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6 10:06:44

마인크래프트/조작법



파일:마인크래프트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darkgreen><colcolor=#fff> 기본 플레이
시스템세계 (시드) · 게임 모드 · 난이도 · 게임 규칙 · 엔딩 · 죽음 메시지 · 스플래시 · 명령어 · NBT · 거리 효과 · 런처
인게임아이템 · (플레이어) · 개체 · 날씨 · 차원 · 생물 군계 · 구조물 · 마법 부여 · 상태 효과 · 조작법 · 피해 · 업적 · 버그
도움말튜토리얼 · (탐험 · 파밍 · 회로) · 재생 가능한 자원 · 브릿징 · PVP · 파쿠르 · 스피드런 (베드락 에디션) · 건축 (맵아트)
시리즈 및 매체
출시 에디션베드락 에디션 (업데이트) · 자바 에디션 (업데이트) · 중국 에디션 · 포켓 에디션* · 콘솔 에디션 (업데이트)* · 파이 에디션* · 4K*
파생 게임외전 시리즈 ·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 · 마인크래프트 던전스* · 마인크래프트 레전드* ·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 · 마인크래프트 어스*
미디어OST · 관련 서적 · 레고 · 영화 · 애니메이션 · Minecraft Live · Minecraft Now · Minecraft Monthly
유저 콘텐츠
창작 요소2차 창작 · 망토 · · 모드 (개발 · · 모드팩) · 애드온 · (리소스 팩 · 데이터 팩) · 외부 프로그램 · · 마켓플레이스 패스 ·
멀티 콘텐츠멀티플레이 · 서버 · 플러그인 · Realms · EULA
개발개발 기초 · 모드 개발 · 플러그인 개발
기타
이야깃거리여담 · 커뮤니티 · 위키 · 사건 사고 · 문제점 · 용어 · 지원 언어 · 머나먼 땅 · 이미테이션 게임 · 히로빈
· · ·
관련 문서나무위키 마인크래프트 프로젝트 · 마인크래프트로 분류된 문서 · 마인크래프트의 하위 문서닉네임 및 스킨
새로운 컨텐츠
구리 시대
(출시 예정)
[ 펼치기 · 접기 ]
블록
추가 -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창살.png 구리 창살,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사슬.png 구리 사슬,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상자.png 구리 상자,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골렘 동상.png 구리 골렘 동상,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랜턴.png 구리 랜턴,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횃불.png 구리 횃불, 파일:마인크래프트/약간 녹슨 피뢰침.png파일:마인크래프트/녹슨 피뢰침.png파일:마인크래프트/산화된 피뢰침.png 산화 가능한 피뢰침, 선반
변경 - 사슬 → 철 사슬, 철창 → 철 창살,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다락문.png 구리 다락문 제작법 변경
────
아이템
추가 -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삽.png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곡괭이.png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도끼.png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괭이.png 구리 도구들,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검.png 구리 검,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투구.png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흉갑.png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레깅스.png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부츠.png 구리 갑옷,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말 갑옷.png 구리 말 갑옷, 파일:마인크래프트/구리 조각.png 구리 조각
변경 - 염료 이미지 변경
────

추가 - 파일:EntitySprite_copper-golem.webp 구리 골렘
────
그 외
설정 - 디버그 화면 사용자 지정(JE)
하늘을 쫓아서
[ 펼치기 · 접기 ]
아이템/블록
추가 - 파일:마인크래프트/마른 가스트.png 마른 가스트, 파일:마인크래프트/그림/Dennis.png 그림(Dennis), 파일:마인크래프트/음반/Tears.png 음반 - Tears, 파일:마인크래프트/음반/Lava Chicken.png 음반 - Lava Chicken
변경 - 안장 제작 가능, 제작 변경과 소리 추가, 가위를 사용해 안장, 양탄자, 말 갑옷 제거 가능과 소리 추가.
────

추가 - 파일:HappyGhastFace.webp 행복한 가스트(파일:ghastling.png 가스틀링)
────
그래픽
추가 - 선명한 비주얼(BE)
────
UI
추가 - 위치 표시 바, 대화 상자(JE)
* 표시는 서비스가 종료되었거나 개발이 중단되었다는 표시이다. }}}}}}}}}


1. 개요2. JE
2.1. F3 단축키
3. BE
3.1. 모바일3.2. Nintendo Switch3.3. Windows 에디션

1. 개요

마인크래프트의 기본 조작법을 작성한 문서이다.[1]
크리에이티브 전용일 경우 (크리에이티브 전용) 태그를 붙인다.

2. JE

키 설명 keybind 값
앞으로 이동 W key.forward
왼쪽으로 이동 A key.left
뒤로 이동 S key.back
오른쪽으로 이동 D key.right
달리기 W + Left Ctrl 또는 W 두번 key.sprint
(크리에이티브 전용) 공중부양[2] Space 두 번 -
점프/(크리에이티브 전용) 상승[3] Space key.jump
겉날개 사용[4] Space -
웅크리기/(크리에이티브 전용) 하강[5] Left Shift key.sneak
인벤토리 열기/닫기 E key.inventory
왼손 들기-양손 아이템 바꾸기 F key.swapOffhand
발전과제 열기/닫기 L key.advancements
아이템 버리기 Q key.drop
채팅창 열기 T key.chat
명령어창 열기 / key.command
플레이어 목록보기 Tab key.playerlist
메뉴 열기/닫기 Esc -
공격/파괴 파일:left_click.png key.attack
설치/사용 파일:right_click.png key.use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아이템 집기/놓기
파일:left_click.png -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동일아이템 한번에 집기[A]
파일:left_click.png 두번 -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아이템 반만 집기
파일:right_click.png -
(아이템을 집은 상태에서)
아이템 하나 놓기
파일:right_click.png -
인벤토리 핫바 1~9칸 선택 1~9 key.hotbar.1 ~ key.hotbar.9
아이템 선택 파일:middle_click.png key.pickItem
(크리에이티브 전용) 아이템 복사[7] Ctrl + 파일:middle_click.png -
(크리에이티브 전용)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특정 아이템을 중첩 한도로 복사
파일:middle_click.png -
(크리에이티브 전용)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잡은 아이템을 중첩한도로 채우기
파일:middle_click.png + 드래그 -
(크리에이티브 전용) 아이템 + 데이터[8] 복사 Left Ctrl + 파일:middle_click.png -
UI[9] 숨기기 F1 -
스크린샷 F2 key.screenshot
디버그 스크린 F3, 나머지는 후술 -
셰이더 비활성화 F4 -
시점 변경[10] F5 key.togglePerspective
전체화면 F11 key.fullscreen
플레이어 강조 (관전) (비어있음) key.spectatorOutlines
시네마틱 카메라 전환 (비어있음) key.screenshot

2.1. F3 단축키

키 설명
게임모드 변경[11] + F4
F3단축키 나열 + Q
청크 재로드 + A
히트박스 표시/숨김 + B
좌표 클립보드에 복사 + C[12]
클라이언트측 충돌 트리거 + C를 10초동안 누르기
채팅내역 비우기 + D
청크 경계선 표시/숨김 + G
데이터 태그 표시/숨김 + H
데이터 태그 클립보드에 복사 + I
이전 게임모드 ↔ 관전모드 변경 + N
마인크래프트 이외의 창이 열렸을때
일시정지 사용/미사용
+ P
리소스팩 불러오기 + T
일시정지(싱글 전용) + Esc
파이차트[13] 켜기 1 +[유의][15]
FPS + TPS[16] 그래프 켜기
(TPS의 경우 싱글 혹은 OP 권한이 필요하다.)
2 +[유의]
대역폭(멀티 전용) 및 핑 그래프 켜기 3 +[유의]

3. BE

3.1. 모바일

1.21버전 부터 터치형 조작도 조이스틱과 유사한 느낌(360° 이동 등)으로 조작할 수 있다.
키 설명 터치형 조이스틱&터치형
앞으로 이동 파일:앞으로 이동키.png 조이스틱에서 위로
왼쪽으로 이동 파일:왼쪽으로 이동키.png 조이스틱에서 왼쪽으로
뒤로 이동 파일:뒤로 이동키.png 조이스틱에서 밑으로
오른쪽으로 이동 파일:오른쪽으로 이동키.png 조이스틱에서 오른쪽으로
달리기 빠르게 파일:앞으로 이동키.png 두번 오른쪽 >>버튼을 누르거나 설정에서 조이스틱으로 질주 on
(크리에이티브 전용) 공중부양 파일:공중부양키.png 연속으로 두번 ↑ 연속으로 두번
(크리에이티브 전용) 공중부양 해제 파일:공중부양키.png/파일:공중부양 해제키.png 연속으로 두번 ↓ 연속으로 두번
점프
(크리에이티브 전용) 상승 파일:공중부양키.png ↑ 꾹
겉날개 사용 ↑ 두번
웅크리기 빠르게 파일:웅크리기키.png 두번
(크리에이티브 전용) 하강 파일:공중부양 해제키.png ↓ 꾹
인벤토리 열기 •••
아이템 버리기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아이템을 누르고 인벤토리 칸 밖을 클릭
채팅창 열기 💬
메뉴 열기 ⏸️
공격/설치/사용 터치
파괴/상호작용[예시] 길게 터치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아이템 집기/놓기
터치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동일아이템 한번에 집기[A]
터치 두번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일부 선택
길게 터치
인벤토리 핫바 1~9칸 선택 인벤토리칸 터치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아이템 한개 집기
터치하고 밀기

3.2. Nintendo Switch

키 설명
점프/위로 비행 파일:a_button.png
아이템 떨어뜨리기 파일:dpad_down.png
공격/파괴 파일:right_trigger.png
아이템 사용/블록 놓기 파일:left_trigger.png
제작[※] Y
소지품[※] 파일:x_button.png
핫바 왼쪽으로 이동[23] 파일:left_bumper.png
핫바 오른쪽으로 이동[24] 파일:right_bumper.png
시야 전환 🔼
웅크리기/아래로 비행 파일:b_button.png
달리기 파일:left_stick.png/왼쪽 조이스틱 연속 2번 앞으로
저속 저공 비행/웅크리기 오른쪽 조이스틱 클릭
감정 표현 ◀️
알림 열기/몹 효과 -
대화 열기 ▶️
이동 왼쪽 조이스틱 기울임
시야 방향 오른쪽 조이스틱 기울임
A, B와 X, Y의 조작이 바뀌어 있고 'X/Y 맞바꾸기' 설정이 기본으로 적용되어 있다. 되도록이면 타 콘솔판과 동일한 조작 레이아웃을 추천.

또한 아이템 복사 등의 기타 조작을 사용하려면 조작키 중 하나를 포기하고 설정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3.3. Windows 에디션

키설명
앞으로 이동 W
뒤로 이동 S
왼쪽으로 이동 A
오른쪽으로 이동 D
인벤토리 열기/닫기 E
모든 아이템 버리기 Q+Ctrl
아이템 1개 버리기 Q
공격/파괴 좌클릭
설치/사용 우클릭
(크리에이티브일때)공중부양 Space 두번
웅크리기 shift
시점 변경 F5
전체화면 F11
상태 효과보기 Z
명령어창/채팅창 열기 /
메뉴 열기/닫기 Esc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아이템 집기/놓기
좌클릭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동일아이템 한번에 집기[A]
좌클릭 두번
(GUI창 또는 인벤토리창에서)
아이템 반만 집기
우클릭
(아이템을 집은 상태에서)
아이템 하나 놓기
우클릭
인벤토리 핫바 1~9칸 선택 1~9
UI[26] 숨기기 F1
스크린샷 F2
좌표 위로 올리기/내리기 F8
감정 표현 B

[1] 따로 설정에서 바꿀수 있다.[2] 공중부양 상태가 아닐 때 가능하다.[3] 공중부양 상태일 때 가능하다.[4] 공중에 있을 때 가능하다.[5] 공중부양 상태일 때 가능하다.[A] 한 스택만 집을 수 있다. 눈덩이는 16개, 검이나 곡괭이 등은 1개 같이.[7] 몹한테 휠클릭하면 그 몹의 생성 알을 준다[8] 명령 블록의 명령어, 표지판의 글씨 등...[9] 플레이어의 손, 인벤토리 핫바 등[10] 1인칭, 3인칭 후방, 3인칭 전방.[11] 크리에이티브, 서바이벌, 모험, 관전[12] 채팅창에 붙여넣고 Enter 누르면 tp가능[13] 엔티티, 몹, 블록 엔티티 등을 계산하는 데 각각 얼마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 알려준다.[유의] f3 키보다 먼저 눌러야 하며, 좌우 중 어떤 키를 누르든 상관없다.[15] 숫자키를 통해 세부를 확인할 수 있고, 0을 누르면 맨 처음으로 되돌아온다.[16] tick per second. 기본은 20이며, 랙이 심해지면 그 이하로 떨어진다.[유의] [유의] [예시] 직업있는 주민, 활, 쇠뇌, 삼치창, 망원경, 아이템 액자, 갑옷거치대 등등.[A] [※] 제작과 소지품은 서로 같은 역할(인벤토리 열기)을 맏고 있다. 즉, 이전 세대인 콘솔 에디션 조작에 맞게 끼워 넣은 조작인 셈.[※] 제작과 소지품은 서로 같은 역할(인벤토리 열기)을 맏고 있다. 즉, 콘솔 에디션에 맞게 끼워 넣은 조작인 셈.[23] 인게임내 오역 번역은 왼쪽 아이템 반복.[24] 인게임내 오역번역은 오른쪽 아이템 반복[A] 한 스택만 집을 수 있다. 눈덩이는 16개, 검이나 곡괭이 등은 1개 같이.[26] 플레이어의 손, 인벤토리 핫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