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5 16:22:23

디메틸트립타민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마약류·임시마약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문서가 있는 마약류 및 임시마약류 목록
<colbgcolor=#bdbdbd,#111>

<colbgcolor=#bdbdbd,#111> 마약[1] 가목 양귀비 나목 아편 다목 미처리 코카
라목 코카인, 데소모르핀, 헤로인, 히드로코돈, 히드로모르피놀, 모르핀, 옥시코돈, 코데인, 페치딘, 타펜타돌
마목 펜타닐, 메타돈 및 메타돈 제조중간체, 카르펜타닐
향정신성
의약품
[2]
<colbgcolor=#d5d5d5,#222> 비의료용 가목 부포테닌, 디메틸트립타민, LSD, 사일로시빈, 사일로신, 펜사이클리딘 유사체, 메스케치논 및 유사체(카티논, α-PVP 등), 크라톰 및 미트라지닌, 고메오, 브로모-드래곤에프엘와이, 벤조디아제핀 계열 4종, 4-플루오로암페타민
의료용 나목 암페타민(애더럴), 메스암페타민, 메틸페니데이트, 펜메트라진, 펜사이클리딘, MDMA, 살비아 디비노럼, 케타민
다목 바르비투르산 계열(바르비탈, 펜토바르비탈 등), 알릴이소프로필아세틸우레아, 플루니트라제팜, 부프레노르핀, 펜타조신
라목 벤조디아제핀 계열(로라제팜 등), BZRA 계열(조피클론, 졸피뎀), 카틴, 클로랄히드레이트, 마진돌, 페몰린, 펜터민, 날부핀, 지에이치비, 덱스트로메토르판, 프로포폴
대마[3] 가목 대마초와 그 수지(樹脂) 나목 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모든 제품 다목 동일한 화학적 합성품(CBN, THC, CBD)
임시마약류[4] 리세르가미드(LSD 유사체) 일부, 합성칸나비노이드(HHCH 등) 일부, 암페타민 유사체 일부, 벤조디아제핀 유사체 일부, 랏슈, 감마부티로락톤
기타[5] 환각버섯류, 데이트 강간 약물, 야바, 환각물질, 환각제
[1] 법 제2조 제2호, 각 목별로 구분. 제2호의 성분을 포함한 혼합물질/제재는 바목에 의해 마약으로 분류되나, 한외마약은 제외됨. }}}}}}}}}

🧠 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d5c5c> 구조 대뇌 피질 전두엽(운동 피질 · 브로카 영역) | 두정엽(감각 피질) | 측두엽(베르니케 영역) | 후두엽 | 둘레엽 | 뇌섬엽
피질하
구조
해마 | 편도체 | 선조체 | 창백핵
백색질 교련섬유(뇌량 · 뇌궁) | 연합섬유(대상다발) | 투사섬유(시상방사 · 피질척수로)
사이뇌 시상 | 시상하부(시교차상핵) | 뇌하수체 | 시상상부(고삐핵 · 솔방울샘) | 시상밑핵
소뇌 소뇌피질 | 소뇌핵(치상핵 · 둥근핵 · 마개핵 · 꼭지핵)
뇌간 중뇌 | 교뇌 | 연수 | 망상체
주변 구조 뇌실 · 맥락총 · 뇌척수액 · 혈뇌장벽 · 두개골
기능적 분류 피질하구조 변연계 | 기저핵 | 그물 활성화계
회로 파페츠 회로
세포 수준 분류 뉴런 | 교세포
수용체 아드레날린 수용체 | 세로토닌 수용체 | 도파민 수용체 | 아세틸콜린 수용체
주요 신경전달물질 아미노산 글루탐염 | GABA | 글리신 | 아스파르트산
모노아민 카테콜아민(도파민 | 노르아드레날린 | 아드레날린) | 세로토닌 | 히스타민
에스테르 아세틸콜린
기타 신경전달물질 펩타이드 엔도피오이드(엔도르핀 · 엔케팔린 · 다이노르핀) | 뇌하수체 펩타이드(옥시토신 · 바소프레신 · 소마토스타틴) | 타키키닌(Substance P)
미량아민 페닐에틸아민 | 디메틸트립타민
지질 엔도카나비노이드(아난다마이드)
퓨린 아데노신 | ATP
이론 뇌가소성 | 브로드만 영역 }}}}}}}}}


1. 개요2. 설명3. 특징4. 기타

1. 개요

파일:DMT.svg.png

흔히 'DMT' 라고 알려진 향정신성의약품이다. 세로토닌성 환각제에 속하며, 잘 알려진 관상식물인 미모사[1]의 뿌리 및 몇몇 열대 식물에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유명한 엔도오피오이드나 엔도카나비노이드처럼 인간을 포함한 일부 동물의 뇌에도 소량 존재한다.

2. 설명

아마존 밀림의 원주민 주술사들은 위 식물들과 환각버섯을 모아 끓인 차인 아야와스카(Ayahuasca)를 마셨는데, 이로 인해 '섭취하면 영적인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소문이 인터넷이나 방송에 나온다.
DMT 영혼의 분자
초중교 원어민교사가 신종마약 원료 밀수해 제조 투약
국정원 직원이 DMT 밀수입하다 체포된 사건

비공식 MV 'Flashback'(플래시 애니메이션)[2]

3. 특징

DMT는 특이하게도 다른 환각제와 달리 내성이 존재하지 않고 교차내성과 의존성도 보이지 않는다. 또한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어 안정성또한 보장되어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DMT는 MAO에 의해 빠르게 대사되기 때문에 흡연으로 비활성화 되기 전에 효과를 일으키거나 아야와스카와 같이 MAOI를 같이 섭취해 대사를 막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아무런 효과가 없다.

4. 기타

전설적인 복서 마이크 타이슨이 이것을 복용하였다. 이것을 하고 난 후 복싱판에 복귀하고자 하는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윌 스미스도 남미에서 이거로 끓인 차를 마셨다고 한다.
[1] 흔히 아는 관상용 미모사와는 다른 종 이다.[2] 영국의 싸이비언트(싸이키델릭 트랜스+앰비언트) 아티스트 Shpongle의 1998년작 '<Divine Moments of Truth>'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마약을 주제로 한 곡이다. 잘 들어보면 중간에 DMT, LSD 등의 가사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