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8:03:28

연합군

다국적군에서 넘어옴

군종(軍種)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법적 지위
정규군 준군사조직
(법집행기관)
비정규군
소속 관계
국군
(연방군 · 정부군 · 관군)
당군 사병
(용병)
복무 형태
상비군 예비군
군간 관계
연합군 합동군 통합군
일반 편성
육군 해군 공군
특수 편성
헌병대 내무군 공수군 해병대 방공군 전략로켓군
특수군 사이버군 우주군 국경경비대 해안경비대 보안군
민병대 친위대
(공화국 수비대)
의무군 공공부대
(경찰예비대)
신속대응군 무인장비군
기타
군수군 외인부대
국방군 인민군
※ 군종보다는 합동부대, 특수 신분 혹은 고유명칭에 해당.
}}}}}}}}} ||

1. 2개 이상의 국가가 서로 연합하여 구성한 군대
1.1. 현존 연합군1.2. 역사 속의 연합군1.3. 가상의 연합군1.4. 기타
2. 유희왕의 카드3. 1에서 따온 비유적인 의미의 축구 용어

1. 2개 이상의 국가가 서로 연합하여 구성한 군대

가장 유명한 것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당시의 연합군(Allied Forces). 너무 유명해서 이제는 거의 고유명사에 가깝게 되었다. 비슷한 것으로 걸프 전쟁의 다국적군(Coalition Force)이 있다.

대한민국 국군의 용어에서 1국의 서로 다른 군종이 함께 형성하는 부대는 합동군이라 하며 2개 국가 이상의 군대가 형성하는 부대는 연합군이라 한다. 따라서 한국 육해군이 같이 훈련한다면 연합 훈련이 아닌 합동 훈련이며, 한국군과 미군이 같이 훈련한다면 합동 훈련이 아닌 연합 훈련이다. 당장 이를 보여주는 예로 부대명칭으로써 한국의 육해공군을 통합 지휘하는 사령부는 합동참모본부이며, 한국군주한미군을 통합 지휘하는 사령부는 한미연합군사령부다.

1.1. 현존 연합군

1.2. 역사 속의 연합군

1.3. 가상의 연합군

1.4. 기타

2. 유희왕의 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합군(유희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연합군(유희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연합군(유희왕)#|]][[연합군(유희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1에서 따온 비유적인 의미의 축구 용어

인기가 많은 팀에 대항해 그 팀을 싫어하는 서포터들이 상대 팀으로 가서 응원전에 합세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주로 우승 내지 강등이 결정되는 시즌 막판에 많이 발생한다. 원정석 문서에서 보듯 홈 좌석이든 원정 좌석이든 제 3자 유니폼은 금지된 물건이 아니라 가능하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서울과 부산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FC 서울에 대항해 부산 아이파크를 응원한 일과, 2019년 FA컵 결승에서 수원에 대항해 대전 코레일을 응원한 것, 그리고 2023년 K리그 최종 라운드인 수원 삼성 VS 강원 FC에서 수원에 대항해 강원을 응원한 사례와 2024년 전북과 서울 이랜드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서울 이랜드를 응원한 사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