 홍범표 사퇴 (2016.1.13.)
* 화성 3 권칠승 사퇴 (2016.1.13.)
* 군포 1 김도헌 사퇴 (2016.1.13.)
* 수원 5 이승철 사퇴 (2016.1.14.)
* 성남 4 윤은숙 사퇴 (2016.1.14.)
* 성남 7 이태호 사퇴 (2016.3.11.)
* 용인 3 장전형 의원직 상실 (2016.7.11.)
* 포천 2 윤영창 사퇴 (2017.1.15.)
* 구리 2 안승남 사퇴 (2018.3.5.)
* 평택 4 이동화 사퇴 (2018.3.14.)
* 동두천 2 박형덕 사퇴 (2018.3.14.)
* 안산 5 윤화섭 사퇴 (2018.3.14.)
* 파주 1 최종환 사퇴 (2018.3.14.)
* 안성 1 천동현 사퇴 (2018.3.14.)
* 연천 1 김광철 사퇴 (2018.3.16.)
* 양평 1 김승남 사퇴 (2018.3.16.)
* 시흥 1 임병택 사퇴 (2018.3.19.)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1] 2016. 6. 28 뇌물수수 혐의로 피선거권 상실[2] 3당 합당에 대한 반발로 탈당[3] 신민주연합당과 신설 합당[4] 새정치국민회의 입당을 위한 탈당[5]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6] 중도개혁통합신당과 신설 합당.[7] 이명박 대통령 지지 선언.[8]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9] 더불어민주당에 흡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