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김천시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백락돈 | 제2대 류석영 | 제3대 정이환 | 제4대 권중효 | 제5-6대 이병관 |
제7대 여영복 | 제8대 신정화 | 제9대 정후조 | 제10대 조필호 | 제11대 이규홍 | |
제12대 김영만 | 제13대 김철순 | 제14대 박준무 | 제15대 김한엽 | 제16대 박창규 | |
제17대 박돈양 | 제18대 박재복 | 제19대 신우균 | 제20대 서정훈 | 제21대 신동길 | |
제22대 오헌덕 | 제23대 마용수 | 제24대 김광원 | 제25대 엄환섭 | 제26대 석진후 | |
제27대 고정환 | 제28대 조영찬 | 제29대 양종석 | 제30대 박광희 | 제31대 신의웅 | |
제32대 김의환 | 제33대 최제동 | 제34-36대 박팔용 | 제37-39대 박보생 | 제40-41대 김충섭 | |
제42대 배낙호 | |||||
| }}}}}}}}} |
제42대 경상북도 김천시장 배낙호 裵樂浩 | Bae Nak-ho | |||
| |||
<colbgcolor=#df600f> 출생 | 1958년 11월 10일 ([age(1958-11-10)]세) | ||
경상북도 김천시 | |||
거주지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학로 | ||
현직 | 경상북도 김천시장 김천 상무 FC 구단주[1] | ||
재임기간 | 제42대 경상북도 김천시장 | ||
2025년 4월 3일 ~ 현직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f600f><colcolor=#fff> 학력 | 금릉초등학교 (졸업) 김천중앙중학교 (졸업) 김천중앙고등학교 (졸업) 대한유도학교[2] (졸업)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사) |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 (1979년 2월 5일 ~ 1981년 11월 19일) | ||
소속 정당 | |||
시의원 선수 | 3 | ||
시의원 대수 | 5, 6, 7 | ||
약력 | 대한유도대학 총학생회장 박팔용 김천시장 정무비서 새누리당 전국위원 김천시체육회 이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제5-7대 경상북도 김천시의회 의원 제5대 경상북도 김천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 / 운영위원 제5대 경상북도 김천시의회 후반기 자치행정위원회 간사 제6대 경상북도 김천시의회 전반기 부의장 제6대 경상북도 김천시의회 후반기 의장 제7대 경상북도 김천시의회 후반기 의장 김천 상무 FC 대표이사 | }}}}}}}}} |
1. 개요
대한민국의 체육인 출신 정치인. 現 김천시장, 前 김천 상무 FC 대표이사, 김천시의회 의장이다.2. 생애
2.1. 시의원
1958년 11월 10일에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 금릉초등학교, 김천중앙중학교, 김천중앙고등학교, 대한유도학교(現 용인대학교),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1979년 2월 5일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하여 수도기계화보병사단에서 견인포병으로 복무하였고, 1981년 11월 19일 병장으로 만기전역하였다.이후 김천시에서 박팔용 전 시장[3]의 재임 시절 정무비서로서 정계에 처음 입문했으며, 이후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김천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김천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김천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김천시의원 재직 당시 제6대 김천시의회 전반기 부의장, 제6대 김천시의회 후반기 의장, 제7대 김천시의회 후반기 의장을 역임하였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체급을 올려 김천시장에 출마할 것으로 전망되었지만, 2017년 주한미군 THAAD 배치 논란을 두고 한국인에게 주권과 생존 그리고 김천시민과 후손들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문제인 사드 배치를 선출직에 있는 사람으로 막아내지 못한 것에 대해 늘 죄송함과 부담을 느껴왔다”며“차기 시장 후보로 거론되는 사람으로서 시민에게 보여 줄 것이 없다는 생각에 사드 배치 방송 직후 시장 출마 마음을 이미 내려놓았다”고 밝히며 불출마를 선언했다. #
2.2. 김천 상무 FC 대표 이사
2021년 김천 상무 FC의 대표 이사로 부임하였다.본격적인 구단 운영을 시작한 이후, 김천은 창단 첫해인 2021년, 조기 우승 확정으로 K리그1로 승격했다.
즉, 배낙호 대표이사의 열정적인 구단 지원책으로 창단 첫해에 ‘우승과 K리그1 승격’이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2022년은 ‘구단 역사상 최다 관중 기록’을 달성했는데, K리그1 승격 후인 2022년, 김천 상무에 대한 시민적 관심이 상당히 높아져, 첫 K리그1 홈경기에 2,932명의 관중이 종합운동장을 찾았다.
배낙호 대표이사를 중추로 하는 구단 운영팀은 시민들에게 다양한 볼거리, 즐길 거리로 여가선용의 기회와 화합의 장을 제공했다. 타 시군에 비해, 여가선용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김천에서 김천 상무가 축구 경기 그 이상을 이뤄냈다는 시민들의 호평이 자자했다.
2023년에는 K리그 최초로 구단 경영에 있어서, 다양한 활동을 펼쳐 왔다. 지역 상생 프로젝트로 지역 업체인 ‘비어(Beer)카스텔’과 협업하여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맥주 ‘GIMCHEON 2021’을 출시했고, 프로선수단이 직접 수확한 특산물을 홈경기 당일에 온·오프라인 라이브 커머스(Live Commerce/ 실시간 동영상 방송으로 상품 판매)로 판매하기도 했다. 그리고 2023 시즌, 마스코트 ‘슈웅’이가 지역 명소 방문을 유도하는 이벤트, ‘김천, 여기 어때’를 진행해 도시 브랜드 가치 향상에도 노력했다.
2.3. 2025년 재보궐선거 출마
2024 시즌 종료 후 김천 상무의 대표직에서 물러났으며,[4] 김충섭 전 시장의 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낙마로 공석이 된 김천시장직을 다시 뽑는 2025년 재보궐선거에 출마를 선언하며 국민의힘 후보 경선에 도전하게되었다.그리고 2025년 2월 21일, 국민의힘 컷오프를 통과하여 김응규 전 경상북도의회 의장, 임인배 전 의원[5], 이창재 전 김천시 부시장과 4자 경선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직후 임인배 전 의원과 이창재 전 부시장이 김응규 전 경상북도의회 의장으로 단일화하면서 김 전 의장과 양자 결선을 펼치게 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국민의힘 김천시장 후보로 선출되었다.
배낙호 후보는 출산 복지 인프라 정책으로 '김천복합의료타운 조성 사업', '돌봄 클러스터'과 농촌 경제 정책으로 '스마트 농업물류 거점 도시 조성', '청년 부농 육성 정책' 등을 내걸었다.
본선에서 당선되었다.
3.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북 김천 라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244 (24.04%) | 당선 (1위) | 초선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무투표 당선 | 재선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새누리당| | 3선 | |||
2025 | 재보궐선거 (기초자치단체장) | 경북 김천시장 | | 28,161 (51.86%) | 당선 (1위) | 초선 [6]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4회 지선 (경북 김천시 라선거구) | 2025년 재보궐선거 (경북 김천시장) | }}}}}}}}} |
역대 후보 이력 | ||||||||||||||||||||||||||||||||||||||||||||||||||||||||||||||||||||||||||||||||||||||||||||||||||||||||||||||||||||||||||||||||||||||||||||
|
4. 여담
- 2025년 재보궐선거에서 김천시장으로 당선되어 자연스럽게 대표이사를 역임했던 김천 상무 FC의 구단주로 부임하게되어 K리그 최초로 한 구단의 대표 이사와 구단주를 모두 역임한 인물이 되었다.[7]
5. 둘러보기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 경산 | 경주 | 구미 | 김천 | 문경 |
조현일 | 주낙영 | 김장호 | 배낙호 | 신현국 | |
상주 | 안동 | 영주 | 영천 | 포항 | |
강영석 | 권기창 | 이재훈 | 최기문 | 이강덕 | |
고령 | 봉화 | 성주 | 예천 | 영덕 | |
이남철 | 박현국 | 이병환 | 김학동 | 김광열 | |
영양 | 울릉 | 울진 | 의성 | 청도 | |
오도창 | 남한권 | 손병복 | 김주수 | 김하수 | |
청송 | 칠곡 | ||||
윤경희 | 김재욱 | ||||
* 김천시장 김충섭 당선무효 (2024.11.28.) * 영주시장 박남서 당선무효 (2025.3.13.) |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강범석 | 강성태 | 강수현 | 강영석 | 공한수 |
구인모 | 권기창 | 김경호 | 김경희 | 김광열 | |
김기웅 | 김기재 | 김길성 | 김대권 | 김덕현 | |
김동근 | 김동일 | 김명기 | 김문근 | 김병수 | |
김성수 | 김성제 | 김영길 | 김영욱 | 김윤철 | |
김장호 | 김재욱 | 김정헌 | 김진열 | 김진홍 | |
김찬진 | 김창규 | 김하수 | 김학동 | 김형찬 | |
김홍규 | 나동연 | 남한권 | 류규하 | 류한국 | |
문경복 | 박강수 | 박동식 | 박범인 | 박상돈 | |
박상수 | 박용철 | 박일하 | 박종효 | 박천동 | |
박현국 | 박형덕 | 박희조 | 방세환 | 배광식 | |
배낙호 | 백경현 | 백성현 | 백영현 | 서강석 | |
서동욱 | 서철모 | 서태원 | 서흥원 | 성낙인 | |
손병복 | 송인헌 | 신계용 | 신상진 | 신영재 | |
신현국 | 심규언 | 심재국 | 안병구 | 오도창 | |
오성환 | 오언석 | 오은택 | 오태완 | 오태원 | |
원강수 | 윤경희 | 윤석준 | 윤일현 | 이갑준 | |
이강덕 | 이권재 | 이기재 | 이남철 | 이동환 | |
이민근 | 이범석 | 이병선 | 이병환 | 이상근 | |
이상일 | 이상호 | 이성헌 | 이수희 | 이순걸 | |
이승화 | 이영훈 | 이완섭 | 이용록 | 이응우 | |
이재호 | 이충우 | 이태훈 | 이필형 | 이현재 | |
이현종 | 장준용 | 전성수 | 전진선 | 정문헌 | |
정영철 | 정종복 | 조규일 | 조근제 | 조길형 | |
조병길 | 조성명 | 조재구 | 조현일 | 주광덕 | |
주낙영 | 주석수 | 진병영 | 천영기 | 최명서 | |
최문순 | 최원철 | 최재구 | 최재형 | 최재훈 | |
최진봉 | 최충규 | 최호권 | 하승철 | 하은호 | |
홍태용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1c48> | K리그1 구단별 구단주 (2025)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김진태 | 강기정 | 배낙호 | 홍준표 |
함영주 | 허태수 | 이재준 | 최대호 | |
권오갑 | 정의선 | 김종화 | 최종진 | |
● WK리그 구단별 구단주 | K리그2 구단별 구단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