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002d>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역사 및 기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54 이전 | 1954-1958 | 1958-1962 | 1962-1966 |
1966-1970 | 1970-1974 | 1974-1978 | 1978-1982 | |
1982-1986 | 1986-1990 | 1990-1994 | 1994-1998 | |
1998-2002 | 2002-2006 | 2006-2010 | 2010-2014 | |
2014-2018 | 2018-2022 | 2022-2026 | 2026-2030 |
역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 ||||
1954년-1958년 | → | 1958년-1962년 | → | 1962년-1966년 |
1. 개요2. 1958년 월드컵 이전3. 1958년 월드컵 이후4. 1959년5. 1960년
5.1. 1960년 4월, 올림픽 예선5.2. 1960년 8월, 메르데카컵5.3. 1960년 8-9월 동남아시아 원정 평가전5.4. 1960년 10월, AFC 아시안컵5.5. 1960년 11월, 월드컵 예선
6. 1961년6.1. 1961년 4월, 국내 초청 친선전6.2. 1961년 6월, 월드컵 예선6.3. 1961년 8월, 메르데카컵6.4. 1961년 10월, 월드컵 예선6.5. 1961년 10월, 중동 및 동남아시아 원정 평가전6.6. 1961년 11월, 동남아시아 원정 평가전6.7. 1961년 11월, 월드컵 예선
7. 1962년 월드컵 이전8. 1962년 월드컵 이후1. 개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연도별 전적 통계 | |||||
<rowcolor=#fff> 연도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rowcolor=#000> 1958 | 7 | 4 | 1 | 2 | 57.14% |
<rowcolor=#000> 1959 | 11 | 7 | 2 | 2 | 63.64% |
<rowcolor=#000> 1960 | 11 | 7 | 3 | 1 | 63.64% |
<rowcolor=#000> 1961 | 6 | 2 | 1 | 3 | 33.33% |
<rowcolor=#000> 1962 | 7 | 6 | 0 | 1 | 85.71% |
1958년 월드컵[예선탈락] 이후 1962년 월드컵[예선탈락] 사이의 경기 결과다.
이 기간의 대한축구협회장은 1957년부터 협회를 이끌던 김윤기 회장이다. 김윤기 회장은 1959년에 두번째 임기를 시작한다. 1960년부터는 한국일보 사장, 언론인 장기영 회장이 취임한다. 그러나 그 해 4월, 수산학자[3]였던 정문기 교수가 제20대 대한축구협회장으로 취임한다. 정문기 회장 체제에서 사상 첫 메르데카컵 우승과 두번째이자 2회 연속 아시안컵 우승[4]을 이룬뒤, 1961년 다시 장기영 회장이 취임하였다가, 1962년 또 다시 김윤기 회장체제로 돌아온다.
시대적으로는 대한민국 제1공화국인 이승만 정부의 마지막과 시기와 4.19 혁명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제2공화국 윤보선 정부 및 장면 내각 그리고 5.16 군사정변으로 수립된 박정희 정부의 대한민국 제3공화국 직전시기까지 대한민국 현대사의 정치적 격변기에 해당한다.
[clearfix]
- [ 각주 참고표 ]
- ||<tablebordercolor=#000><#000><color=#fff><-2> 각주 참고표 ||
<colbgcolor=#000><colcolor=#fff> 경기점수 <colbgcolor=#333><colcolor=#fff>연장전[A.E.T.] | 승부차기[PSO] | 골든골[A.S.D.E.T.] | 몰수 경기[Fo] | A매치 미승인 경기[NA] 경기시간 현지시간[LC] | 한국시간[KST] 경기장소 경기장 기록 불명[None] | 중립지역[NP] 주심 주심 기록 불명[None] 경기내용 선수 기록 불명[None] | [GK] |
[17] | [2G] | [3G]
득점 |
PK 득점[PK] |
PK 실패[PF] |
자책골[OG]
연장전 골든골[GG] |
승부차기 성공 |
승부차기 실패
경고[YC] |
경고누적 퇴장[YR] |
직접 퇴장[DR]
선수 교체 |
부상
영상 [F] | [H] | [G] | [H1] | [H2] | [He] | [Hp] 영상 중계
(영상 권리자)[KBS] | [MBC] | [SBS] | [JTBC] | [tvN] | [sky] | [SPO] | [cou] | [ES] [Kof] | [Fof] | [Aof] 기타
2. 1958년 월드컵 이전
1958년 월드컵 이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
3. 1958년 월드컵 이후
경기 없음 |
4. 1959년
| 김윤기[2기](1959.02.20.) |
4.1. 1959년 8-9월, 메르데카컵
1959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59 메르데카컵 대회 상세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666 ''' | 메르데카컵 첫출전}}}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1958년-1962년#s-5.2|{{{#666 1960 메르데카컵 >>'''}}}]] |
| <nopad> 1959-08-30 | |
<nopad> 2:3 |
| <nopad> 1959-09-02 | |
<nopad> 4:1 |
| <nopad> 1959-09-05 | |
<nopad> 0:0 |
| <nopad> 1959-09-06 | |
<nopad> 3:1 |
4.2. 1959년 9월, 동남아시아 원정 친선전
| <nopad> 1959-09-07 | |
<nopad> 2:4 |
| <nopad> 1959-09-08 | |
<nopad> 1:1 |
| <nopad> 1959-09-10 | |
<nopad> 3:2 |
<nopad> 1959-09-12 | | |
<nopad> 1:5 |
<nopad> 1959-09-13 | | |
<nopad> 0:4 |
4.3. 1959년 12월, 올림픽 예선
| <nopad> 1959-12-13 | |
<nopad> 0:2 |
| <nopad> 1959-12-20 | |
<nopad> 1:0 |
5. 1960년
| 장기영[1기](1960.01.25.) |
5.1. 1960년 4월, 올림픽 예선
| <nopad> 1960-04-25 | |
<nopad> 1:2 |
<nopad> 1960-04-30 | ||
<nopad> 2:0 [Fo][50] |
| 정문기(1960.05.10.) |
5.2. 1960년 8월, 메르데카컵
1960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60 메르데카컵 대회 상세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1959 메르데카컵 | 1961 메르데카컵 >> |
<nopad> 1960-08-06 | | |
<nopad> 2:0 |
<nopad> 1960-08-08 | | |
<nopad> 3:1 |
<nopad> 1960-08-10 | | |
<nopad> 0:0 |
<nopad> 1960-08-11 | ||
<nopad> 3:3 |
| <nopad> 1960-08-14 | |
<nopad> 0:0 |
1960 메르데카컵 우승[51] |
5.3. 1960년 8-9월 동남아시아 원정 평가전
| <nopad> 1960-08-17 | |
<nopad> 0:4 [NA] |
| <nopad> 1960-08-19 | |
<nopad> 2:1 [NA] |
| <nopad> 1960-08-21 | |
<nopad> 1:2 [NA] |
| <nopad> 1960-08-30 | |
<nopad> 2:5 [NA] |
| <nopad> 1960-09-01 | |
<nopad> 2:1 [NA] |
5.4. 1960년 10월, AFC 아시안컵
1960 AFC 아시안 네이션스컵 대한민국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60 아시안컵 대회 상세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1956 아시안컵 | 1964 아시안컵 >> |
<nopad> 1960-10-14 | | |
<nopad> 5:1 |
<nopad> 1960-10-17 | | |
<nopad> 3:0 |
<nopad> 1960-10-21 | | |
<nopad> 1:0 |
파일:afc-asian-cup.png | 1960 AFC 아시안 네이션스컵 우승 |
5.5. 1960년 11월, 월드컵 예선
<nopad> 1960-11-06 | | |
<nopad> 2:1 |
6. 1961년
| 장기영[2기](1961.01.24.) |
6.1. 1961년 4월, 국내 초청 친선전
| <nopad> 1961-04-01 | [브라질] |
<nopad> 2:4 [NA] |
| <nopad> 1961-04-02 | [브라질] |
<nopad> 0:2 [NA] |
6.2. 1961년 6월, 월드컵 예선
| <nopad> 1961-06-11 | |
<nopad> 0:2 |
6.3. 1961년 8월, 메르데카컵
1961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61 메르데카컵 대회 상세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1960 메르데카컵 | 1962 메르데카컵 >> |
| <nopad> 1961-08-03 | |
<nopad> 3:1 [NA] |
| <nopad> 1961-08-05 | |
<nopad> 0:1 [NA] |
| <nopad> 1961-08-08 | |
<nopad> 1:1 [NA] |
| <nopad> 1961-08-12 | |
<nopad> 1:1 [NA] |
6.4. 1961년 10월, 월드컵 예선
| <nopad> 1961-10-08 | |
<nopad> 5:1 |
6.5. 1961년 10월, 중동 및 동남아시아 원정 평가전
| <nopad> 1961-10-18 | |
<nopad> 1:0 |
| <nopad> 1961-10-22 | |
<nopad> 1:1 |
| <nopad> 1961-10-28 | |
<nopad> 1:3 |
6.6. 1961년 11월, 동남아시아 원정 평가전
| <nopad> 1961-11-04 | |
<nopad> 1:4 [NA] |
| <nopad> 1961-11-06 | |
<nopad> 1:0 [NA] |
6.7. 1961년 11월, 월드컵 예선
<nopad> 1961-11-26 | | |
<nopad> 1:3 |
7. 1962년 월드컵 이전
| 김윤기[3기](1962.01.25.) |
7.1. 1962년 3월, 국내 초청 친선전
| <nopad> 1962-03-10 | |
<nopad> 0:1 [NA] |
| <nopad> 1962-03-11 | |
<nopad> 1:3 [NA] |
7.2. 1962년 5-6월, 동남아시아 원정 친선전
| <nopad> 1962-05-26 | |
<nopad> 2:1 [NA] |
| <nopad> 1962-05-29 | |
<nopad> 1:2 [NA] |
| <nopad> 1962-06-04 | |
<nopad> 1:3 [NA] |
| <nopad> 1962-06-06 | |
<nopad> 3:4 [NA] |
| <nopad> 1962-06-08 | |
<nopad> 1:0 [NA] |
| <nopad> 1962-06-13 | |
<nopad> 2:6 [NA] |
| <nopad> 1962-06-16 | |
<nopad> 2:1 [NA] |
8. 1962년 월드컵 이후
1962년 월드컵 이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
[예선탈락] [예선탈락] [3] 어류 등을 연구하는 수산학자였지만 체육활동에 큰 관심이 있었고 일제강점기 조선축구협회 창립에도 주도적 역할을 했었다고 한다.[4] 반세기가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대한민국의 마지막 아시안컵 우승이다.[A.E.T.] 연장전(After Extra Time)[PSO] 승부차기(Penalty Shoot-Out)[A.S.D.E.T.] 연장전 골든골(After Sudden Death Extra Time)[Fo] 몰수 경기(Forfeiture/Awarded)[NA] FIFA 미승인 A매치(Not Apporved Match)[LC] 현지시각(Local Time)[KST] 한국시간(Korea Standard Time), UTC+9[None] 기록불명[NP] 중립지역 경기(Neutral Place)[None] [None] [GK] 골키퍼(GoalKeeper)[17] 도움: ( 선수명 )[2G] 멀티골[3G] 해트트릭 및 그 이상[PK] 페널티킥 득점(Penalty goal)[PF] 페널티킥 실패(실축·선방)(Penalty failure)[OG] 자책골(Own goal)[GG] 골든골(Golden goal/Sudden death)[YC] 경고(Yellow card/Caution)[YR] 경고 누적에 의한 퇴장(Receiving a second Yellow card in the same match)[DR] 직접 퇴장(Direct Red card/Dismissal)[F] 전체 경기 영상(Full Video)[H] 하이라이트 영상(Highlight Video)[G] 득점 영상(Goal Video)[H1] 전반전 하이라이트(1st Half Highlight Video)[H2] 후반전 하이라이트(2nd Half Highlight Video)[He] 연장전 하이라이트(Extra Time Highlight Video)[Hp] 승부차기 하이라이트(Penalty Shoot-Out Highlight Video)[KBS] KBS N SPORTS, KBS 뉴스 등[MBC] MBC SPORTS+, MBC 뉴스 등[SBS] SBS Sports, SBS 뉴스 등[JTBC] JTBC GOLF&SPORTS, JTBC 뉴스[tvN] tvN SPORTS, TVING[sky] skySports[SPO] SPOTV, SPOTV NOW[cou] 쿠팡플레이 Sports[ES] ESPN+[Kof] @KFA TV
(official)[Fof] @FIFA
(official)[Aof] @The AFC Hub
(official) | @AFC Asian Cup
(official)[2기] [XI] 선발팀[1기] [Fo] [50] 한국은 1960년 4월 30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로마올림픽 아시아 예선 대만과의 경기 중에 심판의 계속되는 편파 판정에 흥분했다. 한국 선수들은 0-1로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페널티킥까지 선언당하자 심판을 폭행하고 말았다. 경기는 중단됐고 FIFA는 며칠뒤 한국의 몰수패를 선언했다.#[51] 말라야 연방과 공동우승[NA] [NA] [NA] [XI] 선발팀[NA] [XI] 선발팀[NA] [2기] [브라질] [NA] [브라질] [NA] [B팀] [NA] [B팀] [NA] [B팀] [NA] [B팀] [NA] [NA] [NA] [3기] [NA] [NA] [NA] [B팀] [NA] [XI] 선발팀[NA] [XI] 선발팀[NA] [XI] 선발팀[NA] [XI] 선발팀[NA] [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