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2:39:24

마인크래프트/아이템/재료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고대 잔해에 대한 내용은 마인크래프트/아이템/자연 블록 문서
번 문단을
고대 잔해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고대 잔해:
마인크래프트/아이템/자연 블록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고대 잔해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뼛가루\에 대한 내용은 마인크래프트/아이템/도구 및 유용한 물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뼛가루\:
마인크래프트/아이템/도구 및 유용한 물건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거북 등딱지에 대한 내용은 마인크래프트/아이템/전투 문서
번 문단을
거북 등딱지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거북 등딱지:
마인크래프트/아이템/전투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거북 등딱지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복어\에 대한 내용은 마인크래프트/아이템/음식 및 음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복어\:
마인크래프트/아이템/음식 및 음료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마인크래프트/아이템

||<-6><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arkgreen><tablebgcolor=#fff,#1c1d1f>
파일:마인크래프트 로고.svg
아이템 관련 문서
||
파일:마인크래프트/벽돌(블록).png
건축 블록
파일:마인크래프트/청록색 양털.png
색깔 블록
파일:마인크래프트/잔디 블록.png
자연 블록
파일:마인크래프트/제작대.png
기능 블록
파일:마인크래프트/레드스톤 가루.png
레드스톤 블록
파일:마인크래프트/다이아몬드 곡괭이.png
도구 및 유용한 물건
파일:마인크래프트/네더라이트 검.png
전투
파일:마인크래프트/황금 사과.png
음식 및 음료
파일:마인크래프트/철 주괴.png
재료
파일:마인크래프트/명령 블록.png
생성 알 & 특수 아이템
{{{#!wiki style="margin:-16px -11px"
}}}||

1. 개요2. 지하 자원
2.1. 석탄 · 숯2.2. 철2.3. 구리2.4. 금2.5. 레드스톤2.6. 에메랄드2.7. 청금석2.8. 다이아몬드2.9. 네더라이트2.10. 네더 석영2.11. 자수정 조각
3. 일반 재료
3.1. 막대기3.2. 부싯돌3.3. 밀3.4. 눈덩이3.5. 달걀3.6. 벌집 조각3.7. 점토 덩이3.8. 그릇3.9. 벽돌3.10. 종이 · 책3.11. 폭죽 탄약3.12. 아르마딜로 인갑
4. 전리품
4.1. 뼈다귀4.2. 실4.3. 깃털4.4. 가죽4.5. 먹물 주머니4.6. 거북 인갑4.7. 슬라임볼4.8. 블레이즈 막대기 · 가루4.9. 네더의 별4.10. 바다 전리품4.11. 엔드 차원 전리품4.12. 메아리 조각 · 음반 파편4.13. 도자기 조각4.14. 대장장이 형판4.15. 시련 열쇠4.16. 브리즈 막대기4.17. 무거운 코어4.18. 수지 덩어리
5. 염료6. 양조 재료
6.1. 유리병6.2. 네더 사마귀6.3. 레드스톤 가루6.4. 발광석 가루6.5. 화약6.6. 드래곤의 숨결6.7. 거미 눈6.8. 설탕6.9. 토끼발6.10. 반짝이는 수박 조각6.11. 마그마 크림6.12. 가스트 눈물6.13. 팬텀 막
7. 현수막 무늬8. 마법 부여 관련
8.1. 경험치 병8.2. 마법이 부여된 책
9. 출시 예정
9.1. 갈색 · 파란색 달걀

1. 개요

마인크래프트의 아이템들 중, 크리에이티브 인벤토리에서 재료(Ingredients) 탭에 분류된 아이템들을 칭한다.

2. 지하 자원

2.1. 석탄 · 숯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석탄 · 숯
Coal · Charcoal
파일:마인크래프트/석탄.png파일:마인크래프트/숯.png
석탄, 숯
용도 재료, 연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로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0.1

#### ▽ 출력 슬롯 시작

1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0.05

#### ▽ 출력 슬롯 시작

10
제작대 }}}}}}

석탄은 석탄 광석을 부숴서 구할 수 있으며, 숯은 오버월드 원목을 화로에 가열하여 구할 수 있다. 석탄도 광석을 가열하면 나오나, 연료인 석탄을 얻기 위해 다른 연료를 소비해야 하므로 그냥 캐는 것이 효율적이다.

석탄과 숯은 공통적으로 화로의 연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석탄 또는 숯 하나당 80초 동안 화로에 불을 땔 수 있으며, 아이템 가공에는 일괄적으로 10초가 소요되므로 아이템 8개를 가공할 수 있다. 재료를 8의 배수로 넣어주면 자원이 부족한 초반에 큰 도움이 된다. 마찬가지로 많이 사용하게 되는 연료인 원목 또는 판자는 한 개당 아이템 1.5개를 가공할 수 있다.

석탄은 블록으로 압축할 수 있고 주민 거래에 사용되나, 숯은 압축이 불가능하고 거래에 사용되지 않는다. 숯의 존재 의의는 석탄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체품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그 밖에도 석탄과 숯은 횃불이나 모닥불 등 여러 조합에 서로 대체 가능한 재료로 사용된다.

석탄 없이 돌과 나무만 구한 경우, 원목이나 판자는 개당 15초 동안 화로를 가동하므로 원목 1개=판자 4개=6개의 아이템을 가공할 수 있다. 반면 숯을 이용하면 원목 7개=숯 6개=48개의 아이템을 가공할 수 있다. 분명 숯을 만드는 방법이 근소한 차이로 더 효율적이지만 원목을 숯으로 만드는데 시간이 소요되므로 그렇게 효율적인 방법은 아니다. 6개의 숯을 만들기 위해 하나의 화로에서만 진행한다면 60초, 최대 효율을 생각해서 화로 두 개에서 진행한다 쳐도 30초나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미리 만들어놓고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다는 점 덕분에 가성비는 좋다. 또한 게임 시작 첫날에는 숯을 만드는 것이 차라리 나을 수도 있다. 숯이 없다면 첫날 밤 오기전에 횃불을 만들기 위해 석탄찾아 삼만리가 되어버릴 수도 있다.
[clearfix]

2.2.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Iron
파일:마인크래프트/철 원석.png 파일:마인크래프트/철 주괴.png파일:마인크래프트/철 조각.png
철 원석, 철 주괴, 철 조각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로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0.7

#### ▽ 출력 슬롯 시작

1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0.7

#### ▽ 출력 슬롯 시작

10
제작대 }}}}}}

철 광석을 부숴서 철 원석(Raw Iron)을 구할 수 있으며 원석을 화로에 가열하여 철 주괴(Iron Ingot)로 만들 수 있다. 철 주괴는 좀비류나 철 골렘 처치 시 드롭되기도 하며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나오기도 한다. 철 광석을 화로에 가열해도 철 주괴로 만들 수 있으나, 특정 아이템의 드롭 갯수를 늘려 주는 행운 마법 부여가 적용된 곡괭이가 있을 경우 광석 1블록을 캐도 확률적으로 원석이 여러 개 드롭되므로 효율이 좋아진다.

초반에 가장 중요하고 쓸모가 많은 자원으로, 철 곡괭이가 있어야 다이아몬드를 캘 수 있게 되고 본격적인 방어구도 갖출 수 있게 됨으로써 본격적인 게임 플레이에 돌입할 수 있다. 물론 가죽으로도 방어구를 만들 수는 있으나, 방어력이 낮아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만드는 경우가 거의 없다.

또한 액체를 퍼담을 수 있는 양동이와, 자동화 장치에 필수적인 호퍼, 그리고 양털을 깎고 나뭇잎을 채취할 수 있는 가위에도 사용된다. 아이템을 수리하거나 마법이 부여된 책을 이용해 도구와 갑옷에 마법을 부여할 수 있는 모루 제작에도 필요하며, 철 블록을 만들어 신호기 활성화에 사용하거나 철 골렘을 제작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게다가 주민에게 팔아 에메랄드를 얻을 수도 있다. 이렇듯 철은 초반뿐만 아니라 후반까지도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자원이다.

철 주괴는 철 조각(Iron Nugget) 9개로 분해할 수 있으며, 반대로 철 조각을 철 주괴로 압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작 말고도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고 철이 주 재료인 아이템을 화로에 가열하면 철 조각이 나온다. 철 조각은 랜턴사슬의 재료로 사용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각각 '원석 철', '철괴', '철덩이'로 번역되었다.
[clearfix]

2.3. 구리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구리
Copper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원석.png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주괴.png
구리 원석, 구리 주괴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로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0.7

#### ▽ 출력 슬롯 시작

1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0.7

#### ▽ 출력 슬롯 시작

10
제작대 }}}}}}

구리 광석을 부숴서 구리 원석(Raw Copper)을 구할 수 있으며 원석을 화로에 가열하여 구리 주괴(Copper Ingot)로 만들 수 있다.

구리 주괴는 드라운드 처치 시 가끔 나오기도 한다. 광석도 화로에 가열하면 구리 주괴로 만들 수 있으나, 구리 광석을 부수면 못해도 2개의 구리 원석이 나오므로 무조건 원석으로 캐서 화로에 가열하는 것이 이득이다.

채집, 전투 도구나 갑옷 등지에는 재료로 사용되지 않으나, 비교적 높은 고도에서 쉽게 대량으로 찾을 수 있는 광물로서 압축하여 건축 블록으로 활용된다. 또한 구리 전구, 피뢰침, 망원경, 의 재료로 사용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구리 원석의 경우 '원석 구리'로 번역되었다.
[clearfix]

2.4.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Gold
파일:마인크래프트/금 원석.png 파일:마인크래프트/금 주괴.png파일:마인크래프트/금 조각.png
금 원석, 금 주괴, 금 조각
용도 재료, 피글린 거래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로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1.0

#### ▽ 출력 슬롯 시작

1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1.0

#### ▽ 출력 슬롯 시작

1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1.0

#### ▽ 출력 슬롯 시작

10
제작대 }}}}}}

지하에서 금 광석을 부숴서 금 원석(Raw Gold)을 구할 수 있으며 원석을 화로에 가열하여 금 주괴(Gold Ingot)으로 만들 수 있다. 주괴는 좀비화 피글린을 처치하거나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다. 금 광석도 화로에 가열하면 금 주괴로 만들 수 있다.

석탄, 철, 다이아몬드와 함께 오랫동안 존재해왔던 지하 자원 중 하나이며, 신호기 활성화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다. 네더의 피글린들이 좋아하는 광물이라는 설정이 있기에, 일반적으로 플레이어를 선공하는 적대적 몹인 피글린은 금 갑옷을 한 부위 이상 착용한 플레이어를 먼저 공격하지 않으며 금 주괴로 피글린과 물물거래를 할 수 있다. 하지만 금 갑옷을 입고 있어도 플레이어가 금과 관련된 블록을 파괴하거나 보관함을 여는 등의 행위를 하면 적대 상태가 될 수 있다.

금 도구와 갑옷을 제작할 수 있지만, 현실 반영이 제대로 되지 않은 다이아몬드나 흑요석과는 다르게, 무른 금속이라는 설정이 반영되어 금 도구들은 내구도가 극단적으로 낮으며, 갑옷은 내구도뿐만 아니라 성능도 나사가 빠져있다. 금 도끼, 삽, 곡괭이는 낮은 내구도에 대한 보상인지 속도가 다이아몬드 도구들보다도 빠르나, 내구도가 낮은 탓에 50블록도 부수지 못하고 부서지는, 특히 곡괭이는 효율 5까지 붙여놨다면 수 초 안에 부서지는 진풍경을 볼수 있다. 금 곡괭이를 수십개 만들어도 몇십 개 못캐내고 부서지기 때문에 성능만 최강이지 효율은 지극히 낮다. 거기에 금 곡괭이는 곡괭이 자체의 성능이 나무 곡괭이랑 동일하다.

그래서 조합으로 만드는 일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될 정도이지만, 좀비가 장비하고 나올 확률이 48.73%로 절반 수준으로 높고 나사 빠진 성능도 어쨌거나 가죽 갑옷의 1.5배 정도의 방어력과 내구도를 가진지라 철 광석이 궁한 경우 좀비를 잡고 드롭된 아이템을 대충 장비하곤 한다. 다만 예외가 있는데, 가죽 이외에는 제작이 안 되는 금 말 갑옷의 경우 방어가 7로 최종 티어인 다이아몬드 갑옷 다음으로 성능이 좋다.

따라서 금은 도구나 갑옷의 조합 재료로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그 대신 황금 사과, 황금 당근, 동력 레일 같은 고급 아이템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고, 피글린과의 거래로 엔더 진주를 얻거나 성직자 주민에게서 에메랄드로 교환할 수 있는 등, 사용처는 많은 편이다. 특히 네더라이트 주괴를 만들 때 금 주괴가 4개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실상 철과 함께 가장 중요한 광물이다.

금 주괴는 분해해서 금 조각(Gold Nugget)으로 만들 수 있으며 반대로 금 조각을 금 주괴로 압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 조각은 제작 말고도 일부 구조물의 상자나 피글린, 좀비화 피글린들을 죽이면 얻을 수 있고, 금이 주 재료인 아이템을 화로에 가열하면 금 조각이 나온다.

금은 유일하게 2차 가공을 통해 다른 금속을 만드는데 쓰인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각각 '원석 금', '금괴', '금덩이'로 번역되었다.
[clearfix]

2.5. 레드스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인크래프트/아이템/레드스톤 블록 문서
번 문단을
레드스톤 가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에메랄드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에메랄드
Emerald
파일:마인크래프트/에메랄드.png
용도 주민 거래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로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1.0

#### ▽ 출력 슬롯 시작

10
제작대 }}}}}}

에메랄드 광석을 부수거나 화로에 가열해 획득할 수 있다. 변명자·소환사를 처치해서 구하거나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고, 주민과의 거래로도 구할 수 있다.

9개를 모아 블록으로 압축할 수 있다. 건축에 활용할 수도 있지만, 주민과의 거래에 필요한 화폐로서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구매와 판매 모두에 에메랄드가 통용되므로, 지나치게 남는 자원이 있다면 주민에게 판매함으로써 에메랄드의 수량을 불릴 수 있다. 더 많은 에메랄드는 더 큰 구매력을 제공하므로, 모든 주력 아이템이 갖춰지는 후반에 다다르기 전까지는 에메랄드를 최대한 많이 얻고 자주 소비해 주는 것이 좋다. 물론 후반에 다다랐다고 해도 황금 당근이나 마법부여된 책 등, 필요하지만 직접 만들기는 번거로운 아이템들을 에메랄드로 간단하게 살 수 있으니 게임 후반부에도 요긴하게 쓰인다.

반대로, 주민과 거래를 잘 하지 않는다면 에메랄드의 가치는 번거로운 장식 블록 수준으로 떨어지게 된다.
[clearfix]

2.7. 청금석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청금석
Lapis Lazuli
파일:마인크래프트/청금석.png
용도 재료, 마법 부여 재화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로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1.0

#### ▽ 출력 슬롯 시작

10
제작대 }}}}}}

청금석 광석을 부수거나 화로에 가열하여 만들 수 있다. 일부 구조물의 상자나 성직자 주민과의 거래로도 구할 수 있다.

주요 사용처는 마법 부여인데, 장비에 마법을 부여할 때 단계마다 1~3개의 청금석을 요구한다. 이 밖에는 분해해서 파란색 염료로 만들 수 있다.
[clearfix]

2.8. 다이아몬드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다이아몬드
Diamond
파일:마인크래프트/다이아몬드.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로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1.0


10
제작대 }}}}}}

지하에서 다이아몬드 광석을 부수거나 화로에 가열하여 만들 수 있다. 여러 구조물의 상자에서도 나오기도 한다.

제작대에서 갑옷이나 도구로 만들 수 있고, 이외에 주크박스, 마법부여대를 제작할 때 필요하며, 신호기의 구성 블록이나 소모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석탄, 철, 금과 함께 10여년 넘게 존재해온 중반부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지하 자원으로, 다이아몬드로 만든 도구들은 철 도구보다 성능이 뛰어나고 내구도가 더 높다.[1] 또한, 마법 부여대를 제작해 장비에 마법부여를 함으로써 장비의 성능을 보다 증대시킬 수도 있다. 다른 광석들과 마찬가지로 다이아몬드 9개를 다이아몬드 블록 1개로 압축할 수 있다.

현실에서의 다이아몬드가 매우 희귀한 것처럼,[2] 마인크래프트 팬덤 내에서도 다이아몬드는 갑부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지만, 1.14 업데이트로 주민에게서 다이아몬드 장비를 구매할 수 있게 되고, 1.16 업데이트로 다이아몬드보다 귀한 가상의 광물이자 다이아몬드의 상위 자원인 네더라이트가 나왔으며, 1.18 동굴 업데이트 후로 다이아몬드 발견 난이도가 낮아짐에 따라 위상이 떨어진 감이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최고 등급 자원이라는 위치만 빼앗겼을 뿐 다이아몬드 장비가 있어야만 네더라이트 장비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취급은 귀하며, 1.20 업데이트 이후로 네더라이트 장비를 제작하는데에 대장장이 형판을 요구하게 바뀌면서 형판을 복사하는 데 대량으로 들어가기에 오히려 이전보다 가치가 높아졌다.
[clearfix]

2.9. 네더라이트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네더라이트
Netherite
파일:마인크래프트/네더라이트 파편.png 파일:마인크래프트/네더라이트 주괴.png
네더라이트 파편, 네더라이트 주괴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로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2.0


5
제작대 }}}}}}

고대 잔해를 화로에 가열해 네더라이트 파편(Netherite Scrap)으로 만들 수 있고 네더라이트 파편과 금 주괴 각각 4개로 네더라이트 주괴(Netherite Ingot)를 만들 수 있다. 둘 다 보루 잔해의 상자에서 종종 나온다.

다이아몬드의 상위 등급 자원. 현재에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네더라이트는 고대 잔해를 발굴해 이를 재가공하는 방식이다.[3] 오직 다이아몬드 장비에만 강화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이아몬드나 형판을 충분히 확보하기 전까지는 네더라이트를 제작해도 사용처가 제한된다. 네더라이트가 아이템 제작에 사용되는 경우는 나침반이 작동하지 않는 네더와 엔드에서 나침반이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방위를 제공하는 자석석을 제작하는 것 뿐이다.[4]

고대 잔해 및 네더라이트 장비와 공유하는 성질로, 아이템 상태에서도 용암이나 불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다. 특히 갑옷의 경우 불에 타지 않는다는 점을 반영한 건지 착용한 채로 불이나 용암에 닿아도 갑옷의 내구도가 떨어지지 않는다.

최상위 지하 자원인 만큼 상당히 어려운 가공 과정을 거치는데, 우선 원료인 고대 잔해를 찾으려면 네더로 가야 하는 데다 상당히 드문드문 분포되어있고 네더 지형 특성상 용암 웅덩이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으며, 고대 잔해를 캐서 얻으려면 무조건 다이아몬드 재질 이상의 곡괭이를 요구하고 그 마저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곡괭이 강화를 충분히 해둬야 한다. 그런데 고대 잔해는 광물이 아닌 블록 판정이라 행운 마법부여와 상관 없이 무조건 블록 1개씩만 나오고,[5] 이 블록을 화로에 구워서 네더라이트 파편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이 파편 4개에다가 금괴 4개를 조합해야 주괴가 하나 나온다. 즉, 일반적인 광석:주괴 비율이 1:1+a(행운 마법 부여 시) 인 다른 지하 자원에 비해 무조건 (4+{4/(1+a)}):1 인 것. 그나마 네더라이트 채굴을 본격적으로 하게 되면 금은 이런 곳에 소모되는건 무시해도 될 정도로 많이 나오기는 한다. 네더 곳곳에 금 조각을 얻을 수 있는 금맥이 분포해 네더라이트 채굴 도중 어느새 겸사겸사 얻게 된다.

한편 채굴과는 별개로 사용 난이도도 까다로운 편인데, 네더라이트 강화 형판을 얻기 위해서는 피글린들이 득실거리는 보루 잔해를 필수적으로 가야하며 그마저도 많이 나오지 않는다. 물론 형판은 한 개만 있어도 계속 복사가 가능하지만 한 번 복사하는 데도 다이아몬드가 7개나 소모되므로 다이아몬드가 많이 필요하다.

이런 희소성 때문에 네더라이트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등[6]은 명령어라도 쓰는 게 아닌 이상 다이아몬드를 아득히 뛰어넘는 어마어마한 사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 예시로 네더라이트 블록은 네더라이트 블록 1개당 네더라이트 주괴 9개를 조합해야 얻을 수 있으니 네더라이트 블록 1개당 36개의 고대 잔해와 금 주괴가 필요해지므로 네더라이트 블록만으로 신호기를 활성화하려면 고대 잔해와 금 원석을 각각 무려 5904개를 구해서 가공하여야 한다. 갑옷이나 도구 등은 쓰인 다이아몬드와는 별개로 주괴 하나와 강화 형판 하나만 필요하니 그런 네더라이트 주괴를 한 블록당 9개씩이나 잡아먹는 건축은 소모량이 차원이 다른 문제가 된다. 또한 네더라이트 블록의 시스템적인 특징은 신호기 가동을 제외하면 원석인 고대 잔해와 대부분 공유한다. 한마디로 피스톤 강화문 같은 걸 만들고 싶다면 굳이 고대 잔해 36개를 모아서 네더라이트 블록을 만들 필요 없이 고대 잔해 하나만으로도 충분하고, 피스톤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엔 더 높은 경도와 동일한 폭발 저항력을 가진 흑요석으로 땜빵할 수 있다는 것. 여담으로 2020년 만우절에서 네더라이트 계단이 등장한 바 있는데 명칭이 Swaggiest stairs ever(가장 사치스러운 계단)이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 네더라이트 파편의 경우 '네더라이트 조각'으로 번역되었다.
[clearfix]

2.10. 네더 석영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네더 석영
Nether Quartz
파일:마인크래프트/네더 석영.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로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0.2

#### ▽ 출력 슬롯 시작

5
}}}}}}

네더 석영 광석을 부수거나 화로에 가열하여 만들 수 있다. 피글린과 거래를 하거나 보루 잔해의 상자에서 구할 수도 있다.

블록으로 만들어 건축에 사용하거나[7] 일부 레드스톤 기구 및 섬록암, 화강암을 인공적으로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추가된 시기부터가 레드스톤 업데이트였고 이때부터 주 사용처가 고급 레드스톤 회로장치 제작인걸 생각해보면 쿼츠 시계에서 착안해 추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clearfix]

2.11. 자수정 조각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자수정 조각
Amethyst Shard
파일:마인크래프트/자수정 조각.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자수정 군집을 부수면 구할 수 있다. 고대 도시시련의 회당의 전리품으로도 얻을 수 있다.

자수정 조각 4개로 자수정 블록을 만들 수 있으며, 차광 유리 2개를 만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조율한 스컬크 감지체망원경의 재료로 쓰인다.

주크박스 음악으로 춤추는 중인 알레이에게 자수정 조각을 주면 새로운 알레이가 생성된다.
[clearfix]

3. 일반 재료

3.1. 막대기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막대기
Stick
파일:마인크래프트/막대기.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나무 판자류 블록이나 대나무로 만들 수 있으며, 나뭇잎류나 마른 덤불을 부수거나 낚시를 통해 쓰레기 판정으로 나오기도 한다.

도구, 횃불을 비롯한 다양한 곳에 사용되는 다용도 재료로, 빛이 없는 동굴을 탐험할 때 횃불과 함께 막대기나 그 재료인 나무 판자를 충분히 가져가는 것도 좋다. 지하에서 석탄을 비롯한 광석은 구할 수 있지만, 막대기는 폐광을 제외하면 지상에서 원재료를 공수해야 하므로 횃불이 부족할 때 즉석에서 제작하여 보충할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막대'로 번역되었다.
[clearfix]

3.2. 부싯돌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부싯돌
Flint
파일:마인크래프트/부싯돌.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자갈을 부수면 확률적으로 얻거나[8] 화살 제조인 주민과의 거래로 구할 수 있다.

일부 아이템의 재료로 사용되나 그 중 가장 많이 제작하게 되는 것은 부싯돌과 부시.

화살은 무한을 사용할게 아니면 다량을 만들기에는 부싯돌 구하기가 귀찮기 때문에 보통 주민 거래나 스켈레톤을 통해서 구하는 편이며 화살 작업대는 막대기 거래 용도 외에는 사용처가 없다. 그렇기에 부싯돌은 특정 용도가 있는 게 아니면 일반적으로 버려진다.
[clearfix]

3.3.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Wheat
파일:마인크래프트/밀.png
용도 재료, 동물 먹이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밀 씨앗을 경작지에 심어 다 자란 작물을 수확하여 얻을 수 있다. 아니면 건초 더미를 분해하거나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구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 쿠키, 케이크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동물들의 먹이 및 유인, 번식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 , 무시룸, 염소의 경우, 밀을 들고 있으면 일정 범위 내 해당 몹들은 플레이어를 향해 오게 되며 들고 상호 작용하면 먹어서 번식 상태로 만들어 새끼를 낳을 수 있게 해준다. 새끼가 먹으면 성장이 10% 촉진된다. 라마의 경우, 야생 상태일 때 먹여서 보다 쉽게 길들일 수 있게 해주며, 길들인 상태에서 먹이면 생명력을 회복한다.
[clearfix]

3.4. 눈덩이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눈덩이
Snowball
파일:마인크래프트/눈덩이.png
용도 재료, 투척
최대 스택 16

으로 부수거나, 눈 블록섬세한 손길 없이 부술 경우 획득할 수 있다.

눈 블록의 제작에 사용되며 이외에도 들고 오른쪽 클릭을 통해 투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상에게 던질 시, 피해 없이 밀치기만 하나 블레이즈의 경우 3의 피해를 받는다.
[clearfix]

3.5. 달걀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달걀
Egg
파일:마인크래프트/달걀.png
용도 재료, 투척
최대 스택 16

이 5분 ~ 10분마다 아이템 형태로 생성한다. 간혹 여우가 입에 문 상태로 생성되기도 한다.

케이크호박 파이를 만드는 데 하나씩 필요하다.

달걀은 우클릭하여 전방으로 투척할 수 있다. 착탄 시 12.5% 확률로 아기 닭 한 마리가 나온다. 이 외에도 3.125% 확률로 3마리가 동시에 나오며, 약 0.39% 확률로 4마리까지도 나올 수 있다.
[clearfix]

3.6. 벌집 조각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벌집 조각
Honeycomb
파일:마인크래프트/벌집 조각.png
용도 재료, 밀랍칠
최대 스택 64

꿀이 가득찬 벌집이나 벌통을 가위로 상호작용하면 얻을 수 있다. 벌집에 연기를 쐬지 않고 플레이어가 채집하면 주변 벌들이 자극받아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벌집 조각 하나와 실 하나를 조합하여 초를 만들 수 있다.

벌집 조각을 들고 구리 블록에 상호작용하면 조각을 소모하여 해당 구리 블록에 밀랍칠을 해 산화 과정을 중단시키며, 많은 수의 구리 블록에 밀랍칠을 할 경우 조합창에 구리 블록과 벌집 조각을 넣어 밀랍칠이 된 구리 블록을 얻을 수 있다. 글씨가 쓰여진 표지판에 벌집 조각을 사용하면 해당 표지판은 더 이상 문구를 수정할 수 없다.

BE에서는 '조각'이 빠진 그냥 '벌집'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9]
[clearfix]

3.7. 점토 덩이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점토 덩이
Clay Ball
파일:마인크래프트/점토 덩이.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점토 블록을 부수거나 마을의 상자[10]에서 종종 구할 수 있다.

블록을 부술 때 섬세한 손길 도구가 아니라면 무조건 점토 덩이 4개가 나오므로 그대로 다시 블록으로 만들어서 활용하거나, 아니면 이를 화로에 가열해 벽돌로 만들어서 쓸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점토 볼'로 번역되었다.
[clearfix]

3.8. 그릇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그릇
Bowl
파일:마인크래프트/그릇.png
용도 스튜 제작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나무 판자류 블록으로 만들 수 있다. 거북이 번개에 의해 처치될 경우에도 획득할 수 있다.

스튜류 아이템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해당 아이템들을 섭취하고 나면 그릇이 된다.

무시룸에 대고 우클릭을 할 경우 버섯 스튜를 얻을 수 있으며, 을 먹인 갈색 무시룸에 우클릭을 할 경우, 그 꽃에 해당하는 상태 효과를 부여하는 수상한 스튜를 얻을 수 있다.
[clearfix]

3.9. 벽돌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벽돌
Brick
파일:마인크래프트/벽돌(아이템).png 파일:마인크래프트/네더 벽돌(아이템).png 파일:마인크래프트/수지 벽돌(아이템).png
벽돌, 네더 벽돌, 수지 벽돌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로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0.3


1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1.0


1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0.1


10
}}}}}}

벽돌(Brick)은 점토 덩이를 화로에 가열하거나 석공 주민과의 거래로 구할 수 있다. 벽돌 제작 외에도 화분을 만드는 데도 쓰인다.

네더 벽돌(Nether Brick)은 네더랙을 화로에 가열하거나 피글린과의 거래로 구할 수 있다. 블록 네더 벽돌 외에도 네더 벽돌 울타리, 붉은 네더 벽돌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수지 벽돌(Resin Brick)은 수지 덩어리를 화로에 가열해서 만들 수 있다. 수지 벽돌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레진 벽돌'로 번역되었다.
[clearfix]

3.10. 종이 · 책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종이 · 책
Paper · Book
파일:마인크래프트/종이.png 파일:마인크래프트/책.png
종이, 책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종이는 사탕수수로 만들 수 있고, 난파선, 마을, 근거지의 도서관 방에서 다량으로 발견된다. 책이나 지도와 같은 활용처는 제한적인 편이다.

은 종이와 가죽으로 만들 수 있다. 책장 및 책과 깃펜을 만들때 쓰이는 게 보통이나 이 자체를 마법 부여대를 통해 마법 부여를 할 경우 마법이 부여된 책이 되어 장비에 마법을 부여할 수 있다.
[clearfix]

3.11. 폭죽 탄약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폭죽 탄약
Firework Star
파일:마인크래프트/폭죽 탄약.gif
파일:폭죽 탄약(마인크래프트/아이템)바.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제작법의 일부
}}}}}}

화약과 염료, 그리고 추가 재료를 넣어 만들 수 있다.

폭죽 로켓 제작에 사용되는 옵션 재료로, 탄약이 없어도 폭죽 로켓은 만들어지지만 다 날아가면 픽 사라질 뿐인 상태가 된다. 흔히 아는 폭죽의 모습을 보고 싶다면 폭죽 탄약을 만들어 넣어야 한다.

위에서 언급된 추가 재료는 폭죽이 터질 때 생기는 효과에 변화를 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펼치기 · 접기 ]
||<-3><bgcolor=#808080><color=#fff> 모양 효과
제작 시 1개 까지 넣을 수 있다. ||
<rowcolor=#373a3c,#eee> 재료 효과 이름 효과
- 작은 구형 작고 둥근 불꽃
화염구 큰 구형 크고 둥근 불꽃
머리 크리퍼 모양 크리퍼 얼굴 형태의 불꽃
금 조각 별 모양 별 모양 불꽃
깃털 폭발형 불규칙한 모양의 불꽃
추가 효과
제작 시 2개 까지 넣을 수 있다.
<rowcolor=#373a3c,#eee> 재료 효과 이름 효과
발광석 가루 반짝이는 효과 불꽃이 반짝이며 사라짐
다이아몬드 잔상 효과 불꽃이 퍼지며 잔상을 남김

만들고 난 뒤의 폭죽 탄약과 염료를 추가로 조합할 수 있는데, 이렇게 만든 폭죽 탄약으로 만든 폭죽 로켓은 터질 때 불꽃이 사라지는 과정에서 추가한 염료의 색으로 변하는 효과가 추가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폭죽 별'로 번역되었다.
[clearfix]

3.12. 아르마딜로 인갑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아르마딜로 인갑
Armadillo Scute
파일:마인크래프트/아르마딜로 인갑.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아르마딜로가 5~10분 간격으로 떨구거나, 을 사용하면 획득한다. 늑대 갑옷을 제작하는데 쓰인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아르마딜로 등껍질'로 번역 되었다.
[clearfix]

4. 전리품

몹 처치, 또는 특정 구조물을 통한 입수가 주요 획득처인 재료 아이템을 말한다.

4.1. 뼈다귀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뼈다귀
Bone
파일:마인크래프트/뼈다귀.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기본적으로 스켈레톤 계열의 몹,물고기를 잡아서 구할 수 있다.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나오기도 한다.

분해하여 뼛가루로 만들거나, 늑대를 길들일 때 사용할 수 있다.

장착이 가능한 아이템은 아니나, 명령어를 통해 머리에 장착할 경우 기본 스킨 기준, 입부분에 붙어 마치 뼈다귀를 물고 있는 듯한 모습이 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뼈'로 번역되었다.
[clearfix]

4.2.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String
파일:마인크래프트/실.png
용도 재료
최적화 도구 없음
경도 0
폭발 저항 0

기본적으로 거미 계열의 몹들과 스트라이더, 고양이를 잡아서 구할 수 있다. 거미줄가위가 아닌 도구|도구로 부수거나, 피글린과의 물물교환 등의 입수처도 있다.

블록처럼 배치할 수 있는데, 이는 철사 덫 갈고리에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설치된 실은 자세히 보지 않으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연하게 보인다. 물, 용암이 흘러들어오거나 피스톤에 밀리거나 당겨지면 아이템화된다.

의외로 지탱하는 블록이 없어도 설치가 가능한데 이를 이용한 건축물이 있다. 또한 식물 위에 두면 식물 위에 블록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어 식물의 성장을 멈출 수 있다. 이런 성질과 더불어 눈에 잘 안 띄기 때문에 장식용 식물의 위에 설치해서 식물이 불필요하게 자라는 걸 방지할 수 있다.
[clearfix]

4.3. 깃털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깃털
Feather
파일:마인크래프트/깃털.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이나 앵무새를 처치해서 구할 수 있다.

화살, 책과 깃펜 등 일부 아이템의 재료로 사용된다.

착용할 수 있는 아이템은 아니지만 명령어를 통해 머리에 장착하면 머리 뒷 부분의 위로 세워서 꽂은 모습이 된다.
[clearfix]

4.4. 가죽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가죽
Leather
파일:마인크래프트/가죽.png 파일:마인크래프트/토끼 가죽.png
가죽, 토끼 가죽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가죽(Leather)은 기본적으로 소, 말, 라마 등 몹들을 잡아 구할 수 있다. 일부 구조물에서 구할 수 있으며 토끼를 잡아서 구하는 토끼 가죽(Rabbit Hide) 4개를 모아 가죽 1개로 만들 수도 있다.

가죽은 가죽 갑옷을 비롯한 일부 아이템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clearfix]

4.5. 먹물 주머니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먹물 주머니
Ink Sac
파일:마인크래프트/먹물 주머니.png 파일:마인크래프트/발광 먹물 주머니.png
먹물 주머니, 발광 먹물 주머니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오징어를 잡아서 먹물 주머니(Ink Sac)를, 발광 오징어를 잡아서 발광 먹물 주머니(Glow Ink Sac)를 구할 수 있다.

먹물 주머니는 일부 아이템의 제작에 사용되며 글씨가 염색되거나 빛이 나는 표지판에 사용해 되돌릴 수 있다.

발광 먹물 주머니는 표지판에 사용하여 글씨의 테두리가 빛이 나게 되어 어둠 속에서도 글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좀비 몹들은 이 아이템을 줍지 않는다.
[clearfix]

4.6. 거북 인갑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거북 인갑
Turtle Scute
파일:마인크래프트/거북 인갑.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새끼 거북이 성체로 자라는 순간 드롭된다. 새끼 거북은 키우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상당히 희귀한 아이템 중 하나이다. 성체나 새끼 거북을 처치할 경우 나오지 않는다.

거북 등딱지 제작에 사용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거북 등딱지'로 번역되었다.
[clearfix]

4.7. 슬라임볼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슬라임볼
Slimeball
파일:마인크래프트/슬라임볼.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주로 가장 작은 슬라임을 처치하여 얻을 수 있다. 그 외에 판다가 재채기 할 때 매우 낮은 확률로 생성되기도 한다.

블록으로 압축할 수 있으며, 끈끈이 피스톤, , 마그마 크림의 재료로 쓰인다. 또한 개구리에게 먹여 번식시킬 수 있으며 올챙이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의 경우 '슬라임 볼'로 띄어쓰기가 적용된 번역명을 사용한다.
[clearfix]

4.8. 블레이즈 막대기 · 가루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블레이즈 막대기 · 가루
Blaze Rod · Powder
파일: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막대기.png 파일:마인크래프트/블레이즈 가루.png
블레이즈 막대기, 가루
용도 재료, 연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블레이즈 막대기(Blaze Rod)는 블레이즈 처치 시 구할 수 있으며 화로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아이템의 재료로 사용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블레이즈 막대'로 번역되었다.

블레이즈 가루(Blaze Powder)는 블레이즈 막대기 1개로 2개를 만들 수 있다. 일부 아이템의 재료로 사용된다. 양조기의 연료로 사용되며 양조기에다가 양조 재료로 사용할 경우 어색한 물약을 힘의 물약으로 만든다. 또한 근거지로 가는 길을 안내해 주는 엔더의 눈의 재료로 사용되므로 엔딩을 볼 때 꼭 얻어야 하는 재료 중 하나다.
[clearfix]

4.9. 네더의 별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네더의 별
Nether Star
파일:마인크래프트/네더의 별.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위더를 처치하면 구할 수 있다.

신호기의 재료로 사용된다.

다른 아이템과 달리 아이템 상태로도 폭발에 면역이며, 디스폰까지 10분이 걸리거나(JE), 디스폰하지 않는(BE) 특징을 홀로 가지고 있다. 다만 아이템 액자에 넣고 폭발시키면 네더의 별이 사라진다.
[clearfix]

4.10. 바다 전리품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프리즈머린 조각 · 수정
Prismarine Shards · Crystals
파일:마인크래프트/프리즈머린 조각.png 파일:마인크래프트/프리즈머린 수정.png
프리즈머린 조각, 수정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기본적으로 가디언 처치시 구할 수 있다. 바다 랜턴섬세한 손길 없이 부수면 프리즈머린 수정이 나온다.

프리즈머린 계열 블록을 제작하는데 사용된다.
[clearfix]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앵무조개 껍데기 · 바다의 심장
Nautilus Shell · Heart of the Sea
파일:마인크래프트/앵무조개 껍데기.png 파일:마인크래프트/바다의 심장.png
앵무조개 껍데기, 바다의 심장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앵무조개 껍데기(Nautilus Shell)는 이 아이템을 든 드라운드를 처치하거나, 낚시 보물 판정으로 획득하거나, 떠돌이 상인과의 거래를 통해서 구할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앵무조개'로 번역되었다.

바다의 심장(Heart of the Sea)은 땅에 묻힌 보물 상자 속에서 하나가 반드시 들어있다.

이 두 아이템은 전달체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clearfix]

4.11. 엔드 차원 전리품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셜커 껍데기
Shulker Shell
파일:마인크래프트/셜커 껍데기.png
용도 셜커 상자 제작
최대 스택 64

셜커 처치 시 구할 수 있다.

셜커 상자를 제작하는 데 사용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셜커 껍질'로 번역되었다.
[clearfix]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튀긴 후렴과
Popped Chorus Fruit
파일:마인크래프트/튀긴 후렴과.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화로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 틀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GUI/화로.svg
### ▼ 출력 라인 시작
#### ▽ xp 매개변수 시작
파일:마인크래프트/개체/경험 구슬.png0.1


10
}}}}}}

후렴과를 화로에 가열하여 만들 수 있다.

퍼퍼 블록, 엔드 막대기를 제작하는데 사용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터진 코러스 열매'로 번역되었다.
[clearfix]

4.12. 메아리 조각 · 음반 파편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메아리 조각 · 음반 파편
Echo Shard · Disc Fragment
파일:마인크래프트/메아리 조각.png 파일:마인크래프트/음반 파편.png
메아리 조각, 음반 파편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고대 도시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다.

메아리 조각(Echo Shard)만회 나침반의 제작에 사용된다.

음반 파편(Disc Fragment)음반 - '5'의 제작에 사용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디스크 조각'으로 번역되었다.
[clearfix]

4.13. 도자기 조각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도자기 조각
Pottery Shard
파일:마인크래프트/도자기 조각.gif
용도 장식된 도자기 재료
최대 스택 64

수상한 모래와 수상한 자갈로 털었을 때 나올 수 있다.

장식된 도자기의 재료로 사용되며 사용된 도자기 재료에 따라 도자기면에 새겨지는 문양이 달라진다. 도자기 조각에 따라 새겨져 있는 문양이 다르며 문양별 구할 수 있는 곳은 다음과 같다.
도자기 조각 종류 [ 펼치기 · 접기 ]
||<rowbgcolor=darkgreen><rowcolor=#ffffff> 아이콘 || 이름 || 획득처 ||
<colbgcolor=white,#383b40> 파일:마인크래프트/낚시꾼 도자기 조각.png 낚시꾼 도자기 조각
(Angler Pottery Shard)
따뜻한 바다 유적
파일:마인크래프트/콧바람 도자기 조각.png 콧바람 도자기 조각
(Snort Pottery Shard)
따뜻한 바다 유적
파일:마인크래프트/피신처 도자기 조각.png 피신처 도자기 조각
(Shelter Pottery Shard)
따뜻한 바다 유적
파일:마인크래프트/애도자 도자기 조각.png 애도자 도자기 조각
(Mourner Pottery Shard)
차가운 바다 유적
파일:마인크래프트/칼날 도자기 조각.png 칼날 도자기 조각
(Blade Pottery Shard)
차가운 바다 유적
파일:마인크래프트/탐험가 도자기 조각.png 탐험가 도자기 조각
(Explorer Pottery Shard)
차가운 바다 유적
파일:마인크래프트/풍부 도자기 조각.png 풍부 도자기 조각
(Plenty Pottery Shard)
차가운 바다 유적
파일:마인크래프트/만세 도자기 조각.png 만세 도자기 조각
(Arms Up Pottery Shard)
사막 우물
파일:마인크래프트/양조가 도자기 조각.png 양조가 도자기 조각
(Brewer Pottery Shard)
사막 우물
파일:마인크래프트/광부 도자기 조각.png 광부 도자기 조각
(Miner Pottery Shard)
사막 피라미드
파일:마인크래프트/궁수 도자기 조각.png 궁수 도자기 조각
(Archer Pottery Shard)
사막 피라미드
파일:마인크래프트/보물 도자기 조각.png 보물 도자기 조각
(Prize Pottery Shard)
사막 피라미드
파일:마인크래프트/해골 도자기 조각.png 해골 도자기 조각
(Skull Pottery Shard)
사막 피라미드
파일:마인크래프트/다발 도자기 조각.png 다발 도자기 조각
(Sheaf Pottery Shard)
흔적 폐허
파일:마인크래프트/불탐 도자기 조각.png 불탐 도자기 조각
(Burn Pottery Shard)
흔적 폐허
파일:마인크래프트/심장 도자기 조각.png 심장 도자기 조각
(Heart Pottery Shard)
흔적 폐허
파일:마인크래프트/위험 도자기 조각.png 위험 도자기 조각
(Danger Pottery Shard)
흔적 폐허
파일:마인크래프트/짖음 도자기 조각.png 짖음 도자기 조각
(Howl Pottery Shard)
흔적 폐허
파일:마인크래프트/찢어진 심장 도자기 조각.png 찢어진 심장 도자기 조각
(Heartbreak Pottery Shard)
흔적 폐허
파일:마인크래프트/친구 도자기 조각.png 친구 도자기 조각
(Friend Pottery Shard)
흔적 폐허
파일:마인크래프트/긁개 도자기 조각.png 긁개 도자기 조각
(Scrape Pottery Shard)
시련의 회당
파일:마인크래프트/소용돌이 도자기 조각.png 소용돌이 도자기 조각
(Guster Pottery Shard)
시련의 회당
파일:마인크래프트/흐름 도자기 조각.png 흐름 도자기 조각
(Flow Pottery Shard)
시련의 회당

[clearfix]

4.14. 대장장이 형판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대장장이 형판
Smithing Template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gif
용도 갑옷 치장
최대 스택 64

각종 구조물에서 구할 수 있으며 다이아몬드와 형판, 형판별 정해진 블록으로 만들 수 있다. 다만 추가로 제작하기 위해 원본 형판을 요구하기 때문에 원본 형판이 없다면 만들 수 없다.

대장장이 작업대를 통해서 갑옷에 문양을 새기는 데 사용된다. 이때 추가로 재료 하나 더 사용해 문양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으며 문양 새기기는 플레이어가 장착 가능한 모든 갑옷 아이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식을 새길 갑옷과 사용할 장식 재질이 서로 같아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된 형판은 소모된다.

이때 할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는 철 주괴, 구리 주괴, 금 주괴, 다이아몬드, 레드스톤 가루, 청금석, 에메랄드, 자수정 조각, 수지 벽돌, 네더 석영, 네더라이트가 있다.

이 사이트에서 대장장이 형판의 적용 모습을 미리 볼 수 있다.

형판 종류 및 정보 [ 펼치기 · 접기 ]
||<rowbgcolor=darkgreen><rowcolor=#ffffff> 아이콘 || 이름 || 적용된 모습 || 획득처 || 제작시 필요한 블록 ||
<colbgcolor=white,#383b40>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해안.png 해안 갑옷 장식
(Coast Armor Trim)
<colbgcolor=white,#383b40> 파일:1000022695.png 난파선
16.7%/2개
조약돌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사구.png 사구 갑옷 장식
(Dune Armor Trim)
파일:1000022697.png 사막 피라미드
14.3%/2개
사암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눈.png 눈 갑옷 장식
(Eye Armor Trim)
파일:1000022703.png 근거지
10%[11]
엔드 돌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주인.png 주인 갑옷 장식
(Host Armor Trim)
파일:1000022705.png 흔적 폐허수상한 자갈
1.72%
테라코타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사육사.png 사육사 갑옷 장식
(Raiser Armor Trim)
파일:1000022707.png 흔적 폐허수상한 자갈
1.72%
테라코타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갈비뼈.png 갈비뼈 갑옷 장식
(Rib Armor Trim)
파일:갈비뼈 갑옷 장식.jpg 네더 요새
6.7%
네더랙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보초.png 보초 갑옷 장식
(Sentry Armor Trim)
파일:보초 갑옷 장식.jpg 약탈자 전초기지
25%/2개
조약돌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조형가.png 조형가 갑옷 장식
(Shaper Armor Trim)
파일:조형가 갑옷 장식.jpg 흔적 폐허수상한 자갈
1.72%
테라코타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고요.png 고요 갑옷 장식
(Silence Armor Trim)
파일:고요 갑옷 장식.jpg 고대 도시
1.3%
심층암 조약돌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돼지 코.png 돼지 코 갑옷 장식
(Snout Armor Trim)
파일:돼지 코 갑옷 장식.jpg 보루 잔해
8.3%
흑암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첨탑.png 첨탑 갑옷 장식
(Spire Armor Trim)
파일:첨탑 갑옷 장식.jpg 엔드 도시
6.7%
퍼퍼 블록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물결.png 물결 갑옷 장식
(Tide Armor Trim)
파일:물결 갑옷 장식.jpg 엘더 가디언[12]
20%
프리즈머린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벡스.png 벡스 갑옷 장식
(Vex Armor Trim)
파일:벡스 갑옷 장식.jpg 삼림 대저택
50%
조약돌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파수.png 파수 갑옷 장식
(Ward Armor Trim)
파일:파수 갑옷 장식.jpg 고대 도시
5%
심층암 조약돌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길잡이.png 길잡이 갑옷 장식
(Wayfinder Armor Trim)
파일:길잡이 갑옷 장식.jpg 흔적 폐허수상한 자갈
1.72%
테라코타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야생.png 야생 갑옷 장식
(Wild Armor Trim)
파일:야생 갑옷 장식.jpg 정글 사원
33.3%/2개
이끼 낀 조약돌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Bolt.png 나사 갑옷 장식
(Bolt Armor Trim)
파일:나사 갑옷 장식.jpg 금고
6.2%/1개
구리 블록
(+밀랍칠한)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Flow.png 흐름 갑옷 장식
(Flow Armor Trim)
파일:흐름 갑옷 장식.jpg 불길한 금고
22.5%/1개
브리즈 막대기

베드락 에디션에선 '대장일 템플릿'으로 번역되었다.
[clearfix]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네더라이트 강화
Netherite Upgrade
파일: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네더라이트 강화.png
용도 네더라이트 장비 제작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제작대,
s1=마인크래프트/다이아몬드,s2=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네더라이트 강화,s3=마인크래프트/다이아몬드,
s4=마인크래프트/다이아몬드,s5=마인크래프트/네더랙,s6=마인크래프트/다이아몬드,
s7=마인크래프트/다이아몬드,s8=마인크래프트/다이아몬드,s9=마인크래프트/다이아몬드,
output=마인크래프트/대장장이 형판/네더라이트 강화,qty=2)]
}}}}}}

보루 잔해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으며 다이아몬드 7개와 형판, 네더랙으로 만들 수 있다.

대장장이 형판 중에서 유일하게 사용 시 성능에 변화를 주는 형판으로 다이아몬드 장비를 네더라이트 장비로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 중 하나이다. 보루 잔해의 보물 상자에 확정적으로 하나가 있으며, 다른 상자에도 10% 확률로 있다.

사용법은 다른 대장장이 형판과 동일하며, 추가로 만드는 방법 또한 동일하다. 단, 기존과 같이 다른 재료는 다이아몬드 장비와 네더라이트 주괴로 고정되어 있으며 형판과 재료가 소모되는 것도 동일하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네더라이트 업그레이드'로 음차되었다.
[clearfix]

4.15. 시련 열쇠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시련 열쇠
Trial Key
파일:마인크래프트/시련 열쇠.png파일:마인크래프트/불길한 시련 열쇠.png
시련 열쇠, 불길한 시련 열쇠
용도 금고 열기
최대 스택 64

시련의 회당시련 생성기에서 전리품을 드롭할 때 나올 수 있다. 플레이어가 시련 징조 효과를 이용해 만든 불길한 시련 생성기에서는 불길한 시련 열쇠(Ominous Trial Key)가 나올 수 있다.

각각 금고, 불길한 금고를 열 때 사용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각각 '체험판 키'와 '불길한 체험판 열쇠'로 번역되었다.
[clearfix]

4.16. 브리즈 막대기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브리즈 막대기
Breeze Rod
파일:마인크래프트/브리즈 막대기.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브리즈를 처치하면 얻을 수 있다.

무거운 코어와 함께 철퇴를 만드는 데 쓰이며, 그 밖에도 돌풍구, 대장장이 형판(흐름 갑옷 장식), 돌풍의 물약을 만드는 재료로도 사용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브리즈 막대'로 번역되었다.
[clearfix]

4.17. 무거운 코어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무거운 코어
Heavy Core
파일:마인크래프트/무거운 코어.png
용도 철퇴 제작
최적화 도구 곡괭이
경도 10
폭발 저항 30

불길한 시련 열쇠불길한 금고를 열었을 때 7.5% 확률로 1개가 나온다.

브리즈 막대기와 함께 철퇴를 만들 때 사용된다.
[clearfix]

4.18. 수지 덩어리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수지 덩어리
Resin Clump
파일:마인크래프트/수지 덩어리.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크리킹을 플레이어가 직접 타격할 경우 해당 크리킹과 연결된 크리킹 심장 주변의 창백한 나무 관련 블록의 면에 생성된다.

발광 이끼처럼 블록의 모든 면에 부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화로에 가열해서 수지 벽돌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자체로도 수지 블록으로 압축할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레진 덩이리'로 번역되었다.
[clearfix]

5. 염료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염료
Dye
파일:마인크래프트/색깔 염료.png
파일:염료(마인크래프트)바.png
용도 색상 적용
최대 스택 64

마인크래프트 내에서 지원하는 16가지의 색을 만들어내기 위한 기초 재료로 염색이 가능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가마솥에 담긴 물로 색을 뺄 수 있는 경우는 로 표기했다.
  • 양털 : 흰 양털과 염료를 조합해서 색을 입히거나, 양에게 염료를 사용하여 색을 입힌 양털을 깎을 수 있다.
    • 침대, 양탄자, 현수막은 색을 입힌 양털로 제작하는 것으로 색상이 결정된다.
    • 현수막은 베틀에서 염료를 사용해 다양한 무늬를 입힐 수 있다.
  • 셜커 상자, 초: 기본 색상 버전과 염료를 조합해 색을 입힐 수 있다.
  • 유리, 유리판: 기본 유리/유리판 8개와 염료를 조합해 색을 입힐 수 있다.
    • 색유리/색유리판을 다른 색상으로 바꿀 수 있다.
  • 테라코타: 기본 색상 버전과 염료롤 조합해 색을 입힐 수 있다.
    • 유광 테라코타는 염색된 테라코타를 화로에 가열하여 만들 수 있다.
  • 가죽 갑옷, 가죽 말 갑옷: 해당 아이템과 염료와 조합하여[13] 색을 입힐 수 있다.
    • 이미 색이 입혀진 것을 다시 염색하는 것으로 색을 섞을 수 있다. 나올 수 있는 색의 종류는 총 1.12 기준 5,713,438가지이다.
  • 길들인 늑대/고양이: 이들에게 염료를 사용시 목걸이의 색이 바뀐다.
  • 셜커BE: 염료를 들고 우클릭해 몸 색을 바꿀 수 있다.
  • 폭죽 탄약: 폭죽 탄약을 제작할 때 조합, 혹은 폭죽 탄약에 또 염료를 조합해 터질 때 다양한 색을 내는 폭죽 로켓을 만들 수 있다.

===# 조합법: 데스크톱으로 보기 #===
하얀색 염료 회백색 염료 회색 염료 검은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gif 파일:Minecraft Crafting Dye2.gif 파일:Minecraft Crafting Dye3.png 파일:Minecraft Crafting Dye4.gif
갈색 염료 빨간색 염료 주황색 염료 노란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5.png 파일:Minecraft Crafting Dye6.gif 파일:Minecraft Crafting Dye7.gif 파일:Minecraft Crafting Dye8.gif
연두색 염료 초록색 염료 청록색 염료 하늘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9.png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0.png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1.png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2.gif
파란색 염료 보라색 염료 자홍색 염료 분홍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3.gif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4.png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5.gif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6.gif
===# 조합법: 모바일로 보기 #===
하얀색 염료 회백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gif 파일:Minecraft Crafting Dye2.gif
회색 염료 검은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3.png 파일:Minecraft Crafting Dye4.gif
갈색 염료 빨간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5.png 파일:Minecraft Crafting Dye6.gif
주황색 염료 노란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7.gif 파일:Minecraft Crafting Dye8.gif
연두색 염료 초록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9.png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0.png
청록색 염료 하늘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1.png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2.gif
파란색 염료 보라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3.gif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4.png
자홍색 염료 분홍색 염료
<rowcolor=#373a3c>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5.gif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6.gif

6. 양조 재료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양조에 대한 내용은 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능 블록 문서
번 문단을
양조기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양조:
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능 블록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양조기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6.1. 유리병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유리병
Glass Bottle
파일:마인크래프트/유리병.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유리 3개로 만들 수 있다. 물약이나 물병, 꿀이 든 병을 사용 시 유리병이 나온다. 피글린과의 거래나 낚시 등에서 물병이 올라오기도 한다.

근원이나 물이 든 가마솥에 사용하여 물병을 만들 수 있고 이 물병을 가지고 각종 재료를 양조기를 통해 양조시켜 물약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이 밖에 엔더 드래곤의 화염구가 착탄한 곳의 입자에 사용하여 드래곤의 숨결을, 꿀이 가득 찬 벌집이나 벌통에 사용하여 꿀이 든 병으로 만들 수 있다.
[clearfix]

6.2. 네더 사마귀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네더 사마귀
Nether Wart
파일:마인크래프트/네더 사마귀.png
용도 재료
최적화 도구 없음
경도 0
폭발 저항 0

네더 요새에서 발견할 수 있다.

영혼 모래에 심어서 기를 수 있으며 다 자란 것을 부수면 네더 사마귀가 2-4개가 나온다.

붉은 네더 벽돌네더 사마귀 블록의 재료로도 사용되며,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물병을 어색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6.3. 레드스톤 가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인크래프트/아이템/레드스톤 블록 문서
번 문단을
레드스톤 가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발광석 가루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발광석 가루
Glowstone Dust
파일:마인크래프트/발광석 가루.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네더 차원에서 발견되는 발광석을 부수거나 마녀 처치 시 구할 수 있다.

발광석으로 다시 뭉칠 수 있으며, 분광 화살의 재료로 사용되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만들어진 물약의 효과를 강화시켜 적용되는 상태 효과의 레벨을 올리는 대신 지속시간을 절반으로 줄여버린다. 그냥 물병에다가 할 경우 진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6.5. 화약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화약
Gunpowder
파일:마인크래프트/화약.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크리퍼, 가스트, 마녀 처치 시 드롭되며 여러 구조물의 상자에서도 구할 수 있다.

화약 자체가 불이 붙어 폭발하거나 하지 않으나 마인크래프트 테러의 대명사기도 한 TNT폭죽 탄약폭죽 로켓, 화염구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게임 후반부를 지나 엔더 드래곤을 처치하고 엔드 도시에서 겉날개를 획득했을 경우, 지속비행에 필수적인 폭죽 로켓을 제작하기 위해 화약이 필요하게 된다.

양조기에다가 양조 재료로 사용할 경우 물약을 투척용 물약으로 바꿔 투척 아이템으로 만든다.
[clearfix]

6.6. 드래곤의 숨결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드래곤의 숨결
Dragon's Breath
파일:마인크래프트/드래곤의 숨결.png
용도 잔류형 물약 제작
최대 스택 64

엔더 드래곤이 발사한 화염구가 착탄한 지점에 생겨난 구름에 유리병을 사용하면 만들 수 있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투척용 물약을 잔류형 물약으로 만들어 던지고 깨진 지점에 물약의 상태 효과를 부여하는 구름을 만들어낸다. 양조가 완료된 후 드래곤의 숨결은 내용물이 비워져 유리병으로 돌아간다.
[clearfix]

6.7. 거미 눈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거미 눈
Spider Eye
파일:마인크래프트/거미 눈.png파일:마인크래프트/발효된 거미 눈.png
거미 눈, 발효된 거미 눈
용도 재료, 섭취(거미 눈)
배고픔 회복 2
포만감 3.2
상태 효과 : 5초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거미 눈(Spider Eye)은 거미, 동굴 거미 마녀 처치 시 드롭되며 사막 피라미드의 전리품으로도 얻을 수 있다. 섭취 시 약간의 배고픔 회복에 독이 확정적으로 5초간 지속된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 시 어색한 물약독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아르마딜로를 유인, 번식, 성장시킬 수 있다.

발효된 거미 눈(Fermented Spider Eye)는 거미 눈과 갈색 버섯, 설탕으로 만들 수 있으며 섭취는 불가능하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치유의 물약 또는 독 물약고통의 물약으로, 신속의 물약 또는 도약의 물약감속의 물약으로, 야간 투시의 물약투명화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 또는 힘의 물약BE나약함의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6.8. 설탕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설탕
Sugar
파일:마인크래프트/설탕.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사탕수수, 꿀이 든 병으로 만들 수 있으며, 마녀를 처치하면 0~3개를 얻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과류 음식 및 발효된 거미 눈의 제작에 사용된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신속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에게 먹이면 체력이 1 회복되며 성장에 걸리는 시간이 30초 줄어들며 말이 길들여질 확률이 3% 증가한다.
[clearfix]

6.9. 토끼발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토끼발
Rabbit's Foot
파일:마인크래프트/토끼발.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토끼를 처치하면 10%+(3*약탈 레벨)% 확률로 얻는다. 가끔 길들인 고양이가 선물로 주기도 한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도약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또한 성직자 주민과의 거래에도 사용할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토끼의 발'로 번역되었다.
[clearfix]

6.10. 반짝이는 수박 조각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반짝이는 수박 조각
Glistering Melon Slice
파일:마인크래프트/반짝이는 수박 조각.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금 조각 9개와 수박 조각으로 만들 수 있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치유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6.11. 마그마 크림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마그마 크림
Magma Cream
파일:마인크래프트/마그마 크림.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

마그마 큐브를 처치하면 드롭되며, 슬라임볼블레이즈 가루로도 제작할 수 있다.

마그마 크림 4개를 조합해 마그마 블록을 만들 수 있으며,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화염 저항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6.12. 가스트 눈물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가스트 눈물
Ghast's Tear
파일:마인크래프트/가스트 눈물.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가스트 처치 시 구할 수 있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재생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6.13. 팬텀 막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팬텀 막
Phantom Membrane
파일:마인크래프트/팬텀 막.png
용도 재료
최대 스택 64

팬텀을 처치하면 구할 수 있다. 낮은 확률로 길들인 고양이가 선물로 주기도 한다.

모루를 통해 겉날개를 수리할 때 필요한 아이템이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느린 낙하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팬텀 멤브레인'으로 음차되었다.
[clearfix]

7. 현수막 무늬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현수막 무늬
Banner Pattern
파일:마인크래프트/벽돌 현수막 무늬.png파일:마인크래프트/톱니 테두리 현수막 무늬.png파일:마인크래프트/꽃 모양 현수막 무늬.png파일:마인크래프트/크리퍼 모양 현수막 무늬.png파일:마인크래프트/해골 모양 현수막 무늬.png
벽돌, 톱니 테두리, 꽃 모양, 크리퍼 모양, 해골 모양
파일:마인크래프트/무언가 현수막 무늬.png파일:마인크래프트/지구 모양 현수막 무늬.png파일:마인크래프트/돼지 코 현수막 무늬.png파일:마인크래프트/흐름 현수막 무늬.png파일:마인크래프트/소용돌이 현수막 무늬.png
무언가, 지구 모양, 돼지 코, 흐름, 소용돌이
용도 재료
최대 스택 1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작대 <colbgcolor=#c6c6c6><colcolor=#000> 벽돌 Field Masoned
톱니 테두리 Bordure Indented
꽃 모양 Flower Charge
크리퍼 모양 Creeper Charge
해골 모양 Skull Charge
무언가 Thing
}}}}}}

베틀 자체에서 지원하지 않는 현수막 무늬들을 구현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아이템으로 베틀 UI 내 슬롯에 현수막, 염료와 함께 같이 넣어서 사용하게 된다. 판화처럼 사용하는지 현수막에 무늬를 새겨도 무늬 아이템은 소모되지 않는다.

현수막 무늬는 총 10가지의 무늬가 있으며 대부분 제작대로 만들 수 있지만 아래 네 가지는 각각의 획득법으로 구해야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배너 무늬'로 번역되었다. 그 중에서 무언가는 'Mojang 로고 배너 무늬'로, 지구 모양은 '지구본 배너 무늬'로, 돼지 코는 '코 배너 무늬'로, 흐름은 '플로우 배너 무늬'로, 소용돌이는 '구스터 배너 무늬'로 번역되었다.
[clearfix]

8. 마법 부여 관련

8.1. 경험치 병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경험치 병
Bottle o' Enchanting
파일:마인크래프트/경험치 병.png
용도 경험치 획득
최대 스택 64

성직자 주민과 거래를 하거나, 약탈자 전초기지, 난파선, 고대 도시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땅에 묻힌 보물에서도 발견된다.

우클릭으로 사용 시 투척용 물약처럼 던지며 깨지면 3 ~ 11 정도의 경험치 구슬이 그 자리에 생성된다.
[clearfix]

8.2. 마법이 부여된 책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마법이 부여된 책
Enchanted Book
파일:마인크래프트/마법이 부여된 책.png
용도 마법 부여
최대 스택 1

마법 부여대에서 마법을 부여해서 만들 수 있다. 이 밖에 낚시나 여러 구조물의 전리품, 사서 주민과의 거래로도 구할 수 있다.

마법 부여대를 통해 부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마법 부여를 받을 수 있다. 이점을 이용해 여러 책에 마법 부여를 한 후 감별을 통해 도구갑옷에 적합한 마법 부여들을 미리 만들어 두고, 모루를 통해서 마법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숫돌로 마법 부여를 제거해 일반 으로 만들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효과부여 책'으로 번역되었다.
[clearfix]

9. 출시 예정

업데이트로 추가될 예정인 컨텐츠이다. 스냅샷, 실험적 데이터 팩, 베타/프리뷰 버전, 행사 등에는 공개되었지만 아직 정식 버전에 추가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변경 사항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9.1. 갈색 · 파란색 달걀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갈색 · 파란색 달걀
Brown · Blue Egg
파일:마인크래프트/갈색 달걀.png 파일:마인크래프트/파란색 달걀.png
갈색 달걀, 파란색 달걀
용도 재료, 투척
최대 스택 16

각각 Warm 닭과 Cold 닭이 5~10분마다 아이템 형태로 생성한다. 그 외는 일반 달걀과 동일하다.
[clearfix]

[1] 다만, 다이아몬드 문서만 봐도 알 수 있듯이, 현실에서 다이아몬드는 경도와 항복강도는 매우 높지만, 인성은 생각보다 낮아서 의외로 쉽게 부서진다. 때문에 다이아몬드는 보통 연마재의 재료로 사용되지, 곡괭이나 갑옷같은 장비의 재료로 쓰이지 않는다. 현실에선 쉽게 깨지지만 마인크래프트 내에선 극강의 단단함을 가진 흑요석과 비슷한 부분.[2] 엄밀히 말하면 다이아몬드가 비싸고 희소성이 매우 높은건 맞으나, 공업용으로 쓰이는 다이아몬드는 생각보다 흔하다. 장식용 등으로 쓰이는 다이아몬드가 매우 희귀하기에 희소성이 높다고 알려진 것.[3] 자연산 네더라이트는 피글린들이 전부 써버려서 잔해의 네더라이트를 가공해서 얻는다는 설정이다.[4] 그러나 그것마저 향후 업데이트로 철을 넣는 것으로 바뀐다.[5] 그래서 행운 마법부여를 감안하면 청크당 생성 갯수가 평균적으로 다이아몬드의 1/7에 불과하다.[6] 대표적으로 네더라이트 블록 신호기[7] 파생 블록들의 디자인을 보면 대리석같은 질감인 것을 보면 대리석을 묘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8] 행운 마법 부여로 자갈이 부싯돌이 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행운 Ⅲ이 부여된 도구를 사용할 경우 100% 확률로 부싯돌이 된다.[9]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벌의 집으로써의 '벌집'(Bee Nest)과 같은 이름을 사용한다.[10] 석공 집[11] 도서관에서는 100%[12] 전리품 상자가 없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엘더 가디언을 처치할 시 확률에 따라 드롭된다.[13] BE에서는 염료를 푼 물이 담긴 가마솥에 사용하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6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6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