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b0c02><tablebgcolor=#8b0c02> | 파주시 제4선거구 문산읍, 법원읍, 적성면, 파평면, 장단면 | }}} | |||
<colbgcolor=#8b0c02><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60,416명 (2022) | |||||
상위 행정구역 | 경기도 파주시 | |||||
관할 구역 |
| |||||
도의원 | | 이한국 |
[clearfix]
1. 개요
경기도의회의 도의원 선거구. 문산읍을 중심으로 한 최전방 지역을 관할하는 특성상 파주시 선거구 5개 중 보수세가 가장 강하다.2. 역대 선거 결과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주시 제2선거구 문산읍, 법원읍, 조리읍, 광탄면, 파평면, 적성면, 군내면, 진동면, 금촌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종훈(金鍾勳) | 29,574 | 2위 |
| 49.11% | 낙선 | |
7 | 김광선(金光善) | 30,645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0.88%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23,905 | 투표율 50.39% |
투표 수 | 62,434 | ||
무효표 수 | 2,215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주시 제4선거구 문산읍, 법원읍, 적성면, 파평면, 군내면, 진동면, 진서면, 장단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한길룡(韓吉龍) | 18,208 | 1위 |
[[새누리당|]] | 61.57% | 당선 | |
2 | 이성철(李成哲) | 11,364 | 2위 |
[[새정치민주연합|]] | 38.4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8,976 | 투표율 52.08% |
투표 수 | 30,716 | ||
무효표 수 | 1,144 |
국회의원 선거구가 파주시 갑, 파주시 을로 분할됨에 따라 도의원 선거구도 4석으로 늘어났다.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주시 제4선거구 문산읍, 법원읍, 적성면, 파평면, 군내면, 진동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진(李鎭) | 18,584 | 1위 |
| 60.20% | 당선 | |
2 | 한길룡(韓吉龍) | 12,286 | 2위 |
[[자유한국당|]] | 39.7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1,215 | 투표율 52.52% |
투표 수 | 32,151 | ||
무효표 수 | 1,281 |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주시 제4선거구 문산읍, 법원읍, 적성면, 파평면, 장단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진(李鎭) | 11,957 | 2위 |
| 45.20% | 낙선 | |
2 | 이한국(李漢國) | 14,492 | 1위 |
| 54.7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60,416 | 투표율 45.67% |
투표 수 | 27,591 | ||
무효표 수 | 1,1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