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cd5c5c> 구조 | 대뇌 | 피질 | 전두엽(운동 피질 · 브로카 영역) | 두정엽(감각 피질) | 측두엽(베르니케 영역) | 후두엽 | 둘레엽 | 뇌섬엽 |
| 피질하 구조 | 해마 | 편도체 | 선조체 | 창백핵 | |||
| 백색질 | 교련섬유(뇌량 · 뇌궁) | 연합섬유(대상다발) | 투사섬유(시상방사 · 피질척수로) | |||
| 사이뇌 | 시상 | 시상하부(시교차상핵) | 뇌하수체 | 시상상부(고삐핵 · 솔방울샘) | 시상밑핵 | |||
| 소뇌 | 소뇌피질 | 소뇌핵(치상핵 · 둥근핵 · 마개핵 · 꼭지핵) | |||
| 뇌간 | 중뇌 | 교뇌 | 연수 | 망상체 | |||
| 주변 구조 | 뇌실 · 맥락총 · 뇌척수액 · 혈뇌장벽 · 두개골 | |||
| 기능적 분류 | 피질하구조 | 변연계 | 기저핵 | 그물 활성화계 | ||
| 회로 | 파페츠 회로 | |||
| 세포 수준 | 분류 | 뉴런 | 교세포 | ||
| 수용체 | 아드레날린 수용체 | 세로토닌 수용체 | 도파민 수용체 | 아세틸콜린 수용체 | |||
| 주요 신경전달물질 | 아미노산 | 글루탐염 | GABA | 글리신 | 아스파르트산 | ||
| 모노아민 | 카테콜아민(도파민 | 노르아드레날린 | 아드레날린) | 세로토닌 | 히스타민 | |||
| 에스테르 | 아세틸콜린 | |||
| 기타 신경전달물질 | 펩타이드 | 엔도피오이드(엔도르핀 · 엔케팔린 · 다이노르핀) | 뇌하수체 펩타이드(옥시토신 · 바소프레신 · 소마토스타틴) | 타키키닌(Substance P) | ||
| 미량아민 | 페닐에틸아민 | 디메틸트립타민 | |||
| 지질 | 엔도카나비노이드(아난다마이드) | |||
| 퓨린 | 아데노신 | ATP | |||
| 이론 | 뇌가소성 | 브로드만 영역 | }}}}}}}}} | ||
1. 개요
파페츠 회로(Papez circuit)는 대뇌의 변연계 일부를 포함한 기억 회로를 뜻한다. 1937년 뇌과학자 파페츠가 발견하였다. 파페츠는 이 회로를 감정에 대해 연구하다가 발견했지만, 현재는 이것이 기억 형성 회로로 이해되고 있다.2. 구성
해마-뇌궁-유두체-시상로-시상전핵-시상피질방사-대상회-대상다발-해마방회-내후각피질-관통로-해마의 순서로 기억 정보가 형성된다.
소뇌는 파페츠회로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소뇌의 많은 신경섬유다발이 파페츠 회로와 연결되어 있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해마가 파페츠 회로의 시작점이 아니라는 주장도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