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7:10:51

미국 통합전투사령관

합동군사령관에서 넘어옴
||<-6><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height=70><width=45%>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미군의 현직
통합전투사령관
||
||
{{{#!wiki style="margin: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
·
우주
북부사령관 유럽사령관 중부사령관
남부사령관 아프리카사령관 인도태평양사령관
우주사령관 특수작전사령관 수송사령관
전략사령관 사이버사령관
※ 둘러보기: 통합전투사령부
}}}}}}}}}}}} ||

* 한자: 統合戰鬪司令官
* 영어: Combatant Commander[1][2]

1. 개요2. 위상3. 보직

1. 개요

미군이 세계 6개 지역과 막중한 임무 5개를 통괄하기 위해 설립한 미국 통합전투사령부를 지휘하는 사령관으로 각 사령부 산하의 육해공군, 우주군 전체에 대한 군령권을 지닌다.

통합전투사령부의 이칭이 통합군이기도 하기 때문에 통합군사령관이라 불리기도 한다. 합동군사령관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국군 용어로 번역이 적절하다 볼 수도 있고 부적절하다 볼 수도 있다. 왜냐하면 미군은 Joint라는 용어를 쓰는 부대가 이 통합군 사령부 밑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며 구분하자면 Joint는 합동, Unified는 통합이라고 볼 수있다.

2. 위상

미군의 경우 각 군의 참모총장들은 문민통제 차원에서 실권이 거의 없고 자문 역할을 맡고 있다. 군령권의 경우 한국에서는 합참의장이 가지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국방장관이 가지고 있으며, 군정권의 경우 역시 한국에서는 각 군의 참모총장이 가지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각 군 장관(육군장관, 해군장관, 공군장관)이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각 군 참모총장이나 합참의장은 각 군의 조율 역할을 하는 합동참모본부의 일원으로 의전상으론 높지만 실권은 별로 없다.

그에 비해 통합전투사령부는 전 세계를 작전범위로 삼는 미국의 특성상 지역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각 통합전투사령부 소속의 육해공 장병을 지휘하며 실제 전투를 지휘하게 된다. 엄밀히는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이끌었던 중부사령부(United States Central Command)가 상당한 실세이다. 당연히 21세기 현재 계속 치고받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승진에도 유리하기 때문. 대한민국 국군지상작전사령부가 최고의 요직인 것과 상통한다. 이 보직을 거쳐간 인물로는 노먼 슈워츠코프, 마틴 뎀프시(직무대행),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 제임스 매티스가 있다. 다만 인물의 면면을 알 수 있듯이 지상전 위주의 전황이 벌어지고 있으므로 육군이나 해병대 출신의 인사가 보임되는 게 일반적이다. 때문에 해군의 경우는 보통 중국, 러시아와 대치하는 태평양이 요직으로 꼽힌다. 예외적으로 2007년 3월부터 1년가량은 중부사령관 보직에 윌리엄 팰런 해군대장이 보임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지만 네오콘과 쌈박질을 하다가 일찍 퇴역하여 마틴 뎀프시 중장(직무대행)을 거쳐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로 교체되었다.

또한 이 통합전투사령부는 지역에 따라 타국군과 만든 합동사령부의 사령관을 겸임하기도 한다. NORAD의 경우 북부사령관이 겸임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NATO군의 최고지휘관인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을 유럽사령관이 겸임하고 있다.

이런 실세의 면모와 해당 지역 육해공을 모두 지휘하는 경험 때문에 미군의 인선이 다가올 때면 이들 통합전투사령부 보직에서의 장기 경력자들은 보통 참모총장보다 합참의장 하마평에 오르내리곤 한다. 하지만 실세라 해도 의외로 그렇게 영전하는 경우는 좀 드문데, 중동 지역이 점입가경으로 치닫는 때는 중부사령관을 섣불리 교체하기가 부담되고, 유럽사령관과 태평양사령관을 합참의장 같은 자리에 부르기엔 러시아와 중국 등을 과도하게 자극할 우려가 있고 특수전사령관이나 전략사령관 같은 보직은 전문 분야라서 그쪽까지 올라오다보면 다른 부분에서 부족한 요소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또한 이쪽에서 장기 경력을 쌓다보면 나이가 많아진다. 90년대 이후로 통합전투사령관들은 동시기 참모총장들에 비해 절대 젊은 편이 아닌 점이 걸린다.

중국의 전구사령관과 비슷하다고 볼 수도 있는데 각 본부에서 상당한 권한을 위임받아 참모총장을 명예직으로 만들었단 점에선 미국 특유의 사업부 제도가 군대에 적용된 것이라 볼 수도 있다. 미국 조직관리의 특성이기도 하다.

3. 보직

통합전투사령관은 총 11자리가 있다.
[1] 실제 보직명을 일컬을 때는 Commander, US ○○○○ Command 같은 직책명을 쓴다.[2] 옛날에는 Commander-in-Chief라는 호칭을 썼지만 2000년대에 도널드 럼즈펠드가 이 호칭은 통수권자인 대통령에게만 쓰라고 못박아버렸다.[3] NATO군의 최고 작전지휘관