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aa7b><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프리미엄 | ||
경기순환 | |||
직행좌석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양지마을) | 회차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조동(불광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15 |
막차 | 22:20 | 막차 | 23:35 | ||
배차간격 | 10~70분 | ||||
운수사명 | 명진여객 | 인가대수 | 5대[1][2] | ||
노선 | 양지마을 - 경기도교육청북부청사 - 의정부버스터미널 - 시장앞 - 의정부역 - 가능역 - 안골 - 울대고개 - 송추검문소 - 72보병사단 - 사기막골 - 북한산성입구 - 56사단 - 구파발역 환승센터 - 연신내역 - 불광역 → 양광교회(회차) → 불광역 → 이후 동일 |
2. 개요
명진여객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의정부(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가능동)와 송추, 은평구(구파발역, 불광역)을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52.9km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초기 파주시 면허의 대성여객에서 운행하였으나, 대성여객이 신성교통에 합병된 2004년에 신성교통으로 이관되어 운행을 하였다. 이후 고양시 면허의 신성운수가 설립되면서 신성운수로 이관되었다.
- 2015년 7월 14일부로 360번과 함께 명진여객에 매각되었고, 동시에 기점도 불광동에서 금오중학교로 바뀌었다. 이 과정에서 차량은 대원여객 의정부 차고지에서 주박하게 되었는데, 차고지 승하차가 불가[3]한 건 둘째치고 신성시절에 승하차를 취급했던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에서의 승하차 취급이 중단되었다. 동일로 종점 - 금신로 기점으로 사실상 편도회차로 운행하기 위해 소폭 단축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도보로 못 갈 거리는 아니지만 한동안 교육청 앞으로는 배차간격이 긴 25번, 25-1번만이 운행되는 불편이 있었다.
- 2020년 12월 14일부터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개원에 대비하여 기점이 교육청 북쪽의 양지마을로 연장되었고, 의정부중앙역 경유에서 의정부역 - 제일시장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글
4. 특징
- 송추(부곡리)에서 출발하는 704번을 보조하는 노선이기도 하면서 예비군훈련장들을 경유하고, 또한 사단 사령부 두 곳(양주 72사단, 서울 56사단)이나 경유하는 노선이다.
- 동사 360번과 함께 의정부에서 불광역을 가는 노선이다. 이 노선은 360번과 달리 북한산성 경로로 운행되고 양지마을까지 손님을 받는다.
- 예비군훈련장과 북한산성 경유로 인해 704번과 같이 특정 요일·시간대 헬게이트 노선이다. 특히 주말 등산객 수요가 많다. 그리고 의정부에서 은평뉴타운, 구파발역까지는 가변 정류장을 이용하나 박석고개부터 불광동까지는 통일로 중앙차로를 이용한다.
- 고양시나 운정신도시, 수색에서는 의정부로 가는 시외·공항버스 대체 수요[4]도 많았으나, 코로나19 이후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1시간 이상으로 상당히 많이 벌어져 수요가 360번이나 7300번으로 이동하였다. 360번은 지축지구 입주 수요 등을 고려하여 증차가 이루어져서 배차간격이 짧아졌다. 704번과 겹치는 이 노선 대신 360번에 집중 투자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7300번은 배차도 길고[5]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에 따른 환승할인도 안되는 시외·공항버스이지만, 우등석 차량으로 운행하는 메리트가 있기 때문에 편하게 가려는 수요층이 있어 그나마 버티고 있다.
- 고양시나 운정신도시, 수색에서 의정부는 물론, 도봉, 노원, 양주, 동두천, 포천, 연천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 추가 환승연계까지 되는 유용한 노선으로[6], 고양시나 운정신도시의 경우 수도권 전철 3호선을 이용해 구파발역에서 이 버스로 환승하고, 수색의 경우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서울 지하철 6호선을 이용해 연신내역에서 이 버스로 환승하면, 생각보다 의정부 방향으로 빨리 갈 수 있다. 양주, 동두천, 포천, 연천, 노원 북부, 도봉 북부 이동시에도 가능역에서 전철이나 버스로 추가 환승해 이용 가능하니 참고하자.[7]
- 여담으로 신성 시절에는 '경민대학교에서 구파발역까지 25분'이라고 써져 있지만 생각보다 정류장이 많아서 그 이상 걸리는 데다[8] 저렇게 훼이크를 치다가 경민대 학생들과 의정부 승객들에게서 항의가 터졌는지 2015년 6월부로 25분이라는 문구는 결국 지웠다.
- 의정부 지역이나 송추에서 구파발, 연신내, 불광역으로 갈 때 360번을 이용해도 시간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 차이점이 있다면, 34는 북한산을 경유해 의정부로 가고, 360은 일영을 경유한다는 차이가 있고, 34에 비해 360이 약간 우회하나, 북한산 등산객의 이용 비중이 상당한지라, 막상 실제로 이용해보면 도착 시간은 거의 도긴개긴수준으로 비슷하다. 다만, 일영, 장흥으로 가는 수요가 많이 나오는데다 지축지구 개발로 360번의 수요 증가와 도로 선형 변경으로 34가 더 빠르겠지만......34번은 704번이라는 대체재가 존재하기에, 이를 토대로 34번은 점점 감차되어 배차가 벌어졌고 360번은 계속 증차된 상황. 이 과정에서 360번에 대형차량을 몰아넣는 형태가 되어 결국 34번에 그린시티가 들어오게 되었으나, 그린시티는 모두 25-1번으로 가고 남은 뉴 슈퍼 에어로시티 7대와 1대 남은 NEW BS106으로 운행 중이다.[9]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 시 기사에게 목적지를 말하여야 한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가능역[11], 의정부역
수도권 전철 3호선: 구파발역[12], 연신내역[13], 불광역
서울 지하철 6호선: 연신내역, 불광역
의정부 경전철: 동오역[14]
교외선[15]: 송추역
[1] 실제로는 3~4대로 운행.[2] 코로나 19 이후로 일시적 감차까지 이뤄지며 인가도 5대로 줄었다.[3] 애초에 대원여객 본사 차고지는 공항버스 노선 외에는 승하차를 취급하지 않는다.[4] 의정부지방법원·검찰청, 경기도청 북부청사, 경기북부병무지청. 이 구간 에서는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가 불가능한 시외버스와 공항리무진(3700번, 7300번)이 전부이다. 이 구간을 시외버스로만 단독통행하면 편도 3,500원 정도가 나오지만, 환승할인이 미적용되므로 다른 교통수단으로의 추가 환승 연계하면 사실상 편도 5,000원 이상이 나오게 된다. 게다가 현재는 34번과 마찬가지로 위의 시외버스 두 개 노선도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여 배차간격이 상당히 벌어져 타기도 많이 어려워졌다.[5] 애초에 편하게 가려는 사람들은 배차간격이 길어도 실시간 버스운행정보나 시간표를 알아보고 시간 맞춰서 탄다.[6] 고양시의 경우 3700번, 7300번이 있으나, 추가 환승연계가 불가능하고 배차간격이 긴 만큼 환승 연계 이동시 34, 360이 가장 유용한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7] 다만, 위 지역에서 목적지가 노원구 남부 지역일 경우 이 버스를 이용한 환승연계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을 이용해 공덕역/효창공원앞역까지 이동 후, 6호선으로 환승해 이동하는 게 유리하다.(석계역~봉화산역 이용 가능 및 태릉입구역에서 7호선 환승 가능.)[8] 등산객이 없는 시즌에 거의 모든 정류장을 정차하지 않아도 최소 30분이 걸린다. 등산객이 많고, 도중에 내리는 승객이 많다면 쭉쭉 늘어나서 차가 안 막혀도 40분 이상 소요된다. 주말 막차 시간대에 신호까지 무시하면서 질주해야 그 정도 나온다.[9] 참고로 360번은 9대까지 소속된 상황이며, 뉴 슈퍼 에어로시티 2대를 제외하고 NEW BS106으로 바뀌었다.[10] 의정부영업소의 경우 25-1번, 56번, 360번, 7200번, 7300번 등 여러 노선이 소속되어 있고 그에 따라 많은 차량대수를 관리하고 있으나, 이에 비해 차고지 면적이 적어 주말 감차차량이나 장기 휴차차량을 송산동차고지로 보내곤 한다.[11] 불광동 방향 3번 출입구, 금오중학교 방향 의정부여고.가능역에서 정차[12] 불광동 방향 구파발역.롯데몰 도심방향 정류장, 의정부 방향 2번 출입구, 복합환승센터 앞에서 정차[13] 은평-서대문 중앙차로에서 정차[14] 의정부버스터미널에서 하차 후 도보 6분[15] 여객 미취급. 2024년 여객열차 개통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