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10:19:29

데드(가수)


<colbgcolor=#000><colcolor=#ffffff> 데드
Dead
파일:메이햄_데드.jpg
본명 페르 윙베 올린
Per Yngve Ohlin
출생 1969년 1월 16일
스웨덴 베스터하닝예
사망 1991년 4월 8일 (향년 22세)
노르웨이 아케르스후스 칼스타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웨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웨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모비드(1986~1988)
메이헴(1988~1991)
활동 시기 1986년 ~ 1991년
장르 블랙 메탈, 데스 메탈
신체 182cm

1. 개요2. 생애
2.1. 유년 시절2.2. 밴드 모비드를 결성하고 보컬리스트로 데뷔하다2.3. 메이헴에 가입하기 위해 노르웨이로 떠나다2.4. 메이헴의 본격적인 활동2.5. 자살
3. 데드의 자살 이후

1. 개요

파일:external/www.metal-archives.com/41_artist.jpg
▲ 생전의 사진들

노르웨이블랙 메탈 밴드 메이헴의 보컬리스트.

유로니무스와 함께 노르웨이 블랙 메탈을 창시한 뮤지션으로 특히 이교도적인 요소와 사악함을 강조하는 메이헴의 가사 작사를 전담하고 콥스페인팅을 최초로 시도하는 등, 블랙 메탈의 전반적인 컨셉을 확립하는데 있어서 많은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는 뮤지션이다.

그리고 메탈이라는 장르 내에서도 어둡고 비극적인 삶을 살다가 불과 22세라는 어린 나이에 스스로 목숨을 끊어서 요절한 인물로도 유명하다.

데드의 추모 헌정페이지에서 데드가 생전에 그린 그림과 편지 등을 볼 수 있다

2. 생애

2.1. 유년 시절

파일:pelleohlin.jpg
어린 시절의 페르

데드의 본명은 페르 윙베 올린(Per Yngve Ohlin)으로 1969년 1월 16일, 스웨덴에서 3남매 중 첫째로 태어났다. 어렸을 때의 페르는 매우 실용적이고 고집이 셌고, 두 가지 일을 동시에 하기 싫어했으며, 한 번 일을 시작하면 끝마무리까지 완벽하게 지었다고 한다.

남동생에 따르면 부모님은 집에 손님이 오면 페르가 부적절한 말을 할까 봐 걱정이 많았다. 어린 시절 페르는 기차에 앉아 레오파드 코트를 입은 여성을 가리키며 저 코트가 진짜 가죽으로 만든 코트인지 따져 물었다고 한다. 여성이 아무 대답도 하지 않자, 페르는 "제가 '진짜 가죽이냐 아니면 가짜 가죽이냐'라고 물었죠?"라고 목소리를 높여 재차 질문했다고.

한번은 친구 집에 놀러갔다가 생각보다 집에 일찍 돌아왔는데 알고보니 그 친구의 엄마가 "이제 생일 파티를 할거니 집에 가렴"이라 말했다고. 즉, 페르는 생일 파티에 초대 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페르의 아버지는 이런 식으로 페르가 또래 아이들이나 그 부모님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을 매우 염려했다고 한다.

한편, 페르는 서서히 음악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러한 흥미는 80년대헤비메탈의 인기가 늘어나면서 폭발했다. 신문을 통하여 페르와 페르의 동생은 WASP, KISS, Venom같은 밴드들을 접했다. 또한 동시에 패르는 호러물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특히 60년와 70년대에 나온 아놀드의 고전 공포 만화 "Veckans Chock"을 좋아했다. 페르는 서툰 그림솜씨로 직접 괴물들과 폭격기도 그리곤 했다.

페르가 10대가 될 때 부모는 이혼했다. 페르의 부모는 둘 다 페르를 지신들이 양육하기를 원했고 페르는 아버지와 어머니 집을 오가야했다. 페르는 아버지랑 같이 보낼 때 어머니 집으로 가는 것을 거부했고 굉장히 화를 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페르가 그럴때마다 그의 부모님은 페르를 직접 자신들의 거처로 데려왔다. 페르의 부모님은 페르가 자살하기 전까지 서로 대화하지 않았다.
파일:페르와 그의 동생 앤더스 1982년.jpg
▲ 왼쪽부터 : 페르의 동생 앤더스와 페르 올린. 1982년

1982년 가을, 페르는 Västerhaninge에 있는 Ribbyskola라는 중학교에 7학년으로 입학했지만, 심하게 집단괴롭힘을 당했다. 그러던 중 페르가 평소 학교에서 자신을 괴롭히던 일진들에게 심한 집단폭행을 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내장이 파열되는 심각한 부상을 입은 페르는 가까스로 집에 도착했으나 구토를 했다. 마침 다행히도 집에 있던 간호사로 일하던 새어머니가 페르의 창백한 얼굴을 보고 다가가 상태를 확인하자 맥박이 없고 의식불명인 상태임을 보고 심각함을 느껴 구급차가 올때까지 인공호흡을 했다. 의료진들의 노력으로 페르는 의식을 되찾았고 부상을 치료할 수 있었다. 페르는 빙판길에 미끄러져 다쳤다고 했으나 사실은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비장이 파열될 정도로 심하게 맞았다는 것이 밝혀졌다. 페르는 며칠 동안 병원에 입원해야 했다.

이후 페르는 의식 불명 상태에서 깨어난 경험에 몰입하여 자신이 사후세계에 다녀왔다고 믿기 시작했다.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이 '사실상 죽었을 때' 파란색과 흰색 무언가를 봤다고 했는데, 민간신앙을 믿는 여성에게서 아스트랄 월드에 대한 정보를 들은 페르는 '흰색 공간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는 아무도 모르고 극소수의 사람만이 들어갈 수 있다'는 말을 듣고 흥미를 보였다.

7학년 가을학기 중반이 지나자 페르는 Västerhaninge에서 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Tungelsta 학교로 전학을 갔다. 얼마 지나지 않아서 페르는 집에 돌아와 밴드를 만들었다고 얘기했다. 페르는 Västerhaninge에 돌아다니며 스프레이를 뿌리면서 엉망인 밴드 로고를 만들었다. 페르의 아빠는 어느날 기차 플랫폼에서 스프레이로 뿌려진 로고를 보고 성씨 'Ohlin'과 'Metal'이 함께 있는 것을 보고 페르라는 것을 바로 알아챘다.
파일:perohlin.jpg
1985년의 페르

한편 폭행 사건에 대해 페르는 큰 불쾌감을 가졌다. 페르는 겁에 질렸고 피해망상에 시달렸다. 이때 쯤 쿵푸 영화를 자주 보기 시작했고, 아이키도를 연습하기 시작했는데, 앤더스는 "어쩌면 그의 아빠의 설득때문에 했던건지 모른다, 그래도 난 페르가 스스로 그 설득을 듣고 이이키도를 배우기 시작할줄은 생각도 못했다" 라고 했다.

그와 동시의 페르의 성적은 올랐지만 머리를 자르지 않기 시작했다. 날이 갈수록 페르의 병적인 것에 대한 매혹은 점점 더 깊어졌다. 어느 날 앤더스는 사탕을 찾으러 페르의 데님 재킷 주머니를 뒤지다 죽은 개구리를 발견하기도 했다. 나머지 가족들이 고틀란드로 휴가를 갔을때, 페르는 자신과 앤더스의 방을 Butterick's에서 산 거미줄로 채우곤 했다. 돌아와서 페르의 엄마는 "이게 뭐야" 라고 물었다. 앤더스는 당시 어둠을 무서워해 페르가 거미줄을 놨던 방에서 자기 싫어했다.

한편으로는 어린 시절 그린 폭격기 그림에서 가장 뚜렷하게 드러났던 밀리터리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났다. 페르는 기관총 사격을 배우게 될 거라고 생각하며 의용 장교 훈련을 받고 싶어했다. 하지만 오리엔테이션을 하는 첫날이 지나자 페르는 화가 나서 뛰쳐나갔다. 이유는 일어서서 소리만 치는 장교의 일은 페르의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페르는 매우 수동적이었다. "침착하고, 약간은 둔한 사람으로 보였을 것이다." 라고 앤더스는 말했다.

2.2. 밴드 모비드를 결성하고 보컬리스트로 데뷔하다


페르가 출연한 스웨덴의 둠 메탈 밴드 Candlemass의 Bewitched 뮤직비디오 (1986년). 비디오 중간에 여럿이 모인 젊은이들 중 맨앞에서 혼자 입을 벌리고 좀비 흉내를 내며 존재감을 발산하고 있는 금발 청년이 페르다.

1986년, 페르는 전학간 학교와 레코드 가게 Heavy Sound[1] 등에서 친해진 친구들과 함께 모비드(Morbid)라는 이름의 데스 메탈 밴드를 결성하여 보컬리스트로 데뷔했다. 그리고 이 때부터 닉네임과 기믹을 하나씩 설정한다는 모비드의 활동 지침에 따라 페르는 '데드'라는 닉네임을 쓰기 시작했다. 데드(시체)라는 스테이지 네임은 페르의 죽음에 대한 집착을 잘 보여준다. 모비드 활동 당시 페르는 특히, 흡혈귀에 매료되어 있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페르는 밴드중 특히 Bathory를 좋아했는데, 1987년 Quorthon이 Heavy Sound를 방문 했을 당시 영상이다. 21초 부터 Quorthon에게 사인을 받으러 "To dead" 라고 하는 사람이 페르이다. 이때 Quorthon이 마치 슈퍼 스타처럼 행동하는 것을 보고는 Poser라고 비난한 뒤 이후 두번 다시 그들의 음악을 듣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페르는 Quorthon에게 뭘 보내기로 마음을 먹었는데. 어느날 밴드가 모여있다가 갑자기 사라진 페르가 갑자기 어디갔는지 궁금해서 보니 페르는 지하실에서 햄스터 한마리와 메스를 손에 들고 있었다. 그러자 페르는 햄스터를 잘라서 죽였고, 그 햄스터를 뒤집어진 십자가에 박고 눈에는 가시를 넣어 Quorthon에게 보냈다. 후에는 Quorthon의 접수인의 말에 의하면, "모비드 밴드의 음악은 괜찮았지만, 걔넨 컨샙을 너무 심하게 잡았다. 만났던 사람들 중에 가장 이상한 사람들이였다" 라고 하였다.


모비드의 유일한 데모 앨범인 <December Moon>. 같은 해에 발매된 메이헴의 EP인 <Deathcrush>와 마찬가지로 17분짜리의 소규모 EP이다. 1987년 12월 6일12월 7일에 녹음되어 1987년 12월에 발매되었다. 앨범의 1번 트랙이 시작될 때 데드가 "Tjena alla monsterdiggare(안녕하신가, 괴물 팬 여러분)"라고 하는데 스웨덴의 유명 어린이 TV쇼에서 나온 대사로 모비드 시절, 데드가 라이브를 할 때 즐겨썼던 멘트였다.

밴드는 이 앨범의 15개-20개 정도의 카피를 Heavy Sound로 매주 들고가며, 밴드를 알리려고 노력하였으며 페르는 수많은 곳에 직접 손으로 쓴 편지를 보내곤 했다. 당시에 앨범이 몇 백장 정도 팔리고 난 후 밴드는 어느정도 인기를 얻기 시작했지만 페르는 밴드의 노래들이 더욱 더 사악하지 않다고 불만이 있었다.

모비드의 후기 멤버이자 인툼드(Entombed)를 결성한 인물들 중 한명인 기타리스트 울프 ‘우페’ 세델룬드(Ulf ‘Uffe’ Cederlund)는 인터뷰에서 "모비드 활동 시절, 모비드의 멤버들은 밴드가 표방하고 있던 어두운 요소들을 전혀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모비드의 음악은 훗날의 블랙 메탈처럼 심각하지 않았다. 그저 'Dark한 컨셉을 지닌 메탈'이었을 뿐이다."라고 당시를 회고했다.

모비드의 리더였던 데드는 자작곡들의 가사를 단독으로 작사하고 데뷔 EP 앨범 자켓까지 직접 그리며 밴드의 전체적인 컨셉트를 확립하는데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도맡아했다. 그러나 모비드의 데뷔 EP <December Moon>을 마지막으로 밴드의 기타리스트이자 데드와 함께 모비드를 결성한 멤버였던 John Hagström이 부모님에 의해 반강제로 밴드에서 탈퇴하자 밴드 활동에 의욕을 잃은 데드는 갑작스레 모비드를 탈퇴한다.[2]

2.3. 메이헴에 가입하기 위해 노르웨이로 떠나다

파일:euro dead necro.jpg
▲ 왼쪽부터 : 유로니무스, 데드, 네크로버처
이후 예술대학 입시를 알아보기도 했지만, 1988년, 메탈 팬진에 멤버 구인 광고를 실은 메이헴에 가입하기 위해 노르웨이로 떠난다. 노르웨이로 떠난다는 말을 들은 데드의 부모님은 자신의 아들의 미래에 대해서 걱정이 되었지만, 데드는 자신이 들어갈 밴드인 메이헴의 Deathcrush가 얼마나 잘 됐는지 보여주며 이 밴드는 전과는 달리 성공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부모님을 안심시켜 줬다. 모비드의 John이 나간 몇 주 뒤 데드는 비행기를 타고 노르웨이 오슬로로 떠난다[3]. 도착 후 공항에는 네크로버처와 유로니무스가 마중 나와 있었다[4].
네크로버처와는 영화, 만화책, 다크한 유머 등 공감대가 많아 친해질 수 있었다. 유로니무스는 데드의 특이한 성향에 매료되었다. 그는 페르의 페르소나 '데드'가 페르가 갖고있는 이미지의 일부라 여겼고 페르가 하는 모든 일과 말이 그의 페르소나를 키우는 것이라고 생각했다[5]. 다만 당시 메이헴의 드러머였던 Torben Grue는 데드의 이상한 행동들과 집착들에 대해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가 증언한 바에 의하면 "데드는 자신이 시체 같이 보이기 위해서라며 아무것도 먹지 않고 관에 누워있었다. 그리고 자신에게 욕창이 생겼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는 데드가 웃는 모습을 한 번도 본 적이 없었다고 회상했다. Torben Grue가 데드를 "Pelle"라고 불렀을 때 데드가 버럭 화를 내며 "내 이름은 Pelle가 아니고 데드거든!"이라고 소리를 쳤고, 더 이상 밴드에 있는게 아닌 것 같음을 느낀 Torben Grue는 밴드를 나갔다.[6]. 그가 나간 후, 그 자리에 헬해머가 들어오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아는 메이헴의 라인업이 완성된다.
데드가 노르웨이로 떠난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데드의 아버지는 데드를 보려고 노르웨이에 방문하였으며 그 곳에서 데드가 새 친구들도 사귀면서 잘 있는 모습을 보고 밴드 멤버들에게 감사의 표시로 가지고 있던 오래된 자동차를 선물했다. 유로니무스가 자동차를 노르웨이에 가지고 가려고 스웨덴에 방문 한 것이 데드의 동생인 앤더스가 유로니무스를 본 처음이자 마지막 순간이였다고 한다.

데드는 1988년에 스웨덴과 노르웨이를 오가며 메이헴의 리허설에 참여했고 1989년이 되자 풀타임으로 메이헴의 보컬리스트로서 활동하기로 결정, 노르웨이로 거처를 옮겼다. 데드가 노르웨이로 거처를 완전히 옮기기 전에 모비드의 멤버였던 드러머 엘지 페트로브(L.G. Petrov)와 기타리스트 울프 ‘우페’ 세델룬드(Ulf ‘Uffe’ Cederlund)가 니힐리스트(Nihilist)라는 밴드와 연합하여 인툼드(Entombed)[7]라는 이름의 새 밴드를 조직했다는 소식을 알리면서 데드에게 자기네 밴드에 보컬리스트로 가입하지 않겠냐는 제안을 해왔지만 데드는 그 제안을 거절하고 노르웨이로 갔다.[8][9]
그러나 당시 메이헴은 그때까지 썼던 연습실을 쓰지 못하게 되어 새 연습실을 찾고 있었고 데드는 밴드가 새로운 연습실을 찾을 때까지 데드는 잘 수 있는 곳이 딱히 없어 네크로버처나 유로니무스의 집에서 머물곤 했었다. 하지만 이 둘의 집도 오랫동안 머물 수 없었다. 메이헴의 멤버들은 노르웨이에 가족이나 친구가 있어 부탁할 수 있는 사람이 있지만 데드는 메이헴의 멤버들을 제외하면 친하게 지내는 노르웨이인이 단 한 명도 없었다. 즉, 노르웨이에서의 데드는 완전히 이방인이었다.

데드는 아버지가 선물해준 차에서 지내다가, 술취한 사람이 가득했던 청소년 클럽에 들어가 지냈으나, 성탄절스웨덴에서 보낸 후 거처로 돌아왔을때 만화책들이 도난 당하자 헬해머가 노르웨이 외곽에서 발견한, 전기도 수도도 통하지 않는 허름한 오두막에 혼자 기거하며 숙식을 해결하였다.[10] 오두막에 고립되어 있던 데드는 스웨덴에 있는 친구들이나 메탈 팬진 등에 보낼 목적으로 여러 편지들을 쓰거나 그림들을 그렸다. 그러다가 1989년 가을 무렵, 땅주인이 와서 샷건으로 위협해 그 오두막에서 쫓겨났다. 한편 아버지에게서 받던 생활비도 끊기게 되었다. 원래 식료품들을 사라고 보낸 돈이였으나 데드가 끼니마저 거르며 보낸 돈을 메이헴을 위해 편지나 테잎들을 보내는 일에 쓰고 있는 것을 그의 아버지가 알아냈기 때문이다. 후에 네크로버처의 도움을 통하여 데드는 노르웨이의 복지 혜택을 받기 시작하였고 1990년에 유로니무스가 그의 오랜 학교 친구의 부모님의 소유인 Kråkstad에 데드의 거처를 마련할 때 까지 캠핑장에 있던 Beverdalen이라는 모텔에서 지냈다.
흔히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이 시기까지만 하더라도 데드와 유로니무스의 사이는 생각보다 가까웠다. 한번은 1989년 12월 31일에 새해를 맞이하여 메탈리온의 집에서 파티를 했을때 메탈리온의 부모님 방에 있는 침대 위에서 데드의 친구인 Tompa와 함께 서로 자해를 하며 메탈리온 엄마의 샴페인을 마시고 있었다. 술에 취해 깊은 대화를 나누다가 데드가 갑자기 돌변하여 "너랑 나는 오늘 함께 트란실바니아에 갈거야"[11] 라고 하며 거실로 나와 칼을 들고 뛰어다니며 거실에 있는 맥주병이 가득 올려져있던 책상을 엎고 앞에 있는 창문을 깨려했고 이에 유로니무스와 다른 친구들은 데드를 제압하여 수갑을 채웠다. 그날 밤 데드가 무슨 짓을 할지 모른다며 유로니무스는 일부러 데드와 같은 방에서 잤다고 한다. 다음 날 아침 데드는 이 일에 대한 기억이 없다고 말했고 유로니무스는 데드가 차고 있던 수갑 열쇠를 잃어버려 근처에 있는 경찰서에 가서 수갑을 풀어야 했다.

2.4. 메이헴의 본격적인 활동


메이헴의 리허설 모습이 찍힌 유일한 영상. 참고로 영상은 1989년, 랑휴스(Langhus)에 위치한 연습실에서 찍혔으며 촬영은 당시 데드와 같이 연습실에서 살았던 룸메이트 Lasse Olstad가 했다. 영상 처음에 나오는 금발의 청년이 바로 데드이고 밴드 연주 시 오른쪽에 기타를 연주하는 사람이 유로니무스이다. 당시 멤버로는 데드(보컬), 유로니무스(기타), 네크로버처(베이스), 헬해머(드럼).

2년이라는 긴 시간을 리허설로 보낸 메이헴은 1990년, 새로 마련한 연습실에서 "Freezing Moon", "Funeral Fog", 'Buried By Time And Dust" 등 3곡의 신곡을 완성했고 유로니무스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레이블 이름을 Posercorpse Music에서 D.S.P.(Deathlike Silence Productions)로 변경한 후 부모님에게 금전적인 지원을 받아 본격적으로 레이블 경영을 하기 시작했다.

D.S.P.에서 처음으로 발매한 레코드는 1990년 2월에 발매된 스웨디시 데스 메탈 밴드 Merciless의 데뷔 앨범 The Awakening이었다.[12] Merciless의 멤버들 중 상당수가 데드와 청소년 시절부터 친했던 친구들이었고 그 인연으로 D.S.P.와 계약을 맺은 것이었다.

Merciless의 앨범 발매에 대해 상의하기 위해 데드는 1989년 12월에 유로니무스, 네크로버처와 함께 오랜만에 스웨덴으로 귀국했는데 Merciless의 멤버이자 데드의 친구였던 에릭 월린(Erik Wallin)은 확연히 달라진 데드의 모습을 보고 적잖이 놀랐다. 에릭이 설명하기를 "스웨덴에 있었을 때만 해도 데드는 남의 말을 경청할 줄 아는 좋은 성품을 가진 청년이었지만 노르웨이에서 돌아온 데드는 예전과는 달리 우리들과 말 한마디 섞지 않고 조용하게 자리에 앉아만 있었으며 데드와 같이 온 다른 일행들도 우리들과 묘한 거리감을 두려한다는 것이 명백히 느껴졌다."고. 실제로 유로니무스와 데드는 당시 같이 활동하는 다른 장르의 메탈 밴드들을 "다 똑같은 조깅바지를 입고 메탈을 트렌드로 만들려는 Poser들"이라며 혐오했었다.

밴드는 독일, 그리스, 튀르키예, 네덜란드등 유럽의 많은 곳에서 공연을 하기로 계획 하고 1990년 2월 3일, 메이헴은 노르웨이의 Jessheim에서 역사적인 첫 공연을 가졌다. 유로니무스는 공연 직전 Nella라는 매니악의 절친한 친구에게 쓴 편지에서 무대에 꽂아놓을 돼지 머리를 샀다는 것과 밴드의 첫 라이브에서 밴드 멤버들이 콥스페인팅을 하고 무대에 오를 것이며 보컬인 데드가 공연 중 자해를 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미리 알려주었다.


메이헴의 첫 공연인 Live in Jessheim (1990.2.3). 당시 멤버로는 데드(보컬), 유로니무스(기타), 네크로버처(베이스), 헬해머(드럼).

밴드의 첫 공연에서 데드는 '모싱과 스테이지 다이빙을 하면서 폼만 잡는 가짜 관객들'을 공연장에서 쫓아내기 위해 유로니무스가 미리 준비한 돼지머리[13] 등의 소품을 던지면서 관객들을 도발했고 공연 막바지에는 Chainsaw Gutsfuck을 부르면서 네크로버처가 일부러 안전을 위해 준비한 무딘 나이프로 자신의 왼쪽 손목을 그었지만, 데드가 원하던 깊이로 그어지지 않자 무대 위에 있던 코카콜라 병을 깨고 깨진 콜라병으로 자신의 오른쪽 팔을 그었다. 결국, 상처가 너무 깊어서 데드는 공연이 끝난 직후 구급차를 타고 급히 응급실로 실려갔다. 유로니무스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공연장에 구급차를 대기시켜 놓았었다고... 이후 데드는 Mike라는 팬이 보낸 팬레터 답장에 '예상했던 것보다 깊게 그어져 버렸다. 관중들은 내가 피를 흘리는 광경을 보고 즐기는 것 같았다'라고 적었다.


두번째 공연인 Sarpsborg, Norway 공연 (1990.2.28). 당시 멤버로는 데드(보컬), 유로니무스(기타), 네크로버처(베이스), 헬해머(드럼).

데드의 부상이 어느 정도 나아진 1990년 2월 28일 밴드는 노르웨이의 Sarpsborg에서 두 번째 공연을 펼쳤다. 이들은 해당 공연에서 '지옥의 느낌을 관객들에게 확실하게 전달하여 그들을 공포에 떨게 만들고 싶다'며 무대를 암전 상태로 만들고 숲에서 모아온 썩은내가 나는 까마귀의 시체들을 비닐봉지에 담아 무대에 올려놓았다. 공연 막판에 데드는 까마귀 시체를 관객들을 향해 던졌고 떨어진 까마귀 시체를 만진 한 관객이 기겁하고 시체를 내던지자 데드는 "얼굴에 피와 썩은 살점이 묻는게 싫은 사람들은 당장 꺼져!"라고 소리치며 관객들을 도발했다.

Jessheim과 Sarpsborg에서의 공연 후 노르웨이의 라이브 클럽들은 메이헴의 공연을 보이콧하였으나 동시에 메이헴은 노르웨이에서 제일 컬트적인 밴드로 입소문이 나기 시작하며 나름의 팬층을 확보하게 된다. 노르웨이에서 공연을 할 수 없게되자 메이헴은 오스트리아의 글라이스도르프(Gleisdorf)에서 공연을 하려 했지만 밴드가 오스트리아로 떠나기 직전에 모종의 이유로 공연이 취소되고 말았다.

1990년 4월, 메이헴은 The Freezing MoonCarnage의 스튜디오 버전을 녹음했다.[14] 보컬 트랙을 녹음할 당시 데드는 "코에 죽음의 악취가 충분히 스며든 상태에서 노래를 부르고 싶다."면서 죽은 새들의 시체를 담은 비닐봉지를 갖고와서 사체 냄새를 맡으며 보컬을 녹음했다.
파일:dead-and-euronymous-together.jpg-920x613.webp
▲ 왼쪽부터 : 데드, 유로니무스
이후 유로니무스오슬로 외곽에 위치한 자신의 가족 별장을 밴드의 새로운 연습실로 만들었으며 네크로버처를 제외한 밴드 멤버들은 새로 마련한 연습실에서 같이 생활하면서 본격적인 작곡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메이헴의 드러머인 헬해머의 회고에 의하면 당시 밴드는 그리 원만하게 굴러가지 못했다. 밴드의 중심축인 데드와 유로니무스는 블랙 메탈과 밴드 운영에 대한 견해 차이 및 성격 차이로 대립하기 시작했으며 네크로버처는 동거중인 여자친구가 임신해서 돈을 마련하기 위해 각종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바빠서 연습에 잘 나오지 않았고[15] 헬해머 본인도 밴드의 지지부진한 활동에 실망감을 느껴서 연습실과 할아버지 집을 오가며 세션 드러머 활동을 병행했다. [16]

데드와 유로니무스는 "블랙 메탈은 주류 문화에 대한 거부 혹은 반대를 표출하는 개인들이 공유하는 정체성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에 뜻을 같이 했지만 데드는 블랙 메탈이 어떠한 정치적 이념과 결부되지 않고 사회의 관습에도 매몰되지 않는 일종의 문화 코드가 되기를 원한 반면 밴드의 전권을 잡은 유로니무스는 헬스 엔젤스를 만든 바이커 갱들처럼 자신을 리더로 하여 일정한 사상과 목적을 가진 하나의 집단으로서의 "블랙 메탈 씬"을 구축하려 했다. 그리고 유로니무스는 노르웨이의 청소년 공산주의자 클럽 Rød Ungdom의 일원으로 활동한적이 있었고[17] 그곳에서 알게된 이오시프 스탈린의 무자비하고 독재적인 리더십을 흠모하는 스탈린주의자이자 전체주의자였으며 자신도 스탈린처럼 밴드에서 독단적인 리더십을 발휘하고자 하였는데 데드는 메이헴에 가입하기 전에 모비드의 리더로써 활동했던 경험을 밑바탕으로 이러한 유로니무스에게 반기를 든 메이헴의 유일한 멤버였다고 한다.

핼헤머는 유로니무스에 대해서 "나와 데드가 밴드에 막 가입했을 당시에는 매우 예의바르고 겸손한 사람이었지만 밴드가 악명을 얻게되자 점차 기괴하고 인정머리 없는 생각과 의견들을 내보였다. 유로니무스는 밴드 멤버들과 같이 지내기 시작할 무렵부터 마치 고약한 교도관처럼 멤버들을 통재하려고 들었고 일이 자기 마음대로 되지 않으면 불같이 화를 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데드가 갑작스럽게 괴상한 행동을 시작하거나 자해를 시도할 때 유로니무스는 데드의 행동을 방관했고 오히려 더 극단적인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데드를 도발하기까지 했다."라고 증언했다. 헬해머는 당시 데드의 모습을 "마치 핏기없는 시체같은 창백한 얼굴을 하고 있었고 항상 시체에 생긴 시반같이 새하얗게 워싱 처리된 청바지데님 자켓[18]만 입기를 고집했다. 데드는 혼자만 유일하게 스웨덴인이었고 성격도 지나치게 내성적이어서 사적인 친근감을 나누기가 불가능에 가까웠다"라고 묘사했다.


데드의 육성이 마지막으로 담긴 Live in Leipzig 앨범.

그렇게 위태롭게 밴드가 굴러가던 중 메이헴은 유로니무스가 속해있던 공산주의 단체의 의뢰를 받아들여서 1990년 11월 동독에서 공연을 하게되었다. 헬해머는 "동독 공연에서 데드는 "무대 밖에서도 내 얼굴이 시체처럼 창백하게 보여지고 싶다."면서 일부러 음식을 거의 먹지 않기 시작했으며 너덜너덜해질 때까지 남의 무덤 속에 묻어놨던 옷을 입고 콥스페인팅을 한 채 무대에 올랐다. 어느 날은 다른 사람들에게 노르웨이로 돌아가면 자신을 땅에 묻어달라고 말하기도 했다"라고 회상했다.

동독에서의 공연 이후 메이헴은 노르웨이로 귀국하기 전인 1990년 12월, 터키이즈미르에 들려서 한 차례 공연을 진행했으며 이것이 밴드의 마지막 공연이 되고 말았다. 메이헴이 터키 라이브를 위해 열차를 타고 이스탄불[19]로 이동하던 중에 영양실조에 시달리던 데드는 계속 코피를 흘렸다.

터키 이즈미르의 공연 프로모터 Arcan[20]은 "당시 데드는 과다출혈(코피+자해)로 인해 창백하게 질려있는 얼굴에다가 몸에는 상처가 없는 부위가 없을 정도로 전신에 걸쳐 많은 상처들이 있었다. 내가 데드에게 무슨 문제가 있냐고 물었을 때도 데드는 말이 전혀 없었으며, 펍에서도 데드는 혼자 가만히 앉아 다른 멤버들의 말에 연신 고개만 끄덕이면서 맥주를 홀짝일 뿐 속내를 털어놓지 않았다."고 터키 공연 당시 데드의 모습을 회상했다.

종합해보면 메이헴의 활동 당시 밴드의 라이브 공연은 다음과 같이 총 6번 이루어졌다.
February 3rd 1990 - Jessheim, Norway (The Great War bootleg)
February 28th 1990 - Sarpsborg, Norway (Live in Sarpsborg album)
November 23th 1990 - Annaberg, Germany[21]
November 24th 1990 - Zeitz, Germany (War and Sodomy bootleg)
November 26th 1990 - Leipzig, Germany (Live in Leipzig album)
December 1990 Izmir, Turkey[22]

2.5. 자살

투어 종료 후 1991년이 되자 네크로버처[23]가 밴드를 완전히 탈퇴하고 멤버들과의 연락을 끊었고 핼헤머도 노르웨이 전역을 돌아다니며 세션 드러머 활동에 전념하기 시작했다. 유로니무스도 자신이 새로 차린 레이블 "Deathlike Silence"를 홍보하는데 바빴다. 데드는 이들과 달리 메탈과 밴드에 진심이었으며 점점 밴드 활동을 소홀히하는 멤버들에 대해 불만을 품게 되었다.

유로니무스는 데드의 계속 되는 비관적인 말들과 행동에 짜증이 나서 데드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 당시의 유명한 일화로는 유로니무스가 데드가 끔찍이 싫어하던 신스팝을 크게 틀기 시작했고 음악 소리에 잠에서 깬 데드는 소리를 피해 집 밖으로 배게를 들고 나와 자려고 했으나 유로니무스가 따라 나와서 산탄총을 새를 향해 쏘아대며 데드를 도발했고 이에 데드는 짜증이 나서 유로니무스를 향해 돌을 던졌다는 것이다. 데드와 유로니무스의 갈등은 커져만 갔고 이 둘의 갈등에 못 이겨 그나마 중재자 역할을 했던 헬해머는, 자신의 할머니 집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 와중에 데드는 연습실에 남아 편지를 쓰거나, 여러 인터뷰에 응하며 메이헴정규 1집이 곧 나온다고 홍보하였으며 앨범 명과 앨범 커버의 구상을 끝냈다. 하지만 데드의 바람과는 달리 앨범 제작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왜냐하면 당시 밴드에게는 앨범을 제작할 자금이 없었기 때문이다. 유로니무스는 "우리가 음반 계약을 맞으면 돈이 생길거다"라고 호언장담했지만 그의 말은 지켜지지 않았고 데드는 이미 사이가 좋지 않았던 유로니무스에게 더욱 더 큰 불만을 품게 되었다.

1991년 4월 유로니무스부활절을 맞이해 자신의 친구이자 전 메이헴 드러머인 멘하임을 보러 데드를 홀로 남겨두고 떠났다. 4월 5일 금요일에 헬해머는 기차역에서 데드를 마주쳤는데 "데드가 평소와 다르게 기분이 좋아 보였으며 자신이 새로 산 칼을 보여주며 얼마나 날카로웠는지에 대해 말을 했다"고 회상했다.

4월 7일 유로니무스는 네크로버처에 전화를 걸어 자신이 연습실에 데드를 보러 갔지만 열쇠가 없어 들어가지 못했다고 얘기했다. 네크로버처는 자신이 데드를 확인해보겠다고 했지만 실행으로 옮기지 않았다.

데드를 마지막으로 만난 Red Harvest의 드러머이자 Enslaved 드러머였던 Cato에 의하면 4월 7일, 데드는 부족한 생활비를 벌기 위해 오슬로 시내로 나와서 여러 메탈 팬진들을 담은 비닐봉투를 들고 그것이 팔릴 때까지 계속 거리에 서있었다고 한다. 그는 그런 데드에게 연민을 느껴 잡지를 구매하고 저녁과 술을 사주었는데 바로 다음날 데드의 사망 소식을 전해들었다고 한다.
4월 8일[24], 데드는 칼을 들고 숲에 들어가 나무 아래에 앉아 자신의 손목과 목을 그어 자살을 시도한다. 하지만 계속 기다려도 극심한 고통만 느껴질 뿐 의식을 잃지 않자, 데드는 피를 흘리며 연습실에 돌아와서 유서를 쓰고 연습실에 있던 산탄총으로 머리를 쏴서 목숨을 끊었다. 1969년 생이었으니 그의 나이 22세 때였다.

다음은 데드의 유서 전문이다.
Excuse the blood, but I have slit my wrists and neck. It was the intention that I would die in the woods so that it would take a few days before I was possibly found. I belong in the woods and have always done so. No one will understand the reason for this anyway. To give some semblance of an explanation I'm not a human, this is just a dream and soon I will awake. It was too cold and the blood kept clotting, plus my new knife is too dull. If I don't succeed dying to the knife I will blow all the shit out of my skull. Yet I do not know. I left all my lyrics by "Let the good times roll"—plus the rest of the money. Whoever finds it gets the fucking thing. As a last salutation may I present "Life Eternal". Do whatever you want with the fucking thing.

P.S. I didn't come up with this now, but seventeen years ago.

*해석: 피를 흘려서 미안해. 원래는 발견되기까지 며칠은 걸리도록 숲에서 죽을 의도였어. 나는 항상 숲에 속해있었으니까. 비록 그 이유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없겠지만. 그래도 좀 설명을 하자면 난 인간이 아니야. 지금 순간은 꿈에 불과하고 난 곧 깨어날거야. 그동안 너무 추웠고 내 피는 얼어붙었거든 새로 산 칼이 너무 무뎌서 내가 죽지 못한다면 난 그냥 내 두개골을 날려버릴거야. 아직은 모르겠지만. 밴드에게 좋은 일들이 있었으면 해서 내가 그동안 써놨던 모든 가사들을 남겨놨어. 남은 돈도 찾는 사람이 가져. 마지막 인사말로 "Life Eternal"을 동봉해. 이 망할 것도 네들 마음대로 써먹어도 좋아.

추신. 내가 자살하는 것은 충동적인 결정이 아니야. 난 이미 17년 전부터 내가 자살로 생을 마칠 거라고 생각해왔어.
/ Pelle.[25]
원문: ursäkta blodet, men jag har skurit upp handlederna och halsen. Det var meningen att jag skulle dö i skogen så att det skulle ta några dagar innan jag eventuellt skulle upphittas. Jag hör hemma i skogen och har alltid gjort det. Anledningen till detta kommer ändå ingen fatta. För att ge någon sånär förklaring så är jag inte en människa, det här är bara en dröm och snart vaknar jag. Det var för kallt och blodet levrades hela tiden plus att den nya kniven är för slö. Om jag inte lyckas att dö av kniven så blåser jag ut skiten från skallen. Än så vet jag inte. Jag lämnade alla mina texter vid "Let the good times roll" -- plus resten av pengarna. Den som hittar dem får skiten. Som en sista hälsning får jag lov att presentera "Life Eternal". Gör vad ni vill med skiten.
P.S. Jag kom inte på det här nu, utan för sjutton år sedan
/ Pelle.

유서의 내용을 보면 "나는 인간이 아니다", "이것(인생)은 한낱 꿈일 뿐이고 나는 곧 깨어날 것이다" 등의 내용이 있는데, 데드는 자살 이전부터 자신이 다른 세계에서 온 생명체이며 인간이 아니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었으며 유년 시절의 폭행 사건 이후 자신은 불멸의 존재이며 이곳에서의 인생은 잠시일 뿐이고 죽은 뒤 다른 세계(혹은 사후세계)로 갈 것이라고 믿었다. 몇몇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데드의 증상은 코타르 증후군의 증상과 맞아떨어진다. 이 병은 자신이 사실 죽었거나, 존재하지 않거나, 내부 장기나 혈액을 잃어버렸다거나 매우 희귀한 경우 자신이 불멸의 존재라고 생각하는 병이다.

유서 마지막 줄에는 "나는 이것(자살)을 지금 생각해 낸 것이 아니라 이미 17년 전부터 생각해왔다" 라는 말이 쓰여져 있다. 이는 데드가 약 5살 때부터 자신이 주변 사람들과 다르다고 여겼다는 것이다. 그의 남동생 앤더스는 데드 사후에 "형은 어렸을 때부터 종종 남들이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하기도 했다. 그래서 집에 손님들이 방문할 때면 어머니는 형이 사람들을 당황케 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신경써야 했다." 고 밝혔다.

메이헴의 드러머 헬해머는 "유로니무스와 데드는 같이 동거 생활을 시작하자마자 다투기 시작했다"고 인터뷰에서 밝혔고 지금도 "유로니무스가 연습실에 데드를 혼자 놔두고 산탄총을 연습실에 그대로 둔 것은 데드가 그 총으로 자살하기를 원해서였을 것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세월이 지난 현재 주위 사람들의 증언을 종합해보면 "유로니무스가 데드의 자살을 부추겼다."는 것은 사실과 거리가 멀다는 것이 중론이다. 처음에는 유로니무스도 데드를 도와주려 했으나 데드의 계속되는 비관론적인 말들이나 행동[26]과 여러 갈등이 겹쳐, 멤버들이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에 이미 정신적으로 안 좋았던 데드가 연습실에 있던 총으로 자살해버린 것이다. 즉, 유로니무스가 데드의 자살을 일부러 부추겼다기 보다는 데드의 조울증과 다른 정신병에 대해서 이해도가 낮아서 데드를 그냥 방치했다가 이런 사단이 났다는 것.

3. 데드의 자살 이후

오랜만에 데드를 만나러 메이헴의 연습실에 갔다가 데드의 시체를 발견한 유로니무스시체를 보자마자 근처 상점으로 달려가서 일회용 카메라를 산 후 데드의 시신을 훼손시키고 그 주위에 일부 사물을 늘어놓은 뒤 사진을 찍었다. 그리고 데드의 자살 현장에서 데드의 뼈조각들 일부를 빼돌려서 팬던트 목걸이 여러 개를 만든 뒤 귀중한 것이라며 동료 뮤지션들에게 선물했다.[27] 데드의 뼈조각을 선물받은 이들은 자신들이 유로니무스에게서 데드의 뼈조각을 받은 사실을 계속 부인하다가 2005년 선물받은 사실을 인정했다.[28]

이후 유로니무스는 기자에게 전화 인터뷰 약속을 잡아서 다음과 같은 발언을 통해 데드의 자살을 언론에 대서특필되게 하여 메이헴과 블랙 메탈을 홍보하였다.
나는 메이헴이라는 밴드의 기타리스트 유로니무스라고 한다. 밴드의 보컬인 데드가 블랙 메탈을 우습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분노를 표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블랙 메탈러인 우리들은 죽음, 부패, 어둠에 극도로 매료되어 있다. 일반인들은 이러한 것들을 무서워하겠지만 말이다. 나는 우리들의 라이프스타일에 이러한 것들을 접목시키는 것에 대하여 매우 큰 흥미를 느끼고 있으며 최선을 다해 악을 실천하려고 노력한다. 우리들은 기존의 구태의연한 것들을 모두 파괴시켜 버릴 것이다. 우리들은 노르웨이 락밴드들에 관한 여러 자료들을 가지고 있고 그들에게 강한 영감을 받는다. 우리들은 노르웨이에서 정말로 "Raw"한 음악을 연주하는 최초의 락밴드이다. 우리들은 1984년부터 자금까지 이러한 음악을 연주해왔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스타일을 유지해 나갈 것이다. 블랙 메탈이란 어떤 면에서는 극도로 사타닉하다. 우리들은 머신건같은 드럼 사운드를 밑바탕에 깔고 일련의 코드들과 일렉트릭 기타를 통해 최대한 자극적인 사운드를 내며 우리들에게 맞는 음악적 파노라마와 분위기를 구현한다. 그리고 이는 썩 훌륭한 음악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우리들은 완전히 독창적인 색체를 우리들의 음악에 부여한다. 우리들이 연주하는 음악은 전에는 한번도 들어보지 못했던 음악일 것이다. 우리들은 과거에 악마같은 음악을 선보였던 베놈과 바쏘리가 추구한 신념을 믿기로 선택했다. 우리들은 사타니즘을 100% 신봉하며 우리들이 행하는 모든 것의 근본 또한 사타니즘이다. 왜냐하면 악마같은 음악을 만들기 위해서는 스스로 악마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들은 보통 사람과 다르다. 우리들은 죽음을 숭배한다.

유로니무스는 데드의 자살 현장 사진을 전시하는 등의 행동을 했다는 루머가 있고, 주변인들에게 전화해서 '데드가 쿨한 짓을 했어, 진짜 자살했다고'라고 자랑하여 메이헴의 다른 멤버들과 몇몇 사람들은 유로니무스가 데드의 죽음을 슬퍼하지 않고 이용해 먹으려는 생각에만 정신이 팔려있다면서 유로니무스를 경멸하기도 했다. 다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후술하듯 유로니무스가 데드를 순전히 이용했다기보다는 평소 우울을 호소하던 친구[29]가 실제로 자살했고 유로니무스가 이 트라우마를 정리하지 못했다고 보기도 한다.

데드의 자살을 기점으로 유로니무스는 밴드메이트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본 트라우마와 자신이 그의 죽음을 방관했다는 죄책감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일부러 자신을 더 사악하고 악마스러운 이미지로 만들기 위해 어떤 짓이든 하려 했고 현실과 멀어지려 했다. 데드의 동생인 앤더스 또한 "유로니무스가 어떤 마음이였는진 이해한다. 하지만 그가 한 행동이 옳은 것은 아니다" 라고 말한 바 있다. 유로니무스는 사타닉 서클이라는 범죄 조직을 결성하여 교회 방화 등 각종 범죄를 저지르기 시작하였으며 점차 과격해져가던 유로니무스의 행보는 이러한 범죄를 유로니무스와 같이 행하며 그를 따르던 후배 뮤지션 바르그 비케르네스가 유로니무스에게 원한을 품게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결국, 유로니무스는 1993년 8월 10일. 바르그에게 잔혹하게 살해당하고 만다.

데드의 시체 사진들은 유로니무스가 자신의 레코드점 헬베테(Helvete)에 전시해 두었다가 유로니무스 사후 유족들이 소각했다. 그러나 유로니무스가 콜롬비아에 거주했던 블랙 메탈 뮤지션 Bull Metal[30]에게 보냈던 데드의 시체 사진이 남아있었고 결국 유로니무스 사후인 1995년에 데드의 시체 사진이 앨범 자캣으로 쓰인 부틀랙 앨범 <Dawn of the Black Hearts>가 발매되었다.[31] 해당 사진이 인터넷에 퍼지자 남동생 앤더스를 포함한 데드의 유족들은 웹사이트 운영자들에게 연락해 사진을 지워 달라고 부탁했으나 거의 지워주지 않았다고 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메이헴(밴드)|메이헴(밴드)]]}}}{{{#!if external != "o"
[[메이헴(밴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메이헴(밴드)?uuid=08a0afe4-9a0c-4aab-9b6a-7d4fd35d63b6|r280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메이헴(밴드)?uuid=08a0afe4-9a0c-4aab-9b6a-7d4fd35d63b6#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메이헴(밴드)?from=280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메이헴(밴드)|메이헴(밴드)]]}}}{{{#!if external != "o"
[[메이헴(밴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메이헴(밴드)?uuid=08a0afe4-9a0c-4aab-9b6a-7d4fd35d63b6|r280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메이헴(밴드)?uuid=08a0afe4-9a0c-4aab-9b6a-7d4fd35d63b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메이헴(밴드)?from=280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헤비메탈이나 락 뿐만 아니라 당시 스웨덴에서 거의 유일하게 Sarcofago, Sodom, Possessed 같은 익스트림 음악들과 언더 밴드들의 데모를 취급하였던 레코드샵으로, 당대 스웨디쉬 데스 메탈의 생성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던 스웨덴 익스트림 씬의 성지였다.[2] 데드가 모비드를 탈퇴한 후 모비드의 남은 멤버들은 훗날 사진 작가로 유명해지는 John Scarisbrick를 보컬로 영입하여 The Lsat Supper라는 EP를 발매하고 밴드를 해체했다.[3] 여담으로 오슬로로 떠날때 짐으로 옷, 책 몇권, 그리고 가짜 피가 들어있는 캡슐만 챙겼다[4] 서로의 첫 만남에서 영어로 대화를 하려고 했으나 유로니무스의 강한 억양 때문에 데드가 그의 말을 알아듣기 힘들어 했다는 일화가 있다.[5] 이런 유로니무스의 믿음은 나중에 둘의 갈등을 만드는 결과를 만들었다.[6] Torben Grue는 현재 오페라 가수로 활동 중이다.[7] Possessed의 Seven Churches, 데스Scream Bloody GoreLeprosy 등으로 대표되는, 스래쉬 메탈의 변형 및 발전에 가까웠던 미국의 데스 메탈과 달리 당시 유럽 언더그라운드 시장에서 쏠쏠한 재미를 보고 있었던 하드코어 및 크러스트 펑크의 사운드 포징을 스레쉬 메탈에 결합한 스웨디시 데스 메탈의 대표주자로서 활동한 밴드. 1993년 10월 4일 발표한 3집 앨범 <Wolverine Blues>부터는 기존의 스웨디시 데스 메탈에 좀 더 리듬 위주의 리프 전개를 기반으로 하는 빌드업을 특징으로한 Death 'n' Roll 장르를 개척하였다. 2013년, 인톰드 멤버들은 두 패로 갈라져서 '인톰드'라는 이름을 쓸 권리를 두고 법정 다툼을 벌인 끝에 결국 밴드가 2개로 쪼개졌다.[8] 마땅한 보컬을 찾지 못하자 결국 본래 드러머였던 엘지 페트로브가 보컬리스트로 포지션을 변경하여 인톰드의 최종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데드는 메탈 팬진과의 인터뷰에서 인톰드에 대해 질문받자 "그 밴드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거의 없어서 말할 것이 없다."고 답했다. 모비드에서 같이 활동했던 엘지 페트로브에 대해서는 "드러머가 왜 갑자기 보컬을 하겠다고 나섰는지 모르겠다." 는 말을 남겼다.[9] 엘지 페트로브는 인톰드 1집 활동 중에 드러머이자 밴드의 리더인 니키 엔더슨의 여자친구와 불륜을 저질렀다가 들켜서 분노한 니키에 의해 밴드에서 해고당했으나 (2집 Clandestine의 보컬은 니키 엔더슨이 직접 맡았다.) 엘지 페트로브 만한 보컬을 찾을 수 없다고 생각한 니키가 엘지에게 밴드 재가입을 요청하였고 엘지 패트로브는 요청을 수락하고 밴드에 재가입해서 2012년 까지 밴드의 보컬로서 활동했다. 엘지 페트로브는 암투병 끝에 2021년 3월 7일, 49세라는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10] 데드가 기거하던 오두막에 가끔 유로니무스와 네크로버처가 들려서 현재 밴드의 상황을 설명하며 데드와 같이 시간을 보냈다. 당시 이들도 노르웨이 정부의 사회 보장 제도로 연명할 만큼 가난에 시달리고 있었다.[11] 생전 데드는 트란실바니아의 건축물, 특히 성을 좋아했다. 자살할 당시 데드가 입고 있는 옷에도 I ❤ transylvania 라고 적혀 있었다.[12] 발매는 1990년 2월에 되었지만 앨범 녹음은 1989년 6월, 스웨덴의 에스칼스투나(eskilstuna)에 위치한 Tuna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13] 유로니무스가 도축업자에게서 구해온 것인데 보관을 제대로 안 해서 고기가 상한 상태였는지 한 관중이 장난으로 씹었다가 탈이 났다.[14] 이 녹음본은 훗날 발매된 컴펄레이션 앨범 Projections of A Stained Mind에 수록되어 세상에 공개되었다.[15] 데드와 유로니무스는 밴드를 위해 어느정도 돈을 썼지만 네크로버처는 여자친구에게만 신경을 썼지 밴드를 위해서는 한 푼도 쓰지 않았고 여자친구랑만 있으여 해서 밴드 리허설에 불참하는 일이 잦았다. 그나마 리허설에 참여했을때도 리허설에 집중하지 않고 대마초만 피워댔다고 한다.[16] 실제로 동독 라이브에서 불려진 신곡은 "Pagan Fears" 1곡 뿐이었으며 나머지 곡들은 미완성 상태로 있다가 데드 사후인 1992년에 유로니무스와 기타리스트 블랙손(Blackthorn)이 재작업하여 완성시켜서 De Mysteriis Dom Sathanas 앨범에 수록되었다. 참고로 앨범 제목도 생전에 데드가 명명한 것이다.[17] 유로니무스는 1990년 인터뷰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친구를 독살시키겠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18] 위 리허설 영상 맨 처음에 이 옷을 입고있는 데드의 모습이 보인다.[19] 우선 이스탄불에서 내린 뒤 버스를 타고 장장 8시간을 달려서 공연 장소인 이즈미르에 도착했다.[20] 유로니무스와 80년대 후반부터 연락을 주고받으며 유로니무스에게서 여러 희귀한 익스트림 밴드들의 소식과 데모 테잎들 그리고 Deathcrush 카세트 테잎을 받기도 한 사람이었다.[21] 유로니무스는 사망하기 하루 전 인터뷰에서 밴드가 행했던 공연 중 관객들이 가장 열렬한 반응을 보인 공연으로 동독 투어의 첫 공연인 Annaberg에서의 공연을 꼽았다.# 그러나 아쉽게도 해당 공연은 메이헴의 동독 투어 공연 중 유일하게 녹음본이나 영상물이 존재하지 않는다.[22] 터키 공연은 녹음본이나 영상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메이헴이 공연을 하던 도중 경찰의 단속으로 라이브가 강제 중단되고 장소가 폐쇄되었기 때문이다. 메이헴의 멤버들은 공연 전 음향 담당자에게 라이브 테잎 레코딩을 부탁한 바 있었으나, 경찰이 강제 종료 시켜 혼돈스러웠던 정황상 테잎을 구할 수 없었다.[23] 네크로버처는 맨날 대마초를 피고 자신의 여자친구랑만 있으려해서 다른 멤버들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네크로버처 여자친구의 개입 때문에 데드의 고국인 스웨덴 투어도 취소 해야했고 이를 못마땅해한 유로니무스는 네크로버처의 여자친구에게 살해 협박 편지를 보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일들로 네크로버처는 당시 밴드 멤버들과의 사이가 소원해진 상태였고 동독 투어가 실패로 끝나자 밴드 활동에 완전히 의욕을 잃어서 그대로 밴드를 탈퇴했다.[24] 추정 사망일자.[25] Pelle는 Per(페르)의 애칭 중 하나이다.[26] 메이헴의 드러머였던 멘하임은 데드에 대해서 "데드는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나오는 마빈처럼 매사를 항상 우울한 쪽으로 결론내리는 극심한 우울증을 앓고있었다."라고 회상했다.[27] 시신의 살점을 떼어내어 스튜를 끓여먹었다는 끔찍한 루머까지 나돌았는데, 유로니무스가 살해당하기 하루 전 한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시신이 굳어있어서 요리로 만들어서 먹지는 못하였다고 해명하였다.[28] 물론 사체손괴는 범죄인 만큼 당연히 법적 책임을 져야 정상이지만 유로니무스는 이미 그 전에 바르그에게 살해당했으니...[29] 아마 유로니무스는 데드의 우울증이 부분적으로는 단순히 컨셉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30] 2002년에 자살로 생을 마감함.[31] 실제로 유로니무스가 찍은 데드의 시신 사진이며, 데드는 샷건으로 머리를 쏴 자살했기에 시신의 광경이 굉장히 참혹하다. 어지간히 고어한 것에 면역이 강하지 않은 이상 정신적인 내상이 강할 것이기에 찾아보지 않는 것을 매우 강하게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