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b0c02><tablebgcolor=#8b0c02> | 수원시 제5선거구 팔달구 매교동, 매산동, 고등동, 화서1동, 화서2동 | }}} | |||
| ||||||
<colbgcolor=#8b0c02><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75,362명 (2022) | |||||
상위 행정구역 | 경기도 수원시 | |||||
관할 구역 |
| |||||
도의원 | | 김호겸 |
[clearfix]
1. 개요
경기도의회의 도의원 선거구. 7회 지선까지의 수원시 제6선거구의 영역을 계승하면서 이름만 바뀌었다.2. 역대 선거 결과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수원시 제6선거구 매교동, 매산동, 고등동, 화서1동, 화서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한규택(韓奎澤) | 17,067 | 2위 |
| 42.41% | 낙선 | |
2 | 김호겸(金浩謙) | 17,399 | 1위 |
[[민주당(2008년)| | 43.23% | 당선 | |
5 | 임미숙(林美淑) | 4,540 | 3위 |
[[민주노동당| | 11.28% | 낙선 | |
7 | 김광룡(金光龍) | 1,236 | 4위 |
[[진보신당| | 3.0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81,521 | 투표율 50.22% |
투표 수 | 40,941 | ||
무효표 수 | 699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수원시 제6선거구 권선구 서둔동 + 팔달구 매교동, 매산동 고등동, 화서1동, 화서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효수(金曉洙) | 26,772 | 2위 |
[[새누리당| | 47.50% | 낙선 | |
2 | 김호겸(金浩謙) | 27,061 | 1위 |
[[새정치민주연합| | 48.01% | 당선 | |
3 | 최승회(崔承會) | 2,521 | 3위 |
[[통합진보당| | 4.4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9,504 | 투표율 52.40% |
투표 수 | 57,379 | ||
무효표 수 | 1,025 |
수원시 국회의원 선거구 구획 변경으로 잠시 권선구 서둔동을 포함하였다.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수원시 제6선거구 매교동, 매산동, 고등동, 화서1동, 화서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황수영(黃守永) | 23,417 | 1위 |
| 59.66% | 당선 | |
2 | 지종덕(池鍾德) | 11,650 | 2위 |
[[자유한국당| | 29.68% | 낙선 | |
3 | 신수현(申修鉉) | 4,181 | 3위 |
[[바른미래당| | 10.6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1,423 | 투표율 56.40% |
투표 수 | 40,281 | ||
무효표 수 | 1,033 |
수원시 국회의원 선거구 증설로 서둔동이 도로 제외되었다.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수원시 제5선거구 매교동, 매산동, 고등동, 화서1동, 화서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황수영(黃守永) | 18,251 | 2위 |
| 49.16% | 낙선 | |
2 | 김호겸(金浩謙) | 18,869 | 1위 |
| 50.83%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75,361 | 투표율 50.65% |
투표 수 | 38,175 | ||
무효표 수 | 1,0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