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분기점 安山 分岐點 Ansan Junction | ||
목포 방면 팔곡JC ← 5.2 km | 서해안선32 | 서울 방면 서서울TG 1.4 km → |
인천 방면 안산IC ← 1.9 km | 영동선6 | 강릉 방면 둔대JC 4.8 km → |
주소 |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 장하동 | ||
관리기관 | ||
서해안선 | 한국도로공사 서울경기본부 화성지사 | |
영동선 | 한국도로공사 서울경기본부 군포지사 | |
개통 | ||
1995년 12월 28일 |
1. 개요
서해안고속도로 32번. 영동고속도로 6[1]번.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장하동에 걸쳐 있는 서해안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의 분기점. 명칭은 소재지인 안산시에서 유래했다.일부 구조가 제거된 클로버스택형 구조로, 서해안선 목포 방향 - 영동선 강릉 방향간 연결램프가 빠져있다. 대신 둔대 분기점, 팔곡 분기점을 이용해서 통행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분기점 문서 참조.
서울 방향으로는 폐쇄식 마지막 분기점이며 목포 방향으로는 첫 번째 폐쇄식 분기점이다. 서울 방향은 이후로는 개방식 구간이다.
2011년 서해안고속도로 목포 방향 램프에 한국 최초로 노면 색깔 유도선을 적용했다. 1 ~ 3차로는 목포, 4 ~ 5차로는 강릉, 6 ~ 7차선은 인천 방향이라 3차로와 4차로 사이에서 사고가 빈발하던 곳이었는데[2][3], 이 곳에 노면 색깔 유도선을 깔아 사고를 크게 줄임으로써 전국적으로 확대될 수 있었다.
2. 서해안고속도로
2.1. 서울 방향(상행선)
2.2. 목포 방향(하행선)
3. 영동고속도로
3.1. 인천 방향(하행선)
3.2. 강릉 방향(상행선)
4. 역사
- 1992년 4월 29일 수요일 - 신갈반월고속도로가 신갈안산고속도로로 바뀌었다.
- 1994년 7월 4일 - 임시 통행이 끝나 폐지되었다.
- 1994년 7월 7일 - 정식 개통되었다.
- 2001년 8월 25일 토요일 - 전국 고속도로 번호체계 개정으로 안산 분기점을 동서로 지나는 고속도로는 영동고속도로로 편입되었고, 남북으로 지나는 고속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에 편입되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라남도 | 죽림JC - 일로IC - 목포TG - 무안IC - 함평JC( | |
전북특별자치도 | - 대산SA - 고창JC( | ||
충청남도 | - 동서천JC( | ||
경기도 | - 포승JC - 서평택IC - 서평택JC( | ||
서울특별시 | - 금천IC - 서부간선도로 직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창JC( - - 군자JC( - - - - - 안산JC( - 둔대JC( - - - - - - 신갈JC( - - 서용인JC( - - - 용인JC( - - - - 호법JC( - - - 여주JC( - - 문막SA인천방향 - - 문막SA강릉방향 - 만종JC( - 원주JC( - - - - - - - - - - - - - 강릉JC(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