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07:27:55

합동군

군종(軍種)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일반 편성
육군 해군 공군
특수 편성
공수부대 산악부대 특수부대 해병대 방공군 우주군
전략로켓군 사이버군 의무군 군수군 내무군 국경경비대
해안경비대 헌병대 친위대 공공부대 외인부대 예비군
민병대 연합군 합동군 통합군
준군사조직 포함
}}}}}}}}} ||


1. 개요2. 합동3. 합동부대

1. 개요


군사 명령 체계로 합동군은 3군에 별도의 본부(육군본부, 해군본부, 공군본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을 총괄하기 위해 합동군사령부(합동참모부)가 설치되어 있다. 합참의 합동군사령관이 육·해·공군 전투 및 작전부대를 상대로 작전지휘를 하고, 각군 참모총장은 작전지휘권을 뺀 인사·군수·병참 등 나머지 분야의 지휘권을 행사한다. 미국, 일본영국, 독일 등의 서방국가의 군대가 대부분 이에 해당하며[1], 한국은 과거 통합군 체계와 비슷한 경향이 있었으나 현재는 완전한 합동군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군 구조는 개별 본부를 두고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단일군에서 발전한 통합군(合同軍, Joint Force)*과 3군 병립제로부터 발전한 합동군(統合軍, Unified Force)# 으로 나뉜다.

다만 미국의 경우 작전명령이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을 거쳐 9명의 통합군사령관에 하달되는데, 합참의장이 대통령과 국방장관에게 조언하는 자문역(자문형 합참의장)을 맡는 반면, 한국군합참의장이 직접 작전통제권을 가지고 전군에 대한 작전 지휘권을 직접 행사(통제형 합참의장)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통합군은 군 내 독단·판단착오의 위험, 해·공군의 전문성 약화, 현대전 수행에서의 부적합, 쿠데타 위험이 커 일정 규모 이상의 선진국 군은 채택하고 있지 않고 있다.# 공산권 군대의 경우 현대에 들어서도 통합군 체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많아 합동군 체계로 전환하였거나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일부 소규모 군대의 경우 조직 분리와 명령 체계의 세분화의 필요성이 낮아 육군 중심의 통합군 체계를 고수하는 경우도 있다.

통합군 체계는 최고사령부에서 여러 군종들에게 일괄적으로 군령권과 군정권을 행사하는 구조이다. 이에 반해 합동군은 따로따로 움직이는 군종들을 한데 묶어두는 참모본부에서 군정권만을 행사한다는 점이 통합군과의 차이점이다. 문민통제가 가장 잘 되는 지휘체계이기도 하다.

합동군/통합군에 대한 더 많은 기사들은 다음 참고 # # #

참고로 통합군과 합동군을 별개의 개념으로서 엄밀히 구별하는 한국어와는 달리 일본어에서는 양쪽을 엄밀히 구분하지 않아서 통합군과 합동군이라는 서로 다른 두 개념을 모두 통합군(統合軍)이라는 하나의 단어로 일원화하여 번역하고 있다.

2. 합동

대한민국 국군에서 합동(合同)은 육·해·공군 등 서로 다른 군종이 협조하여 작전을 펼치는 것을 말한다. 타국 군과 협조할 때는 연합군이라 한다.

일본 자위대에서는 이 합동(合同)이라는 개념을 통합(統合)이라고 번역하고 있다. 그렇기에 합동군과 통합군 역시 구별하지 않고 둘 다 통합군으로 번역하고 있기도 하다. 합동군과 통합군을 서로 별개의 개념으로서 엄밀히 구별하는 대한민국 국군과는 이런 부분에서 용어의 차이가 나타난다.

3. 합동부대


일본에서는 상기한 대로 대한민국 국군합동에 해당되는 용어를 통합으로 표시하기에, 합동부대 역시 통합부대로 부른다. 자위대통합막료감부나 통합막료학교가 이에 해당한다. 통합막료감부는 한국군의 합동참모본부에 해당되며, 통합막료학교는 한국군의 합동참모대학에 해당된다.


[1] NATO 식 지휘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