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맵 관련 문서 | |||||
스타크래프트(유즈맵 · 트리거 · 타일셋) | 스타크래프트 2(아케이드 · 팀플 · 지형) | ||||
테란맵 | 저그맵 | 토스맵 | |||
상성맵 | 역상성맵 | 개념맵 | |||
2인용 · 3인용 · 4인용 · 섬맵 · 반섬맵 · 무한맵(빠른 무한) | |||||
에디터 | Scmdraft 2 · TrigEditPlus · 세디터 · 스타포지 · 엑스트라 에디터 / 갤럭시 맵 에디터 | ||||
커뮤니티 (맵 제작 & 다운로드) | 스타 에디터 아카데미 · SCMSCX · |
1. 개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게임 스타크래프트의 맵을 정리한 문서.대력적으로 스타크래프트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 맵', 등급전에 쓰이는 래더맵인 '등급전 맵', 과거 스타리그에서 사용되었던 '밀리 맵', 그리고 래더가 아닌 오락용으로 사용되는 '유즈맵'으로 분류된다.
2. 기본 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타크래프트/기본 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타크래프트/기본 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등급전 맵
이전에는 유저들이 가장 많이 하는 투혼, 서킷브레이커를 고정해둔 채 KSL에 나올 맵들을 등급전 맵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KSL이 시즌4를 끝으로 더 이상 개최를 포기한 이후로는 이전부터 후원하고 있었던 ASL 맵들의 일부를 등급전 맵으로 선정하기 시작하였다.[1]이후 2021년 시즌 등급전부터는 사실상 모든 맵들을 ASL 공식맵들로 정해놓았다. 이 과정에서 투혼과 서킷브레이커를 아예 배제시키는 바람에 유저들에게 대차게 까인 적이 있었고, 2021년 시즌 2에서 간만에 투혼이 돌아왔으나 서킷브레이커는 추가되지 않았다.[2]
현재 리마스터 미구입시, 2024년 시즌1 래더맵까지만 래더맵 폴더에 갱신된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즌별 등급전 맵 목록 | |||||||||||||||||||||||||||||||||||
| |||||||||||||||||||||||||||||||||||
|
4. 밀리 맵
보통 일반적인 게임[13]을 할 때 사용하는 맵들로, 과거 온게임넷 스타리그나 MSL 같은 스타리그에서 사용되었던 맵들이다.4.1. 2스타팅 맵
- Korhal of Ceres
- 건틀릿(Gauntlet)
- 다크 오리진(Dark Origin)
- 단장의 능선(Heartbreak Ridge)
- 데스 밸리(DeathValley)
-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 데토네이션(Detonation)
- 라이드 오브 발키리즈(The Ride of the Valkyries, R.O.V.)[14]
- 레이드 어썰트(Raid-Assault)
- 로키(Loki)
- 리트머스(Litmus)
- 매치 포인트(Match Point)
- 몬테크리스토(Monte Cristo)
- 몬티홀(Monty Hall)
- 미스트(Mist)
- 민스트럴(Minstrel)
- 바람의 계곡
- 바이웨이(Byways)[15]
- 배틀로얄(Battle Royal)
- 백두대간
- 백마고지
- 버터(Butter)
- 벤젠(Benzene)
- 블루스톰(Blue Storm)
- 블리츠 X&Y(Blitz X&Y)
- 비상-드림라이너(Flight-Dreamliner)
- 비프로스트(Bifrost)
- 쇼다운(Showdown)
- 신 태백산맥
- 아우토반(Autobahn)
- 아케론(Acheron)
- 얼터너티브(Alternative)
- 엔터 더 드래곤(Enter the Dragon)
- 오드아이(Odd Eye)
- 오디세이(Oddyssey)
- 인디안 라멘트(Indian Lament)[16]
- 인베이더(Invader)
- 오버워치(Overwatch)
- 울돌목
- 이클립스(Eclipse)
- 인투 더 다크니스(Into the Darkness)
- 자이언트 스텝(Giant Step)
- 제3세계(스타크래프트)
- 챌린저(Challenger)
- 체인 리액션(Chain Reaction)
- 추풍령
- 카르타고(Carthage)
- 카멜롯(Camelot)
- 크로스 게임(Cross Game)
- 크로싱 필드(Crossing Field)
- 턴어라운드(Turnaround)
- 트레스 패스(Tres Pass)
- 티아매트(Tiamat)
- 파라노이드 안드로이드(Paranoid Android)
- 패러독스(Paradox)
- 페이스 오프(Face Off)
- 폴라리스 랩소디(Polaris Rhapsody)
- 피의 능선
- 하이웨이 스타(Highway Star)
- 화랑도
- 히치하이커(Hitchhiker)
4.2. 3스타팅 맵
- 골드 러쉬(Gold Rush)
-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
- 달의 눈물
- 데미안(Demian)
- 데저트 폭스(Desert FoX)
- 도미네이터(Dominator)
- 러시 아워(Rush Hour)
- 롱기누스(Longinus)
- 리프 더 스톰(Reap the Storm)
- 메두사(Medusa)(KeSPA)[17]
- 멜트다운(Meltdown)
- 모노폴리(Monopoly)
- 문글레이브(Moon Glaive)
- 스카이브릿지(Sky Bridge)
- 실피드(Sylphid)
- 아웃라이어(Outlier)
- 아웃사이더(Outsider)
- 아즈텍(Aztec)
- 아테나(Athena)
- 아포칼립스(Apocalypse)
- 악령의 숲
- 알케미스트(Alchemist)
- 어나더 데이(Another Day)
- 어센션(Ascension)
- 엘 니뇨(El Nino)
- 우지 사라(Uzi Sara)
- 이너코븐(Inner Coven)
- 중원
- 크림슨 아일즈(Crimson Isles)
- 타우 크로스(Tau Cross)
- 트라이애슬론(triathlon)
- 트라이포드(Tripod)
- 트랜지스터(Transistor)
- 파워 본드(Power Bond)
- 패스파인더(Pathfinder)
- 플라즈마(Plazma)
- 화이트아웃(Whiteout)
4.3. 4스타팅 맵
- 76
- 815
- Dahlia of jungle
- Gorky island
- Martian Cross
- 가이아(Gaia)
- 개마고원
- 개척시대(Pioneer Period)
- 굿나잇(GOOD NIGHT)
- 그라운드 제로(Ground Zero)
- 그랜드 라인(GrandLine)
- 글래디에이터(Gladiator)
- 기요틴(Guillotine)
- 남자 이야기
- 네메시스(Nemesis)
- 노스탤지아(Nostalgia)
- 녹아웃(KnockOut)
- 단테스 피크(Dante's Peak)
- 데스페라도(Desperado)
- 데자뷰(Deja Vu)
- 디 아이(The Eye)
- 라그나로크(Ragnarok)
- 라데온(Radeon)
- 라르고(Largo)
- 라만차(La Mancha)
- 라 캄파넬라(La Campanella)
- 레몬(Lemon)
- 레퀴엠(Requiem)
- 레트로(Retro)
- 로드러너(Roadrunner)
- 로드킬(Road kill)
- 로스트 템플(Lost Temple)
- 루나(Luna)
- 리버스 템플(Reverse Temple)
- 리버 오브 플레임(River of Flame)
- 리볼버(Revolver)
- 링잉 블룸(Ringing Bloom)
- 머큐리(Mercury)
- 멀티버스(Multiverse)
- 메타버스(Metaverse)
-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 몽환
- 발해의 꿈
- 뱀파이어(Vampire)
- 버미어(Vermeer)
- 버티고(Vertigo)
- 벨트웨이(Beltway)
- 블레이드 스톰(Blade Storm)
- 블레이즈(Blaze)
- 블록체인(BlockChain)
- 비잔티움(Byzantium)
- 사우론(Sauron)/다크 사우론(Dark Sauron)
- 사일런트 볼텍스(Silent Vortex)
- 살라맨더(Salamandar)
- 샤쿠라스 템플(Shakuras Temple)
- 성안길
- 스노우 바운드(Snowbound)
- 스파클(Sparkle)
- 스페이스 오디세이(Space Odyssey)
- 시메트리 오브 싸이(Symmetry of Psy)
- 시타델(Citadel)
- 신의 정원
- 심판의 날
- 써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s)
- 아발론(Avalon)
- 아방가르드(Avant-Garde)
- 아질리아
- 아카디아(Arcadia)
- 안드로메다(Andromeda)
- 알레그로(Allegro)
- 알카노이드(Arkanoid)
- 알 포인트(R-Point)
- 얼티메이텀(Ultimatum)
- 얼티메이트 스트림(Ultimate Stream)
- 에디(In the Way of an Eddy)
- 에스컬레이드(Escalade)
- 에스트렐라
- 엔드리스 레이크(Endless Lake)[18]
- 엘리시온(Elysion)
- 오델로(Othello)
- 오버워치(Overwatch)
- 옵티마이저(Optimizer)
- 왕의 귀환
- 용오름
- 우산국
- 운고로 분화구(Un'Goro Crater)
- 워프게이트(Warp Gates)
- 위시본(Wishborn)
- 유보트(U-Boat)
- 이카루스(Icarus)
- 인디안 라멘트(Indian Lament)[A]
- 인큐버스(Incubus)
- 일렉트릭 서킷(Electric Circuit)
- 저격능선(Sniper Ridge)
- 정글 스토리(Jungle Story)
- 제노스카이(XenoSky)[20]
- 제이드(Jade)
- 조디악(Zodiac)
- 지오메트리(Geometry)
- 짐 레이너스 메모리(Jim Raynor's Memory)[21]
- 채러티(Charity)
- 철의 장막(The Iron Curtain)
- 청풍명월
- 카트리나(Katrina)
- 콜로세움(Colosseum)
- 킥백(KICK BACK)
- 태양의 제국(Empire of the Sun)
- 태풍의 눈(Eye of the Storm)
- 템페스트(Tempest)
- 투싼(Tucson) - 애리조나(Arizona)
- 투혼(Fighting Spirit)
- 트로이(Troy)
- 파미르 고원
- 파이썬(Python)[22]
- 판테온(Pantheon)
- 팔진도
- 패러렐 라인즈(Parallel Lines)
- 페르소나(Persona)
- 펠레노르(Pelennor)
- 포르테(Forte)
- 포비든 존(Forbidden Zone)
- 포트리스(The Fortress)
- 폭풍의 언덕
- 폴리포이드(Polypoid)
- 폴스타(Pole Star)
- 폴아웃(FallOut)
- 풍운
- 프로스트(Frost)
- 플레인즈 투 힐(Plains to Hill)
- 한니발(Hannibal)
- 호라이즌 달 기지(Horizon lunar colony)
- 홀리 월드(Holy World)
- 홀 오브 발할라(Hall of Valhalla)
- 황혼의 그림자(Shadow of Twilight)
- 히든트랙(Hidden Track)
4.4. 5스타팅 맵
4.5. 6스타팅 맵
- DMZ
- 딥 퍼플(Deep Purple)
- 망월
- 메두사(Medusa)(Brood War)
- 블리자드(Blizzard)
- 헌트리스(The Huntress)
- 빠른무한 : 아래에 있는 빨무와 맵은 같은데, 12시와 6시가 스타팅 포인트에 없다.
- Crazy Critters[23]
4.6. 8스타팅 맵
- 헌터(The Hunters)
- Big Game Hunters
- Badlands Big Game Hunters
- 빠른 무한맵
- 아이스헌터 (무한맵)
5. 유즈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타크래프트/유즈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타크래프트/유즈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기타
7. 관련 인물
8. 맵과 관련된 사이트
[1] 이전에도 ASL 맵을 등급전에 내놓은 적이 있었는데, 바로 트랜지스터였다.[2] 사실 투혼 자리도 원래는 레몬이 들어갔어야 했지만 레몬은 ASL에서 다수의 게이머들이 밴을 할 정도로 모든 멀티의 2가스 + 러쉬거리의 변수가 너무 커서 테프전은 토스맵, 저프전은 저그맵으로 밸런스가 완전히 기울어져 유저들 사이에서도 레몬은 반발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어 제외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투혼 역시 바로 직전 시즌인 ASL 시즌11 때 공식 맵으로 선정되기도 했는데, 아울러 추가되지 않은 서킷브레이커도 막판에 제외됐는지 데이터상으로는 포함되어 있다.[3] KSL 시즌2 공식맵[4] 등급전 맵 사상 처음으로 투혼과 서킷브레이커가 없는 시즌이다.[5] ASL 시즌10 공식맵[6] 역대 최장 시즌으로 래더 초기화가 없다고 불만이 있었는데, 2021년 9월 16일 블리자드에서 몇주내로 래더 초기화를 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7] 약 7개월 만의 래더맵 업데이트가 이뤄진 시즌이다.[8] ASL 시즌12 공식맵들이 추가되었고, 이 중 레몬이 빠지고 그 자리에 대신 투혼이 2시즌 만에 추가되었다.[9] 지난 시즌보다도 더 긴 역대 최장 시즌 기록을 경신하였다. 래더 초기화가 없다는 불만은 덤. 다만 블리자드에서는 2022년 9월 초에 다음주에 래더 초기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공지를 올렸다.[10] 처음에는 래더맵으로 알레그로와 메타버스가 사용되었으나 얼마 안가 교체되었다.[11] 사상 최초로 래더맵이 9개로 늘어난 시즌으로 ASL 시즌16 맵에 투혼과 버미어가 추가되었다.[12] ASL 시즌17 맵에 투혼과 버미어가 추가되었다가 27일에 버미어가 폴리포이드로 교체되었다.[13] 맵 에디터에서 기본 트리거도 밀리 맵을 기준(초기 자원 미네랄 50, 건물이 다 부서지면 패배)으로 잡고 있으며, 종족을 User Selectable(유저 선택)로 잡으면 초기 유닛이 무조건 밀리 맵처럼 주어진다.[14] MSL에서는 흔히 ROV로 표기했다고 한다.[15] 데모판에서 존재하는 유일한 맵. 11시 5시 스타팅이며 확장기지는 1시와 7시밖에 없다.[16] 1.0 버전 한정으로 4인용이었다가, 임성춘의 제안으로 테란의 강세를 막기 위해서 2인용으로 변경되었다.[17] 블리자드에서 만든 오리널 맵 중 하나인 메두사와는 전혀 다른 맵이다.[18] 겜비시 로드오브 종족 최강전 공식맵이다.[A] [20] 레가시 오브 차를 약간 개량해서 만든 맵이다.[21] 원래는 데저트 타일셋이었으나, 후에 정글로 교체되었다.[22] 맵 이름은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에서 유래했다고 한다.[23] 블리자드 공식맵으로 일명 동물맵. 지상 크리터들이 맵 전역에 빽빽하게 배치되어 있어 건물 짓기가 매우 힘들고 유닛 이동도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