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12:11:22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대구권 광역전철 전동차
(열차번호대구교통공사 · 열차번호코레일 · 차량번호대구교통공사 · 차량번호코레일)
파일:Daegu1.svg파일:Daegu2.svg파일:Daegu3.svg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1000호대
(현황)
2000호대
(현황)
3000호대
(현황)
392000호대
(현황)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미도입 전동차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Daegu4.svg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파일:Daegu5.svg파일:대구신공항철도아이콘.svg
4000호대차번 미정5000호대차번 미정}}}}}}}}}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부산김해경전철 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
의정부 경전철 의정부경전철 U100호대 전동차 VAL208
용인 에버라인 용인경전철 Y100호대 전동차 INNOVIA Metro Mark II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UL000호대 전동차
김포 골드라인 김포 골드라인 1000호대 전동차
서울 경전철 신림선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서울 경전철 위례선 서울 경전철 위례선 전동차 (차량명 미정)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선도시철도주식회사 DL000호대 전동차 (가칭)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광주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양산 도시철도 부산교통공사 Y100호대 전동차 (가칭)
대구 도시철도 4호선 대구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대구 도시철도 5호선 대구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대전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부산 도시철도 6호선 부산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가칭)
울산 도시철도 1호선 울산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Daegu Transportation Corporation 3000 Series EMU
}}}
파일:attachment/DaeguMonorail_real.jpg
301편성
파일:attachment/DaeguMonorail03.jpg
내부
차량 정보
<colcolor=#FFB100>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모노레일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3량 1편성
생산량 84량 (총 28편성)
운행 노선 파일:Daegu3.sv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도입시기 2013 ~ 2014년
제작사 히타치 제작소 (301편성)
우진산전 (302~328편성)
소유기관 대구교통공사
운영기관
차량기지 칠곡차량기지사업소
범물주박기지사업소
편성번호
체계
301 ~ 328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B100> 전장 15,100㎜(Mc)
13,900㎜(M)
전폭 2,980㎜
전고 5,420㎜
궤폭 고무차륜 모노레일 800㎜[1]
편성공차차중 94 t
대차 공기스프링 볼스터리스 대차
고정축간거리 1,500㎜
차륜직경 1,006㎜
재질 알루미늄
급전방식 직류 1,500V 제4궤조집전식
운전보안장치 히타치 ATO / ATP(수동운정 한정 사용)
VVVF
인버터
전력소자 히타치 VVVF-IGBT
출력전압 교류 3Φ 0 ~ 1100V
주파수 0 ~ 100㎐
견인전동기 형식 3Φ 농형 유도전동기
전동기 출력 105㎾
편성 출력 1,050㎾ (2850마력)
회전수(RPM) 2866 RPM
제동방식 회생제동 병용
아날로그 전기지령식 공기제동[2]
최고속도 영업 70㎞/h
설계 80㎞/h
가속도 3.5㎞/h/s
감속도 상용 4.0㎞/h/s
비상 4.5㎞/h/s
저크한계 0.8m/s³
MT 비 3M }}}}}}}}}
1. 개요2. 편성3. 상세4. 분류
4.1. 1차분 (2013~2014)
5. 기타
5.1. 도색5.2. 2차분 차량 도입 문제

[clearfix]

1. 개요

<nopad>
공식 소개 영상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서 운행하는 모노레일 전동차. 국내에서 최초로 운행을 개시한 도시철도형 모노레일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3량 1편성으로, 총 28편성 84량으로 운영되고 있다. 출입문은 1칸당 2도어다.

2. 편성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조성
<colcolor=#FFB100> ↑ 칠곡경대병원 방면
31## (1) Mc(운전실,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32## (2) M(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33## (3) Mc(운전실,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용지 방면

3. 상세

무인운전 열차라서 기관사가 없기 때문에 비상시에 원활한 대처가 힘들다. 때문에 대구교통공사기관사들과 지역 시민단체에서 상당한 불만을 갖고 있다. 일단 공사 측에서는 열차 1편성마다 선두차량의 우측 전망석에 기관사 자격을 가진 안전요원을 탑승시키고 있는데, 비상시 수동으로 열차를 조작하는 장치가 이곳에 있다.

운행관리원 자리가 일반좌석과 구분되어 있지 않은데, 쉽게 말해서 일반 지하철 운전석의 기관사 출입문을 열어놓고 운행하는 것과 같아서 취객 등의 위협에 시달리다 보니 칸막이를 설치했다. 그럼에도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상당하고 정식 기관사가 아닌 안전요원이다 보니 기관사 경력에 포함되지 않는 이유로 대구교통공사 내에서도 이직률이 상당한 편이다.
파일:attachment/DaeguMonorail01.gif
파일:attachment/DaeguMonorail02.gif

기본적으로 좌우에 롱시트가 있지만 Mc칸에 앞유리를 통해 바깥풍경을 볼 수 있도록 버스처럼 크로스시트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대로 선두차량의 우측 전망석은 안전요원 전용 좌석이기 때문에 평소에 앉을 수 있는 전망석은 사실상 왼쪽의 두 자리 뿐이다. 물론 안전요원 전용 좌석에 앉을 수도 있으나, 안전요원이 그곳에서 용무를 봐야 할 때는 자리를 비워 줄 수밖에 없다. 열차의 전면/후면부 유리창의 세로폭이 좁아 신장이 170cm 이상일 경우 전망석에 앉지 않으면 앞이나 뒤를 편하게 바라보기 힘들다.
파일:attachment/대구도시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bafc59e31b85d1278aa62988195e08bc.png
모노레일이라는 경전철임에도 불구하고 중형 중전철인 1호선 전동차2호선 전동차보다 전폭이 더 넓다.

또한 전두부에 중문이 설치되어 있는데, 중문은 병결운행이 아니라 비상상황시 후속 구호차량에 넘어가기 위한 용도로 설치됐다.

일단 전동차처럼 양쪽에 출입문이 있지만, 3호선 역들이 전편성 상대식 승강장 형태인데다 건넘선도 회차선을 제외하면 없어서인지 3호선은 가는방향 기준으로 왼쪽문이 열리는 모습을 볼 수가 없다.

내부안내 LED는 대구 도시철도 1~2호선 차량과 마찬가지로 양 끝에 달려 있다. 다만 천장의 높이가 다소 낮아 전광판의 세로 길이가 대구 1~2호선 전동차와는 달리 한 줄이다. 가로 길이는 대구 1~2호선 전동차보다 훨씬 길다.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해 객석 위의 선반과 통로문이 없다.

또한 열차가 지상 3~4층 가량 높이에서 운행되는 만큼, 사생활 보호를 위해 창문 자동 흐림 장치를 설치했다. 미스트 윈도라고도 불리는 PDLC인데 고분자 분산형 액정 표시 소자(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이다.열차가 주거지를 지나갈 때 앞유리와 출입문을 제외한 옆면 창문이 자동으로 불투명하게 바뀐다. 하지만 간혹 오작동으로 인해 흐림장치가 작동하지 않거나 계속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있다.

PDLC의 가동요구전압과 전류량은 각각 약 80~100볼트와 약 100와트 이상이다. 액정과 달리 광원을 보조로 하여 영상이 아닌, 선명도를 바꿀 정도로 분자를 정렬해야 하니 그 정도가 요구된다. 전류도 생각보다 많은, 해당면적 디스플레이만큼 소요된다.

기타 상세 정보는 여기에서 살펴볼 수 있다.

4. 분류

도입 연식에 따라 1차로 분류된다.
<rowcolor=#ffffff> 분류 제어방식 도입
<colbgcolor=#FFB100><colcolor=white> 1차분 VVVF
IGBT
히타치
2013~2014년 (3량 28편성)

4.1. 1차분 (2013~2014)

파일:attachment/DaeguMonorail_real.jpg
301편성

2013년 6월 17일에 차량 301편성(3량), 28일에 302편성이 칠곡차량기지사업소에 반입됐고, 7월 2일 오후 3시에 시민에게 모노레일 차량을 공개하는 이벤트가 열렸다.

차량은 모두 불연재로 구성되어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이 전동차 안전 점검 브리핑에서 라이터로 시트에 불을 붙여보기도 했으나, 불이 붙지 않았다.# 대구 지하철 참사가 일어난 지역인 만큼 예민한 문제다. 천장에는 소화용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다. 워터미스트라고 불리며 열차지붕에 50리터 물탱크 2개와 압축공기 탱크 1개가 설치되어있고 화재발생 시 압축공기와 물을 열차내 배관을 통해 객실 내 스프링클러로 보내어 물을 분사하게 된다.

우진산전은 단순 조립 및 용접만 담당 하였고 차대와 대부분 전장품은 일본에서 생산하고 국내로 반입했다.#
<rowcolor=#fff> 구분 차대 생산 차대 조립 및 용접 대차 회로 APS ATP/ATO TCMS 공조장치 차량조립 도색 전기검사
히타치 전편성 301편성 전편성 전편성 301편성 전편성 전편성 전편성 301편성 301편성 301편성
우진산전 X 302~328편성 X X 302~328편성 X X X 302~328편성 302~328편성 302~328편성

5. 기타

5.1. 도색

파일:external/www.idaegu.co.kr/2015021001000389800023831.jpg
전구간 지상으로 다니므로, 홍보 수익 창출을 위해 랩핑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영업시운전 기간에는 위 사진과 같이 2015년 4월 대구에서 개최되는 세계 물 포럼 홍보차량으로 운행했다. 위 사진 속 차량은 304편성으로 로보카 폴리 열차와 2021년 새해열차, 세계테마열차 등을 거쳐 2023년 6월 현재는 일반 광고가 붙어있다.

개통 이후부터 2020년 말까지 로보카 폴리를 래핑한 열차가 운행했었다. # 이 편성(303)은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홍보 열차로 바뀌어서 2017년 6월 8일까지 운행하다가 다음날인 9일부터는 카툰캐릭터열차로 운영중이다. 2018년 5월부터 2019년 7월까지 무랩핑상태로 다녔다가 2023년 현재까지 싱가포르 센토사 섬 홍보열차로 운영중이다.[3]

2021년 새해소망열차로 운행할 목적으로 2020년 12월 23일에 운행을 종료했다. 그리고 2020년 12월 30일부터 희망열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이후 2021년 3월에 운행이 종료되고 두달 뒤인 5월 17일부터 세계테마열차로 운행했었다.

하지만 2023년 6월 12일,[4] 코로나19 위기경보단계 하향에 따라 이 열차의 운행 목적[5]도 사라져 2년 1개월여만에 운행을 종료하게 되었다. 운행 종료 이후 차내 LCD장비를 그대로 둔 채, 외부 광고만 붙여 영업운전에 복귀했다.

로보카 폴리 외에도 다양한 업체의 광고를 래핑한 열차도 운행하고 있다. # 실제로 DGB금융지주, 대백프라자, SK텔레콤 등 광고를 래핑한 열차들이 운행되고 있다.

그리고 2019년 초에는 303편성에 돼지를 테마로 한 황금돼지 드림열차를 운행하기도 했다. 이후 2020년 초에는 326편성에 쥐를 테마로 한 새해 소망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다만 이 열차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평년보다 빠른 2월 24일까지만 운행했다. 이후 2021년에는 소의 해를 맞아 소를 테마로 한 코로나19 박멸 기원 열차를 3월까지 운행하기도 했다. 이처럼 매 새해마다 이러한 테마열차를 운행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부터는 사기업보다 대구광역시의 시정 홍보 광고가 많이 붙고있고, 이에 대구 주변에 있는 다른 지자체도 경쟁적으로 3호선에 광고를 하고 있다. 전체 광고 중 절반 이상이 지자체 광고일 정도.

한편 대구교통공사 자체의 홍보광고도 붙고 있는데 2023년 6월 현재 326편성은 외부에만 대구교통공사의 새 마스코트인 타구바쿠를 랩핑하여 운행 중이다. 312편성은 대구공항 특별법 통과를 축하하는 랩핑으로 운행 중이다.

현재 코로나-19로 열차 대여 서비스는 일시 중단된 상태. 언제 재개될지는 불분명하다. 1,2호선 각 역에 붙어있는 3호선 열차 대여 홍보물에도 열차 대여를 일시 중지한다는 안내가 되어있다. 2022년 5월에 거리두기가 완전히 해제되기는 했지만 2023년 별 소식은 없다.

내부에 자전거 적치 공간이 있긴 하지만 열차의 공간이 다소 협소한 편이라 접이식 자전거를 제외한 일반 자전거의 휴대 승차는 평일, 주말, 공휴일 모두 불가능하다.

파일:대구 3호선 열차에 새로 부착된 자유와 활력이 넘치는 파워풀대구 로고.jpg
원래 열차 측면에 기존 대구광역시의 B.I인 컬러풀 대구가 새겨져 있었으나 2022년 7월 도시브랜드가 “파워풀 대구”로 바뀜에 따라 모두[6] 변경되었다.

2024년 9월 7일 부로 326편성에 대구 엑스코 랩핑이 적용되었다.[7]

5.2. 2차분 차량 도입 문제

향후 차량 대체에 큰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히타치에서 더 이상 한국에 모노레일 열차를 수출할 의사가 없음을 밝혔기 때문이다.[8] 실제로 4호선의 계획이 이 때문에 모노레일에서 철제차륜 AGT로 바뀌었다. 차량 형식 승인 절차가 없었던 2010년대 초반과 달리, 안전규제가 강화된 2020년대 이후에는 한국의 모든 철도차량은 그 설계도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해서 형식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때문에 히타치는 자신들의 설계도가 새어나가는 것을 우려해 더 이상 한국과의 사업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다. 물론 아직까지 내구연한이 도래하려면 2040년대까지 많이 남았으므로 그 안에 국산화가 된다면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열차도 1편성을 제외하고 우진산전에서 라이센스 생산했으나 전국에서 모노레일로 도시철도를 운용하는 곳은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뿐이다. 사업성이 충분하지 않다면 현대로템, 다원시스, 우진산전 등 철도차량 제조업체에서 참여할 동기가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는 3호선 연장에도 지장을 주는 요인 중 하나가 되는데, 딱 한 노선 밖에 운용하지 못하는 차량을 전량 대체하는 것도 아니고 연장 목적으로 소량만 도입한다면 규모의 경제에 따라 도입비가 더욱 상승하므로 연장 비용 또한 상승할 수밖에 없기 때문다.
[1] 미쉐린에서 제작한 모노레일용 특수타이어를 사용한다고 대구교통공사 직원이 밝혔다. 주행소음, 승차감, 안전성 개선을 위해 타이어는 일반공기가 아닌 질소를 채운다고 한다.[2] 순전기제동 포함.[3] 대구교통공사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센토사 익스프레스 모노레일의 유지/관리업무를 맡게 되었는데 그 기념으로 랩핑된 것이다.[4] 공지 작성일 기준. 영업운전에서는 그 전에 이탈했을 수도 있다.[5] 해외여행을 가지 못하는 시민들에게 이 열차로 관광을 대신하는 목적. 알다시피 2022년 거리두기가 풀린 후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에 존재 목적이 옅어지고 있었다.[6] 센토사 섬 랩핑 중인 303편성은 제외되었다.[7] 세계테마열차에 적용되었던 것과 비슷한 빨간색과 파란색이 반으로 나뉜 도색이다. 1호차와 3호차에만 적용되어 있으며 중간차는 흰색이다. 또한 반반 도색이 각 선두차의 도색과 대칭되어 더더욱 아수라 남작같이 되었다.[8] 관련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