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기본 플레이 | |
시스템 | 세계 (시드) · 게임 모드 · 난이도 · 게임 규칙 · 엔딩 · 죽음 메시지 · 스플래시 · 명령어 · NBT · 거리 효과 · 런처 | |
인게임 | 아이템 · 몹 (플레이어) · 개체 · 날씨 · 차원 · 생물 군계 · 구조물 · 마법 부여 · 상태 효과 · 조작법 · 피해 · 업적 · 버그 | |
도움말 | 튜토리얼 · 팁 (탐험 · 파밍 · 회로) · 재생 가능한 자원 · 브릿징 · PVP · 파쿠르 · 스피드런 (베드락 에디션) · 건축 (맵아트) | |
시리즈 및 매체 | ||
출시 에디션 | 베드락 에디션 (업데이트) · 자바 에디션 (업데이트) · 중국 에디션 · 포켓 에디션* · 콘솔 에디션 (업데이트)* · 파이 에디션* · 4K* | |
파생 게임 | 외전 시리즈 ·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 · 마인크래프트 던전스* · 마인크래프트 레전드* ·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 · 마인크래프트 어스* | |
미디어 | OST · 관련 서적 · 레고 · 영화 · 애니메이션 · Minecraft Live · Minecraft Now · Minecraft Monthly | |
유저 콘텐츠 | ||
창작 요소 | 2차 창작 · 망토 · 맵 · 모드 (개발 · 팁 · 모드팩) · 애드온 · 팩 (리소스 팩 · 데이터 팩) · 외부 프로그램 · 핵 · 마켓플레이스 패스 · 밈 | |
멀티 콘텐츠 | 멀티플레이 · 서버 · 플러그인 · Realms · EULA | |
개발 | 개발 기초 · 모드 개발 · 플러그인 개발 | |
기타 | ||
이야깃거리 | 여담 · 커뮤니티 · 위키 · 사건 사고 · 문제점 · 용어 · 지원 언어 · 머나먼 땅 · 이미테이션 게임 · 히로빈 | |
틀 | · · · | |
관련 문서 | 나무위키 마인크래프트 프로젝트 · 마인크래프트로 분류된 문서 · 마인크래프트의 하위 문서ㆍ닉네임 및 스킨 | |
새로운 컨텐츠 | ||
구리 시대 (출시 예정) | ||
하늘을 쫓아서 |
| |
* 표시는 서비스가 종료되었거나 개발이 중단되었다는 표시이다. | }}}}}}}}} |
※ 이 기능은 자바 에디션 전용입니다. |
1. 개요
|
일반 디버그 스크린 예시 |
|
게임 규칙 reduceDebugInfo 의 값이 true로 설정되어 있을 때의 디버그 스크린 예시 |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존재하지 않지만 별도의 옵션을 통해 현재 위치를 게임 화면의 왼쪽 위에 항시 뜨워 놓을 수 있다.
바닐라 기준으로 작성한다.
2. 그래프
2.1. F3+1
파이 차트(Pi chart)라고 불리기도 한다. 프로파일링 정보를 표시한다. 하위 섹션에 액세스하려면 숫자를 누른다.
2.2. F3+2
최근 240개 프레임 그래프를 보여준다. 그래프가 높을수록 게임이 느려지며, 색이 연두색(좋음)에서 빨간색(나쁨)까지 그라데이션으로 표현된다.
최근 240개 틱 그래프를 보여준다. 그래프가 높을수록 게임이 느려진다. 이 그래프는 싱글이거나 OP가 있는 플레이어만 보여진다.
2.3. F3+3
(이미지 파일. 대역폭 그래프)최근 240개 패킷을 보여준다. 그래프가 높을수록 패킷 용량이 크다.
최근 240개 핑을 보여준다. 높을수록 지연 시간이 더 길다.
3. 목록
3.1. 왼쪽
왼쪽 구역은 대부분 게임 정보가 있다.- Minecraft <version> (<version>/vanilla/snapshot)
- <version>: 현재 실행 중인 버전을 출력한다. (예: 1.21.6)
- vanilla: 클라이언트의 개조 상태, 순정이라면 vanilla로 출력하며 개조 클라이언트라면 모드 로더(Forge, Fabric 등)를 출력한다.
- snapshot: 현재 실행 중인 버전이 스냅샷이라면 출력된다.
- 프레임 fps T:최대_프레임 vsync 그래픽설정 구름설정 B:생물 군계혼합 gpu:예상GPU사용량
- 프레임 fps: 현재 프레임.
- T:최대_프레임: 최대 프레임. inf일 경우 제한이 없다는 의미다.
- vsync: 수직 동기화 설정이 켜져있을 경우에만 나타난다.
- 그래픽설정: 그래픽 설정 값이다. fast는 빠르게, fancy는 화려하게, fabulous는 기막하게!다.
- 구름설정: 구름 그래픽 설정 값이다. fast-clouds는 빠르게, fancy-clouds는 화려하게, 숨겨져있다면 꺼짐이다.
- B:생물 군계혼합: 생물 군계 혼합 값이다.
- gpu:예상GPU사용량: 예상 GPU 사용량이다. 작업 관리자의 GPU 사용량과 조금 다르다.
- 브랜드 server @ 밀리초 ms ticks, 보냄 tx, 받음 rx
- 브랜드 server: 서버 브랜드[1]를 확인한다. 싱글일 경우 Integrated로 표시된다.
- 밀리초 ms ticks: 싱글에만 보이며, 1틱을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ms)을 확인한다.
- 보냄 tx: 1틱동안 클라이언트가 보낸 평균 패킷 수.
- 받음 rx: 1틱동안 클라이언트가 받은 평균 패킷 수.
- C: 0/15000 (s) D: 렌더거리, pC: 000, pU: 00, aB: 16
- C: 0/15000 (s): ???
- D: 렌더거리: 클라이언트측 렌더 거리.
- pC: 000: ???
- pU: 00: ???
- aB: 16: ???
- E: 개체, B: 0, SD: 시뮬거리
- E: 개체: 렌더링된 개체 수/총 개체 수
- B: 0: 미사용 값. 항상 0이다.
- SD: 시뮬거리: 시뮬레이션 거리.
- P: 파티클. T: ?
- P: 파티클: 렌더링된 파티클의 수.
- T: ?: ???
- XYZ: x / y / z
- 현재 플레이어의 위치다. 흔히 좌표라고 불린다.
- x: 양수일 경우 동쪽, 음수일 경우 서쪽.
- y: 높이.
- z: 양수일 경우 남쪽, 음수일 경우 북쪽.
- Block: x y z [cx cy cz]
- 현재 플레이어의 블록 위치.
- x y z: 위치.
- cx cy cz: 청크의 상대적인 좌표
- Chunk: x y z [?? ? in r.x.z.mca]
- ???
- Facing: 시선 (Towards (Negative|positive) (X|Z)) (옆/위아래)
- Client Light: 15 (15 sky, 0 block)
- 클라이언트측 밝기. sky는 하늘 기준. block은 블록 기준이다.
- CH
- SH
- Biome: (생물 군계의 ID)
- 현재 플레이어의 마인크래프트/생물 군계의 ID이다.
- Local Difficulty: 1.50 // 0.00 (Day 0)
- 지역 난이도를 보여준다.
- Blending: Old.
- 현재 청크가 이전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경우에 나타난다.
- NoiseRouter: T: temperature V: vegetation C: continents E: erosion D: depth W: ridges PV: peaksAndValleys AS: initial_density_without_jaggedness N: final_density
- 지형과 생물 군계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현재 위치의 노이즈 값이다.
- temperature: 온도
- vegetation: 습도
- Biome builder PV: peaksAndValleys C: continentalness E: erosion T: temperature H: humidity
- SC: chunks, M: monsters, C: creatures, A: ambient, A: axolotls, U: underground, W: water, W: fish, M: misc
- 로딩된 개체 정보.
- chunks: 로드된 몹 생성 청크의 총 수.
- monsters: 몹 캡에 포함되는 공격적 몹의 총 수.
- creatures: 비공격적 몹의 총 수.
- ambient: 분위기용 몹(박쥐 등) 총 수.
- axolotls: 아홀로틀(아홀로틀) 총 수.
- underground: 지하에 서식하는 몹(발광 오징어 등) 총 수.
- water: 물에 서식하는 몹(오징어, 돌고래) 총 수
- fish: 물고기 몹(대구, 연어, 복어, 열대어) 총 수.
- misc: 그 외의 몹 수...
- Sounds: static + streaming (Mood mood)
- Shader: 경로
- 현재 활성화된 셰이더 경로. 셰이더가 활성화된 경우에만 나타난다.
- Debug charts: [F3+1] Profiler (숨김/보임); [F3+2] FPS+TPS (숨김/보임); [F3+3] Ping (숨김/보임)
- [F3+1] Profiler (숨김/보임): 디버그 파이를 표시한다.
- [F3+2] FPS+TPS (숨김/보임): FPS 차트를 표시한다. 싱글 또는 OP가 있을 경우 TPS도 보여준다.
- [F3+3] Ping (숨김/보임): 인터넷 대역폭을 확인하고, 0.05초마다 서버 핑을 측정한다.
- For help: press F3 + Q
- F3 + Q를 눌러 F3 단축키를 채팅창에 표시한다.
3.2. 오른쪽
오른쪽 구역은 대부분 시스템 정보가 있다.- Java: <version>
- <version> : 현재 마인크래프트를 실행하는 Java의 버전을 출력한다. (예: 21.0.7)
- Mem: 백분율/현재 메모리 사용량/할당된 최대 메모리 용량
- Allocation rate:
- Allocated: 백분율 할당된 메모리 용량
- CPU: 코어 이름 : 현재 사용하는 CPU 정보를 표시한다.
- 코어: 현재 사용하는 CPU의 코어 수 (예: CPU 코어가 8개라면 8x)
- 이름: CPU의 브랜드(Intel, AMD 등), 이름, 모델, 속도(GHz)를 보여준다.
- Display: 해상도 (공급업체) : 현재 사용 중인 해상도 및 그래픽 카드 정보를 표시한다.
- 해상도: 게임의 해상도. (예: 1920x1080)
- 공급업체: 공급업체명. 현재 사용하는 그래픽 카드에 따라 달라진다. 인텔 내장/외장 그래픽 카드라면 Intel Inc 또는 Intel, NVIDIA 그래픽 카드의 경우 NVIDIA Corporation, AMD 내장/외장 그래픽 카드라면 AMD로 표시된다.
- renderer: 대부분의 경우 현재 사용 중인 (외장/내장) 그래픽 카드 이름을 출력한다.
- 버전: 게임에서 사용 중인 OpenGL 버전.
4. 향후 업데이트 예정
F3+F5
로 접근하여 해당 정보를 끄거나 F3에서만 키거나 항상 킬 수 있다. 너무 많이 활성화 하면 컴퓨터를 느려지게 하거나, 게임에 크래시를 발생시키거나, 당신의 애완돌을 먹여버릴 수도 있으니 주의바란다.\n
은 줄 바꿈을 의미한다.biome
:Biome: (생물 군계의 ID)
- 현재 플레이어의 마인크래프트/생물 군계의 ID이다.
chunk_generation_stats
chunk_render_stats
chunk_source_stats
entity_render_stats
:E: 개체, SD: 시뮬거리
개체
: 렌더링된 개체 수/총 개체 수SD
: 시뮬레이션 거리.entity_spawn_counts
:SC: chunks, M: monsters, C: creatures, A: ambient, A: axolotls, U: underground, W: water, W: fish, M: misc
chunks
: 로드된 몹 생성 청크의 총 수.monsters
: 몹 캡에 포함되는 공격적 몹의 총 수.creatures
: 비공격적 몹의 총 수.ambient
: 분위기용 몹(박쥐 등) 총 수.axolotls
: 아홀로틀(아홀로틀) 총 수.underground
: 지하에 서식하는 몹(발광 오징어 등) 총 수.water
: 물에 서식하는 몹(오징어, 돌고래) 총 수fish
: 물고기 몹(대구, 연어, 복어, 열대어) 총 수.misc
: 그 외의 몹 수...fps
:프레임 fps T: 최대프레임 vsync
프레임 fps
: 현재 프레임.T: 최대프레임
: 최대 프레임. inf일 경우 제한이 없다는 의미다.vsync
: 수직 동기화 설정이 켜져있을 경우에만 나타난다.game_version
:Minecraft <version> (<version>/vanilla)
<version>
: 현재 실행 중인 버전을 출력한다. (예: 1.21.9, 25w35a)vanilla
: 기본적으로 vanilla로 출력하며, 개조된 클라이언트일 경우 모드 로더(NeoForge, Fabric 등)를 출력한다.gpu_utilization
:GPU: 예상GPU사용량
예상GPU사용량
: 예상 GPU 사용량.heightmap
:CH: S: 값, M: 값, ML: 값\n SH: S: 값, O: 값, M: 값, ML: 값
CH
S
M
ML
SM
S
O
M
ML
loght_levels
:Client Light: 15 (15 sky, 0 block)
- 클라이언트측 밝기. sky는 하늘 기준. block은 블록 기준이다.
local_difficulty
:Local Difficulty: 1.50 // 0.00 (Day 0)
- 지역 난이도를 보여준다.
looking_at_block
:Targeted Block: x, y, z \n id \n tags
- 현재 바라보고 있는 블록의 정보. 위치, ID(minecraft:stone 등), 태그를 보여준다.
looking_at_entity
:Targeted Entity\n ID
- 현재 바라보고 있는 개체의 정보. ID(minecraft:zombie 등)를 보여준다.
looking_at_fluid
:Targeted Fluid: x, y, z \n ID \n falling: bool \n tags
- 현재 바라보고 있는 유체의 정보.
memory
:Mem: 백분율 현재메모리사용량/최대메모리용량MB\nAllocation rate: 메모리할당속도MB/s\n Allocated 백분율% 할당된메모리MB
Mem
백분율
: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사용량의 백분율.현재메모리사용량
: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사용량(MB)최대메모리용량
: 최대 메모리 사용량(MB)Allocation rate
Allocated
백분율
할당된메모리
particle_render_stats
:P: 입자수
입자수
: 현재 렌더링된 입자의 수.player_position
:XYZ: x / y / z \n Block: x y z \n Chunk: x y z [x z in r.x.z.mca] \n Facing: 시선 (Towards (Negative|positive) (X|Z)) (옆/위아래) \n 차원ID FC:
XYZ
: 현재 플레이어의 위치.(소수점 3자리까지)x
: 양수일 경우 동쪽, 음수일 경우 서쪽.y
: 높이.z
: 양수일 경우 남쪽, 음수일 경우 북쪽.Block
: 현재 플레이어의 블록 위치.x
: 양수일 경우 동쪽, 음수일 경우 서쪽.y
: 높이.z
: 양수일 경우 남쪽, 음수일 경우 북쪽.Chunk
: 현재 플레이어의 청크 위치.x
: 양수일 경우 동쪽, 음수일 경우 서쪽.y
: 높이.z
: 양수일 경우 남쪽, 음수일 경우 북쪽.Facing
: 현재 플레이어의 시점.차원ID
: 현재 플레이어의 차원 ID(minecraft:overworld 등).FC
Force Chunk. 강제 로드 중인 청크의 수.player_section_position
:Section-relative x y z
- 청크의 상대적인 좌표.
post_effect
:Post: id
id
현재 사용 중인 후처리 셰이더.simple_performance_impactors
sound_mood
:Sounds: static + streaming (Mood mood)
static
: 현재 재생 중인 소리의 개수와 최대 소리의 개수.streaming
: ?mood
: ?system_specs
:Java: <version>\n CPU: 코어 이름\n Display: 해상도 공급업체\n 렌더러\n 버전
- <version> : 현재 마인크래프트를 실행하는 Java의 버전을 출력한다. (예: 21.0.7)
코어
: 현재 사용하는 CPU의 코어 수 (예: CPU 코어가 8개라면 8x)이름
: CPU의 브랜드(Intel, AMD 등), 이름, 모델, 속도(GHz)를 보여준다.해상도
: 게임의 해상도. (예: 1920x1080)공급업체
: 공급업체명. 현재 사용하는 그래픽 카드에 따라 달라진다. 인텔 내장/외장 그래픽 카드라면 Intel Inc 또는 Intel, NVIDIA 그래픽 카드의 경우 NVIDIA Corporation, AMD 내장/외장 그래픽 카드라면 AMD로 표시된다.렌더러
: 대부분의 경우 현재 사용 중인 (외장/내장) 그래픽 카드 이름을 출력한다.버전
: 게임에서 사용 중인 OpenGL 버전.tps
:브랜드 server @ 밀리초 ms ticks, 보냄 tx, 받음 rx
브랜드
: 서버 브랜드[2]를 확인한다. 내부 서버(싱글, LAN 서버의 소유자)의 경우 Integrated로 표시된다.밀리초 ms ticks
: 싱글에만 보이며, 1틱을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ms)을 확인한다.보냄 tx
: 1틱동안 클라이언트가 보낸 평균 패킷 수.받음 rx
: 1틱동안 클라이언트가 받은 평균 패킷 수.- Debug charts: [F3+1] Profiler (숨김/보임); [F3+2] FPS+TPS (숨김/보임); [F3+3] Ping (숨김/보임)
- [F3+1] Profiler (숨김/보임): 디버그 파이를 표시한다.
- [F3+2] FPS+TPS (숨김/보임): FPS 차트를 표시한다. 싱글 또는 OP가 있을 경우 TPS도 보여준다.
- [F3+3] Ping (숨김/보임): 인터넷 대역폭을 확인하고, 0.05초마다 서버 핑을 측정한다.
- For help: press F3 + Q
F3 + Q
키를 눌러 대화창에 도움말을 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